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래 조종암님이 게시글에 링크해 주신 엘리자베스 길버트(세계적 베스트셀러 '먹고,기도하고,사랑하라'의 저자) 여사의 TED 강연 동영상을 보고 생각을 적어봅니다. (강연 영상을 소개해주신 조종암님께 감사드리며...)


Liz. 길버트여사는 한마디로, 창작의 고통과 대중의 비평으로부터 예술가를 보호하는 장치를 나름대로 개발해 냈더군요.


의성의 고갈, 그리고 향후 작품에 대한 평가에 따른 두려움과 상실감으로부터 미리 '방어기제' 만들어 두고자하는 작가로서의 처절함도 얼핏 느낄 수 있었습니다.


버트는 인간의 창의성은 한 개인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 사람들의 생각처럼, 창의성을 관장하는 ‘혼(지니어스)’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주장한 것인지, 앞으로 사람들이 그렇게 인식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것인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길버트 여사는 작가이므로 다분히 문학적 표현을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뇌과학을 학습하는 입장으로서는 얼핏 동의하기 어려운 주장이기도 합니다.


한 개인의 모든 사고행위와 행동은 모두 그의 작은 뇌 속에서 나오는 것이니까요.


그러나, 또한 우리가 알고 있듯이, 현재 우리의 뇌는 인류의 먼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 정보를 뉴런 속에 담아 시냅스하고 있습니다. 또한 넓게보면 지구환경이라는 수십억년의 시간적 공간을 공유하고 있기도 하구요.


아울러 우리 뇌는 동시대 인류의 문화와 정서를 함께 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우리가 의식하고 있지 못하더라도, 바로 이 시간 우리의 작은 뇌 속에는 생명출현 이후의 모든 시간(적어도 문명발생 이후)과 공간은 물론 동시대의 시공이 담겨 있지요. 

'우리의 뇌',  무한시공과 끊임없이 시냅스하는 또 다른 '뉴런'이며, 수직적 수평적 통유(通有)의 공간입니다.

역사를 꿰뚫는 창조적 발상이나 예술적 창의성은 바로, 이 통유의 공간에서 발현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 그리고 다이나믹한 원자의 춤, 춤의 무대인 우리의 몸.


춤의 무대는 한 순간 공간의 원자들이 집적되어 꾸려졌다 곧 세상으로 흩어집니다. 그리고 끊임없이 명멸(明滅)을 반복하죠. 무한한 시공 속에서 나의 몸, 내 의식의 경계가 모호합니다.


태초의 생명부터 현재에 이르는 의식의 바다.  그  한가운데 잠시 떠 있는 섬.


어떻게하면 내 의식의 경계를 허물고, 내 몸을 관통하며 유유히 일렁이는 파도를 관조할 수 있을까! (길버트 여사가 소개한, 미국 시인 ‘루스 스톤’이  詩想이 스쳐가는 것을  표현한 것처럼)


길버트가 말한 창의성을 관장하는 신은 바로 ‘’이며, 동시에 ‘ 인류’이며 ‘조상’입니다. 그리고 ‘지구’이며, ‘우주’라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위대한 예술가의 창조적 정신과 예술작품은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많은
사람들의 가슴속에 깊이 남아있게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조종암님께서 소개한 TED 강연실황 링크 

엘리자베스 길버트 여사의 '창의성의 양육'

http://www.ted.com/talks/lang/kor/elizabeth_gilbert_on_genius.html

  • ?
    김정량 2011.03.30 04:31
    이재민님의 생각에 많은 부분 공감합니다. 저는 뇌과학으로도 충분히 길버트의 이야기의 정합성이 도출된다고 봅니다. 뇌는 진화의 진행적 결과이기에 원자적인 기억부터 우리의 모든 생명조상들의 삶과 의식의 기억이 스며있는거 아닐까요? 집단무의식이나 시대정신이 한 개체(예술가)로 인해 발현되는 사실적인 현상을 길버트씨가 문학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봅니다. 제 주변, 창작하는 사람들이 이런 경험을 가끔합니다. 일상적이지는 않지만 다수의 실증적인 체험이랄까 관찰이랄까, 양태가 매우 비슷합니다. 과학적 진위는 실증적인 실험으로만 이루어지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언젠가는 초현실적으로 보이는 많은 체험들이 합리적으로 규명되겠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64 공지 좋은 모임에 좋은 인연이.. 5 오창석 2008.11.26 1624
3763 좋은 독서법 이중훈 2010.02.09 1675
3762 공지 좋은 글을 쓴다는 것 윤석련 2003.05.26 2417
3761 공지 좋은 글을 쓴다는 것 3 강신철 2003.05.26 2701
3760 공지 좋은 글을 소개합니다. 윤석련 2003.05.25 2291
3759 공지 좋은 글을 소개합니다. 윤석련 2003.05.25 2415
3758 공지 좋으면 그저 하는 것이다 7 강신철 2007.10.13 2029
3757 종교에 대한 질문을 올려도 되는지요? 1 신동찬 2009.06.15 1832
3756 공지 졸업전에 읽어야 할 추천 도서 4 박문호 2007.07.08 2098
3755 공지 졸업 전 읽으면 좋은 도서 추천 부탁 드립니다.⌒⌒ 5 김수지 2007.07.06 2277
3754 공지 조지워싱턴 자서전을 보고 진시황제을 보고있는데... 4 채종국 2003.06.01 2660
3753 공지 조중걸 선생님과의 질의응답 3 안치용 2009.01.17 1999
3752 조중걸 선생님 강의 정리 6 박현숙 2009.01.15 2008
3751 조중걸 박사님의 저서들 3 file 강신철 2010.08.16 1966
3750 조중걸 교수의 철학과 예술사 강의 안내 18 박용태 2009.09.01 3122
3749 조장희 박사님 강의를 듣고 (190회 정기모임) 2 손진경 2010.05.27 2001
3748 공지 조영창콘서트에 초대합니다. 18 file 임해경 2008.11.28 1678
3747 공지 조영창의 12첼리스트 콘서트 후기 8 윤성중 2008.11.30 2490
3746 공지 조심스러운 만남... 이선영 2003.01.29 2492
3745 공지 조선일보에서 100권클럽 소개 봤어요^^ 이윤소 2003.02.26 25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