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0.11.25 00:01

모터사이클 필로소피

조회 수 174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모터사이클 필로소피' 출간

(서울=연합뉴스) 황윤정 기자 = 매튜 크로포드는 소위 잘 나가는 '엘리트'였다.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정치철학 박사학위를 받고 워싱턴에 있는 싱크탱크의 연구소장으로 일했다.

하지만 행복하지 않았다. 항상 피곤했고 월급은 많았지만, 자신이 하는 일이 도대체 누구에게 도움이 되는지 회의가 밀려왔다.

싱크탱크 연구소장으로 일한 지 다섯 달 만에 사표를 냈다. 그리고 오토바이 가게를 차렸다.

신간 '모터사이클 필로소피'(이음 펴냄)는 오토바이 수리공이 된 크로포드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의 가치를 고찰한 책이다.

저자는 우선 지식노동과 육체노동을 분리하는 이분법적 사고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말한다.

지식노동은 머리만 쓰고, 육체노동은 생각할 필요도 없이 몸만 쓰면 된다는 지극히 단순한 이분법은 육체노동에 대한 근본적인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게 저자의 지적이다.

저자는 "싱크탱크에 있을 때보다 오토바이 정비소에서 손을 써서 일할 때 오히려 더 많은 생각을 했다"고 고백하면서 오토바이 수리 등 육체노동이야말로 지적 능력과 네트워크가 필요한 일이라고 강조한다.

예를 들어 오토바이가 출발하지 않는 원인을 알아내려 할 경우 실제로 오토바이를 분해하기 전에 여러 가지 가능성을 머릿속으로 떠올려봐야 한다.

또 오토바이에서 나는 다양한 '소리와 냄새, 감촉'의 미세한 차이를 구별해낼 줄 알아야 한다. 이러한 미세한 차이까지 구별해내는 직감을 기르려면 오랜 훈련과 경험이 필요하다.

만일 이 오토바이가 이미 20년 전쯤 자취를 감춘 제조사의 제품이라면 오토바이 애호가나 골동품 기계 수집가, 수리공 모임 등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저자는 "손으로 하는 일이 본질적으로 지닌 인지적, 사회적 풍요로움과 타인의 마음에 호소하는 매력을 고려하면 왜 이것이 교육의 요소로서 그토록 평가절하를 당해왔는지 의문이 생긴다"고 말한다.

지식노동과 육체노동에 대한 저자의 문제의식은 교육, 기술의 발전이 가져온 물질문화와 소비주의, 인간의 행위주체성과 자율성 문제로까지 확대된다.

1990년대 들어 학교에서 학생들을 사회에 진출할 '지식 노동자'로 준비시키면서 기술수업은 낡은 시대의 유물이 돼버렸으며, 기술의 발전으로 공구를 사용할 일이 줄어들면서 사람들이 수동적이고 의존적으로 변해버렸다는 것이다.

저자는 손으로 하는 일의 가치를 되살리는 것이야말로 행위주체성을 잃어가는 현대인의 정신과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한다.

"손을 쓰는 일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그야말로 인간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일이다. 즉, 손기술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것은 어떻게 인간의 존재가 빛나게 되는지 깊이 고민하는 일이다."

정희은 옮김. 320쪽. 1만3천원.
  • ?
    서정욱 2010.11.25 00:01
    독특하고 진한 책향기에 저도 모르게 시선을 집중하였네요.
    실은 최근에 로버트.M.피어시그의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을 관심있게 본 터라(읽지는 않고 관심만 가지고 있는 중입니다.)
    '모터사이클'이란 단어만 보고 불쑥 들어와 보았습니다.
    저자의 실제 경험을 녹아낸 글이라 딱딱하지 않고 편하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주체성을 잃어버리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그가 던지는 메세지는 가볍지만은 않을 것 같네요.
    책 소개 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84 수학처음시작하고싶은데 4 조정원 2010.12.06 1728
3683 오늘 가입했습니다! 2 장준오 2010.12.05 1458
3682 성철 스님의 독서 이중훈 2010.12.04 1776
3681 [번역서 소개]; 인지과학의 혁명 file 이정모 2010.12.03 1582
3680 독서목록을 만들까요? 9 한정규 2010.11.30 1793
3679 김탁환 교수와 뒷풀이 1 강신철 2010.11.30 1717
» 모터사이클 필로소피 1 이중훈 2010.11.25 1748
3677 11월 시민문화 강좌 안내 file 황인칠 2010.11.24 1557
3676 뒤풀이 오시는 길 test file 연탄이정원 2010.11.23 1731
3675 백북스 오시는 길 1 연탄이정원 2010.11.23 1625
3674 12월17일 서울백북스강연회(나는누구인가) 및 송년회 안내 4 박용태 2010.11.22 1839
3673 11월23일 서울백북스 강연 11월28일(일요일)강연으로 대체 2 박용태 2010.11.22 1732
3672 "중국의 내일을 묻다."-북세미나에 초대합니다. 1 르네 2010.11.16 1882
3671 나고야에서 공부하는 이공계열 유학생 소개해주세요 정보라 2010.11.15 1719
3670 타는 목마름으로 한정규 2010.11.14 1862
3669 벙개모임 - 이병록 제독과 함께(만년동 소노래 6시) 9 강신철 2010.11.13 2196
3668 안녕하세요. 오늘 가입한 장승표라는 학생입니다. 장승표 2010.11.13 1759
3667 [11/13토] 여성학자 박혜란 ("믿는 만큼 자라는 아이들" 저자) 강연, 오후 2시 노은도서관 안설아 2010.11.12 2173
3666 책의 절판은 곧 절망? 4 김양겸 2010.11.12 1965
3665 지난10월 서울백북스 이인식소장님 강연회 스케치 사진 몇장 박용태 2010.11.11 19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