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440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집중세미나 : 자연학의 매혹 시즌 I


입자, 빛, & 그 너머


- 근, 현대 물리학의 별들 -


(영상글밭 사하 홈페이지 가기)


 


세상의 근본 요소들과 우주의 운행 원리를 탐구한 근, 현대의 물리학자들. 그들은 열과 입자, 그리고 빛 속에 노닐면서 마침내 비밀의 열쇠를 움켜쥐었습니다.


과연 그들이 엿본 세상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볼츠만, 플랑크, 아인슈타인, 하이젠베르크가 넘어서야 했던 핵심적 난관은 무엇이었을까?


그들의 발견 이후로 우리의 세계상은 무엇이, 어떻게 변화된 것일까?


이 세미나에서 우리는, 그들의 생애와 과학적 발견을 찬찬히 살펴보면서 이 질문들에 답해보려합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결국 나의 삶에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스스로 묻고 대답해 볼 것 입니다.


 


1주(3월 29일) : 빌 브라이슨 <거의 모든 것의 역사>(까치) 중 서문, 1~3장, 7~11장, 30장


2~3주 (4월 5.12일) : 데이비드 린들리, <볼츠만의 원자>(승산)


4~5주 (4월 19.26일) : 에른스트 페터 피셔, <막스 플랑크 평전>(김영사)


6주 (5월 3일) : 데이비드 보더니스, <E=mc2>(생각의 나무)


7~8주 (5월 17.24일) : 브라이언 그린, <우주의 구조>(승산) 중 11장까지.


9~10주 (5월 31일) : 위르겐 네페, <안녕, 아인슈타인>(사회평론)


11주 (6월 7일) : 존 S. 릭던 <1905 아인슈타인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나>(랜덤하우스)


12주 (6월 14일) : 하이젠베르크, <부분과 전체>(지식산업사)


13주 (6월 21일) : 하이젠베르크, <하이젠베르크의 물리학과 철학>(온누리)


14주 (6월 28일) : 발표


 


** 14주차의 발표는, 그동안 공부를 통해서 내가 새로 알게된 것을 설명하고, 현재 내가 모르는 것을 또렷이 정리해서 발표합니다.


** 첫날, <거의 모든 것의 역사> 중 해당 부분을 읽고오셔야 합니다.


 


보조 교재 및 참고 서적 :


1. 리처드 파인만,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1-1, 1-2>(승산)


2. 최무영,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책갈피)


3. 이정우, <탐독-유목적 사유의 탄생>(아고라) 중 2부 「과학의 세계」


4. 조지 가모브, <물리학을 뒤흔든 30년>(전파과학사)


5. A. N. 화이트헤드, <과학과 근대세계>(서광사)


6. 곽영직, <곽영직의 과학 캠프>(해나무)


 


* 길잡이 : 박성관


 1967년 충남 예산 출생이며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했다. 찰스 다윈과 10여년 사귀면서 『종의 기원, 생명의 다양성과 인간소멸의 자연학』과『종의 기원 : 쥐와 소나무와 돌의 혈통에 관한 이야기』를 지었다. 요즘은 수학과 물리의 세계에서 한창 노닐고 있는 중! 옮긴 책으로는 『굿바이, 다윈?』,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표상 공간의 근대』 등이 있다.


 


․  시간 : 3월 29일 ~ 7월 5일 (14주) / 화요일 저녁 7시 *5월10일은 쉽니다. 


․ 정원 : 15명


․ 회비 : 15만원


․ 문의 : 010-5396-0113


․ 계좌 : 신한은행 110-324-559550 조은


  1. [3월28일 개강] 정치, 철학, 예술, 언어 등 다지원 2분학기 프로그램이 곧 시작됩니다!

    Date2011.03.26 By다지원 Views1429
    Read More
  2. [가장 뛰어난 중년의 뇌] 증정 관련 마지막 공지

    Date2011.03.26 By김미선 Views1794
    Read More
  3. 영상글밭 사하에서 과학 기획세미나를 엽니다

    Date2011.03.22 By이종영 Views1440
    Read More
  4. 생화학 강의하는 곳 없나요

    Date2011.03.22 By홍우식 Views1713
    Read More
  5. 인지의 과학과 정치학, 스펙타클의 사회, 다지원 정치철학 강좌들을 소개합니다!

    Date2011.03.21 By다지원 Views1395
    Read More
  6. The NewYork Review of Books에 소개된 라마찬드란의 신간

    Date2011.03.19 By남인호 Views1570
    Read More
  7. 백북스회원이라면 꼭 봐야 할 동영상은 이런 것이겠죠.

    Date2011.03.18 By조종암 Views1732
    Read More
  8. 책 (가장 뛰어난 중년의 뇌) 신청하신 회원들께 알려드립니다.

    Date2011.03.18 By임다정 Views1607
    Read More
  9. Non-rocket spacelaunch

    Date2011.03.17 By박경호 Views1421
    Read More
  10. <청년포럼> '청년이 묻고, 청년이 답하다'

    Date2011.03.15 By여현정 Views1688
    Read More
  11. 우주기반 태양광 발전 실현을 위한 모색1-우주 엘리베이터

    Date2011.03.12 By박경호 Views1473
    Read More
  12. 연세대에서 서산철학강좌를 한다고 해서 공유하고자 ~

    Date2011.03.10 By윤서연 Views1492
    Read More
  13. 청춘매뉴얼제작소

    Date2011.03.10 By이중훈 Views1470
    Read More
  14. <과학뉴스 읽기> 닭도 상대 감정 느낀다

    Date2011.03.10 By변정구 Views1754
    Read More
  15. <마르크스 자본론 100분만에 읽기> 강연을 합니다.

    Date2011.03.09 By임승수 Views1735
    Read More
  16. <카메라로 사유하기> 강좌 "사진 찍기로 인문학적 사유하기"

    Date2011.03.09 By임민수 Views1651
    Read More
  17. 백북스 facebook 그룹을 개설했습니다.^^가입해주세요~!

    Date2011.03.09 By김기욱 Views1518
    Read More
  18. 제3회 백북스 뇌.인지과학 심포지엄 현장스케치(사진)

    Date2011.03.08 By신양수 Views1961
    Read More
  19. 뇌인지과학 심포지엄 중 정용교수님의 강연

    Date2011.03.07 By김지은 Views1409
    Read More
  20. <과학뉴스 읽기> NASA과학자, 외계 생명체 발견 vs. Bullshit

    Date2011.03.07 By변정구 Views275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