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0.11.25 00:01

모터사이클 필로소피

조회 수 174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모터사이클 필로소피' 출간

(서울=연합뉴스) 황윤정 기자 = 매튜 크로포드는 소위 잘 나가는 '엘리트'였다.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정치철학 박사학위를 받고 워싱턴에 있는 싱크탱크의 연구소장으로 일했다.

하지만 행복하지 않았다. 항상 피곤했고 월급은 많았지만, 자신이 하는 일이 도대체 누구에게 도움이 되는지 회의가 밀려왔다.

싱크탱크 연구소장으로 일한 지 다섯 달 만에 사표를 냈다. 그리고 오토바이 가게를 차렸다.

신간 '모터사이클 필로소피'(이음 펴냄)는 오토바이 수리공이 된 크로포드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의 가치를 고찰한 책이다.

저자는 우선 지식노동과 육체노동을 분리하는 이분법적 사고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말한다.

지식노동은 머리만 쓰고, 육체노동은 생각할 필요도 없이 몸만 쓰면 된다는 지극히 단순한 이분법은 육체노동에 대한 근본적인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게 저자의 지적이다.

저자는 "싱크탱크에 있을 때보다 오토바이 정비소에서 손을 써서 일할 때 오히려 더 많은 생각을 했다"고 고백하면서 오토바이 수리 등 육체노동이야말로 지적 능력과 네트워크가 필요한 일이라고 강조한다.

예를 들어 오토바이가 출발하지 않는 원인을 알아내려 할 경우 실제로 오토바이를 분해하기 전에 여러 가지 가능성을 머릿속으로 떠올려봐야 한다.

또 오토바이에서 나는 다양한 '소리와 냄새, 감촉'의 미세한 차이를 구별해낼 줄 알아야 한다. 이러한 미세한 차이까지 구별해내는 직감을 기르려면 오랜 훈련과 경험이 필요하다.

만일 이 오토바이가 이미 20년 전쯤 자취를 감춘 제조사의 제품이라면 오토바이 애호가나 골동품 기계 수집가, 수리공 모임 등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저자는 "손으로 하는 일이 본질적으로 지닌 인지적, 사회적 풍요로움과 타인의 마음에 호소하는 매력을 고려하면 왜 이것이 교육의 요소로서 그토록 평가절하를 당해왔는지 의문이 생긴다"고 말한다.

지식노동과 육체노동에 대한 저자의 문제의식은 교육, 기술의 발전이 가져온 물질문화와 소비주의, 인간의 행위주체성과 자율성 문제로까지 확대된다.

1990년대 들어 학교에서 학생들을 사회에 진출할 '지식 노동자'로 준비시키면서 기술수업은 낡은 시대의 유물이 돼버렸으며, 기술의 발전으로 공구를 사용할 일이 줄어들면서 사람들이 수동적이고 의존적으로 변해버렸다는 것이다.

저자는 손으로 하는 일의 가치를 되살리는 것이야말로 행위주체성을 잃어가는 현대인의 정신과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한다.

"손을 쓰는 일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그야말로 인간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일이다. 즉, 손기술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것은 어떻게 인간의 존재가 빛나게 되는지 깊이 고민하는 일이다."

정희은 옮김. 320쪽. 1만3천원.
  • ?
    서정욱 2010.11.25 00:01
    독특하고 진한 책향기에 저도 모르게 시선을 집중하였네요.
    실은 최근에 로버트.M.피어시그의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을 관심있게 본 터라(읽지는 않고 관심만 가지고 있는 중입니다.)
    '모터사이클'이란 단어만 보고 불쑥 들어와 보았습니다.
    저자의 실제 경험을 녹아낸 글이라 딱딱하지 않고 편하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주체성을 잃어버리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그가 던지는 메세지는 가볍지만은 않을 것 같네요.
    책 소개 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84 수학 아카데미 이번주 토요일(4/11) 있습니다. 1 이종필 2009.04.07 1753
1883 공지 가입인사^^ 3 오윤정 2009.02.25 1753
1882 공지 신문 읽는 기술 (같이 읽고 싶습니다) 4 임성혁 2008.07.01 1753
1881 60PEOPLE 60KOREA 역사, 미래와 만나다 소개~ file 정유경 2009.05.20 1752
1880 공지 독서 릴레이 대상 책을 추천해주시기 바랍니다 2 강신철 2009.03.05 1752
1879 공지 [기사]‘세상의 끝’ 남극을 가다-17박 18일..세종기지탐사 서지미 2009.01.28 1752
1878 공지 "양자역학의 모험" 책 구해요! 2 손경두 2008.10.30 1752
1877 내일 백북스 모임에 참석하려 청주에서 출발하는 분 계신가요? 함께 가고 싶습니다. ^^ 7 손민영 2010.11.08 1751
1876 2009년6월18일 박문호 박사님 & 백북스 기사 4 문경목 2009.06.18 1751
1875 공지 [스페인] 9. 에보라 : 하얀 벽의 도시 이정원 2009.01.02 1751
1874 공지 첫 토론참여~~ 3 이현주 2007.05.25 1751
1873 (단합)체육대회를 건의합니다 4 김학성 2009.07.28 1750
1872 공지 무신론입장에서 보면, "신" 어쩌구는,, 참 난감한 폭력같기도 합니다. 6 최종희 2008.12.04 1750
1871 공지 [필진]고미숙 박사님을 만나다 10 김홍섭 2007.12.07 1750
1870 이종필 박사님의 「물리학 클래식」 강연회 2 file 송치민 2012.10.06 1749
1869 공지 159차 대전정기강연회 회계보고 3 김영이 2009.02.12 1749
1868 공지 새봄 그리고 신제품개발 1 현영석 2007.04.07 1749
» 모터사이클 필로소피 1 이중훈 2010.11.25 1748
1866 [공지]제 2회 조중걸 교수의 철학과 예술사 강의(20090910) 강혜정 2009.09.09 1748
1865 삼가 김대중 전대통령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9 현영석 2009.08.19 17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