자유게시판

2011.05.24 05:54

자연이란 무엇인가?

조회 수 1071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는 자연(自然)이란 말을 너무도 "자연"스럽게 말합니다.
"인공적, 인위적"이라는 말의 대척점(antipodes)에 놓인 용어로 "자연적"이란 말을 선택합니다.

한자어인 자연(自然)은 "스스로 자" (自)에 "그러할 연"(然)을 씁니다.
자연이란 "스스로 그러한"  것을 말합니다.

연(然)이란 형용사를 뜻하는 어미에 해당합니다.
우연, 홀연, 돌연 등등에 사용된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자연에 대비되는 말로 인공, 인위라는 말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사람 역시 자연의 일부일 뿐입니다.
그 인간이 만든 집, 도로, 도시, 비행기도 자연일 뿐입니다.
새가 만든 새집이 그러하고, 개미가 만든 개미집이 자연의 일부인 것처럼...

윤리적으로, 인간이 인간을 이롭게 하려고 만든 것이
도리어 인간에게 해로울 때, 반성적으로 자연을 오염시켰다고
비난하지만, 그 오염조차도 엄연히 자연일 뿐입니다.

최초에 지구에 등장한 산소는 독성이 강한 환경오염물질이었으며,
우리가 내뿜는 이산화탄소는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주범으로 주목받지만,
식물에게는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영양물질이죠.

환경파괴도 오해의 소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코끼리 무리는 자연을 파괴하는 것이 틀립없습니다.
코끼리가 환경을 똥으로 오염시키고, 나무를 마구 뽑아서 숲을 파괴하는 덕분에
초원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코끼리가 사라지면, 초원은 밀림으로 변할 것입니다.
초원이 사라지면, 그 초원에 의지해서 사는 먹이사슬도 사라지고, 결국 멸종할 것이 분명합니다.
과연 코끼리는 나무를 뿌리뽑고 땅을 짖밟기 때문에, 자연을 파괴하는 동물이라 할 수 있을까요?

우리들이 산림욕을 즐기는 이유가 되는 치톤피드 (phytoncide)도 알고보면 나무가 만들어낸 "농약"이며
나무 뿌리에서도 다른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이기적인 화학물질을 마구마구 뿜어냅니다.
우리가 낭만적으로 생각하는 "선하고 착한" 자연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선하고 착한이란 표현은 동어반복이며, 강조의 의미입니다)

자연이라고 하는 것은
모든 것을 포함하는 큰 그릇이며,
그래서, 대자연(Great Nature)이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대자연을 신이라고 불러도 상관없습니다.

대자연을 신(神, God, 하나님)이라고 해도,
그 신이 종교에서 말하는 인격신이 아님은 자명합니다.

자연을 공부하는 것은 물리, 화학, 생물 등을 공부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사람 가운데서 사람의 마음을 느끼고, 공감하고, 소통하고
사회에서 사는 규율을 이해하고 지키는 것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소산인, 문학이나, 인문이나, 미술이나 음악을 공부하는 것도,
모두 자연을 이해하는데 부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무엇에 관심을 갖고, 무엇을 좋아하든,
그것은 개개인의 자유이지, 강요할 바가 아닙니다.

편협되게 한가지만을 가리키며,
달을 보라고 강요하는 것은
그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부끄럽게 할 뿐입니다.

자연을 영어로 nature라고 하는데,
nature의 어원은  naked, nude와 같습니다.

nature는 태어난 그대로, 가리지 않은 모습 그대로를 뜻합니다.
그러니 nature와 자연은 동일한 말입니다.

물리에 해당하는 physics도 nature와 같은 뜻입니다.
physics의 어원은 그리스어인데,
영어단어 physical (육체적인)과 같은 어원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대저 사물을 보는 방법에는
맨눈으로 보는 것과,
망원경으로 보는 것과
현미경으로보는 것과
초음파로, X-ray로 보는 것과
등등 수없이 많은 방법이 있습니다.

앞으로도 자연을 보는 새로운 방법이 탄생할 것입니다.
그때마다 인류의 지식은 한없이 넓어져 갈 것입니다.

지금의 인류의 지식은
미래의 그것과 비교한다면,
과거의 것이 현재의 것과 비교하여 초라하듯이
초라할 것이 분명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자연에 대한 지식에
얼마나 많은 오류와 어리석음이 있는지
우리는 짐작조차 하지 못합니다.

때문에 우리는 겸손해져야 합니다.
겸손한 사람은 말도 함부로 하지 않을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04 공지 언젠가는 밝고 넓은 길을 만날 것을 알기에 오중탁 2003.07.10 2159
3803 공지 햇살에게 이선영 2003.07.10 2402
3802 공지 퓰리처상 수상작 중에서... 3 송윤호 2003.07.09 2332
3801 공지 맑은 하늘이 보고 싶다 윤석련 2003.07.10 2122
3800 공지 여자들이 정말로 원하는것은 무엇인가? 이선영 2003.07.11 2074
3799 공지 책이 설 자리... 이선영 2003.07.13 2153
3798 공지 선진국에서 확인한 도서관의 힘 현영석 2003.07.12 2213
3797 공지 기로에 선 오프라인 서점 현영석 2003.07.12 2579
3796 공지 아버지가 가야 할 길... 1 이선영 2003.07.12 2192
3795 공지 아리랑 황희석 2003.07.13 2542
3794 공지 비 내리는 갑천에서 1 윤석련 2003.07.13 2240
3793 공지 자기경영노트 - 피터 드러커 오중탁 2003.07.15 2351
3792 공지 소고를 위한 산책로에서 김주환 2003.07.16 2113
3791 공지 경향신문 우리 100권독서크럽 소개 기사 2003.7.18 현영석 2003.07.18 2224
3790 공지 복날에 터져나온 속웃음 김주환 2003.07.18 2186
3789 공지 벤저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 오중탁 2003.07.19 2276
3788 공지 가슴이 따뜻해지는 글이 있어 소개해드립니다. 3 손문성 2003.07.23 2251
3787 공지 부끄러워 할 줄 아는 이 2 강신철 2003.07.23 2500
3786 공지 선비정신 강신철 2003.07.23 2301
3785 공지 책과의 여행 -- 김현승 (시인) 2 오중탁 2003.07.23 24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