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0.11.03 09:28

詩 < 책에 관하여 >

조회 수 1630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책에 관하여 >


박성일



‘나는 그칠 줄 모르는 독서를 통해 책의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성공했지만, 현실생활은 늘 서툴렀다. 나의 화제란 언제나 예술과 책 뿐 이어서 일상적인 대화는 늘 빈곤했다. 그 결과 사람들과 사귀는 것은 늘 실패였다’ 라고 고백한  그는 서른넷에 별로 떠난 빈센트 반 고호이다. 그림을 그리기 위해 책을 그토록 읽었다면, 그는 읽히는 그림을 그리고 싶었을 것 이다. 사실 언어는 보이는 것이고, 그림은 숨어 있는 것이다. 책은 재잘대는 아이들이고, 그림은 돌아가신 아버지이다. 책은 뒤로는 걸을 수 없는 내 앞의 길이다.   2010.11.3 
ps) 3일간 책을 뒤집어 생각한 글을 써 보았다.  글과 말이 매우 화학적이라는 것을 느꼈다. 그림은 뒤집거나 추상이거나 입체적일수 있지만, 글은 역시 논리와 이성의 테두리를 벗어 날 수가 없다. 독이 약이 될수가 없다. 글에서는,,, 2010.11.6 

  • ?
    전동주 2010.11.03 09:28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가을에 적합한 시, 오랜만에 좋은 시 한편을 접한 기분입니다.

    하지만 지금 제 전두엽이 무겁고 약간 혼란스럽습니다.
    아무도 댓글을 안쓰는 이유는 모두 저와같기 때문인지도 모르지요.

    원장님은 이제 책은 그만 읽으시고, 여행이나 연애라도 한 번 해보시는 게 어떨까요?
  • ?
    우성범 2010.11.03 09:28
    박성일 원장님의 글을 보고
    그림같아서
    몇 일 삭혀서 읽었습니다

    "책을 뒤집어... 글과 말이 매우 화학적이라는 것...논리와 이성의 테두리.. 독과 약"

    모임에서 만난 어느 작가분은 글을 삭힌다고 하고
    또 어느 누구의 책에서도 삭혀서 내놓는다고 합니다.

    홍어처럼 삭혀놓으면 그 자극이 혼을 뺄 정도겠고
    못내 킁킁거리다가 소주도 아닌 쐬주를 걸치게 되는 것처럼..
    그렇게 삭혀진 맛이 입맛에 맞는 분이 있는가하면..

    때론 뜻모를 이야기와 음유가
    도무지 모를 눈물을 쏟게도 한다

    누군가 굳이 삭히지도 않았고
    내 스스로 의식적으로 삭히지도 않은 내면이
    혼자 요절하려할 때도 있다


    글에서 서비스정신이 보일 때가 있다

    너무 쉽고 감흥이 솓구쳐
    내 자신이 바보가 되어버리는 글..
    홍어회같은 글말이다
    난 가끔 그런 글을 맛나게 먹어버린다
    삭힐 필요도 없이
    나도모르게 소화되고 없.다.

    가끔 그림처럼 뚜렷하게 구분지을 수 없는 색으로
    뚜렷하게 가를 수 없는 선으로 그린 것들이
    좋을 때가 있다

    어린왕자의 행성과 그의 여행처럼
    똘스토이가 말하는 신처럼
    니체의 눈물처럼
    김광석의 가사와 우수
    김현식의 외길과 술독처럼
    도어즈 짐모리슨의 음유처럼
    윤동주의 서시처럼..

    내겐 삭히는 시간을 주는
    글이 가장 좋다

    내 자신이 홍어가 되는거야
    크~~~

    정원씨 저 좀 연탄불에 구워봐봐요~~
  • ?
    전동주 2010.11.03 09:28
    백북스에 와서 원장님같이 지식과 감성을 겸비한 분을 만난 것은 큰 기쁨입니다.

    제가 무슨 오해를 한 것은 아니었고,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기위한 농담이었습니다.

    다만 저는 책을 많이 읽을수록, 어떤 임계점을 지난 후에는 물처럼 더 쉽고 더 부드러워져야 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고 있답니다. (과학적 지식에 관한 것은 어쩔 수 없는 면이 있기는 하지만)
    우성범님에게도 시적인 감성이 있어 보이네요. 자작시가 있으면 좀 내놓아 보시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4 [3월28일 개강] 정치, 철학, 예술, 언어 등 다지원 2분학기 프로그램이 곧 시작됩니다! 다지원 2011.03.26 1429
663 공지 방금 가입했습니다. 3 김정환 2008.11.04 1429
662 공지 소립 이상수입니다. 7 이상수 2008.07.28 1429
661 공지 귀환 [歸還] 12 정영옥 2008.04.14 1429
660 공지 독서산방 단상 2 문경수 2007.12.01 1429
659 공지 [2차 인문 고전 읽기 모임] 1월 17일(토) 김원기 2009.01.15 1428
658 공지 科學과 通察을 아우르는 學問 마련을 위한 공부 현장 9 김갑중 2008.09.08 1428
657 공지 이종수 선생님 조문 2 윤보미 2008.08.08 1428
656 공지 눈이 왔다 2 김민경 2008.01.12 1428
655 공지 물은 생명의 어머니다(미주통신9) 1 임성혁 2008.01.02 1428
654 공지 2015년 한국정신과학학회 추계 학술대회 일정 꿈꾸는다이아 2015.10.22 1427
653 [아카데미] < 민주주의의 새로운 실험, 생활정치> + <고전으로 이해하는 정치사상> 느티나무지기 2013.10.16 1427
652 공지 가입인사드립니다. 1 황정택 2009.02.02 1427
651 공지 “평생 학습독서공동체를 꿈꾸다” 1 문경목 2008.07.11 1427
650 공지 "한겨레21" 701호의 주인공은 바로.... ^^* 8 임석희 2008.03.14 1427
649 공지 배경이 전경이 될 때 5 박문호 2007.12.12 1427
648 박성일 원장님 저서, 기념식 현장 판매 관련 김형렬 2012.06.24 1426
647 공지 반갑습니다. 3 이승기 2008.07.04 1426
646 과학사상연구회 2012년 6월 독회/토론 책 소개 + A comment 1 이정모 2012.06.09 1425
645 공지 5/3 등산 모임 2 임석희 2008.05.01 14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