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0.11.03 00:02

몽테뉴의 책읽기

조회 수 17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6세기 프랑스의 유명한 철학가이자 저술가인
미셀 몽테뉴는 부유한 아버지의 덕택으로
수천권 장서를 보유한 서재에서 어린시절을 보냈습니다.

책읽기를 좋아했던 그는 하루의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냈고 일찍부터 독서광이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노년에 들어서도 독서만이 자신을 우울함과 게으름에서
해방시켜 준다고 말할 정도로 독서에 대한 애정이 대단한 철학가였습니다.

몽테뉴는 자신의 독서방법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만약 어떤 책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나를 피곤하게 만든다면
나는 지체없이 그 책을 내려놓고 다른 책을 집어든다." 
중세를 대표하는 지식인이었지만 그의 책읽기는 단순했습니다.

바로 "즐거움"입니다. 
바야흐로 책읽기의 계절이 찾아왔습니다.
수준 높은 고서나 어려운 책을 읽어야만 교양인이 아닙니다.
책은 나에게 즐거움을 주는 친구 같은 존재입니다.





미셸 에켐 드 몽테뉴 (Michel Eyquem de Montaigne 1533년 2월 28일 - 1592년 9월 13일)는 프랑스 철학자, 사상가, 수필가이다.


몽테뉴라는 마을의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법률을 공부한 후, 보르도 법원에서 법관을 지냈다. 그 후 1571년 고향으로 돌아와 저술에 몰두하였다. 1580년 유명한 <수상록>을 완성시켰는데, 그는 이 책에서 인간의 거짓 없는 모습을 그렸다. 그와 같은 인간의 연구가·관찰가를 프랑스 문학사에서는 모랄리스트(인간 연구가)라 부르고 있다. 그는 프랑스의 모랄리스트 문학의 토대를 쌓았을 뿐만 아니라 수필 문학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는 처음에는 금욕적인 인생관을 가르쳤으나, 천동설이 지동설로 바뀌고, 신대륙이 발견되는 등 상식이 붕괴되자 충격을 받아, 인간 이성의 한계를 주장하면서 개혁을 혐오하고 보수주의를 신봉하였다. 그러나 내심으로는 자유주의를 지지하고, 귀족보다는 농민의 태도를 찬양하였으며, 형식주의적 법 이론을 배척하여 인간애를 고취하는 등 인간의 가치를 추구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24 우리 삶속의 정념들을 어떻게 사유해야 할 것인가, 정념의 해부학! 1 다지원 2010.09.21 1766
3623 26일 경영경제 모임 2 김학성 2010.09.21 1775
3622 2010 행복한 책 읽기 전국독서감상문대회」참가 안내 file 류지은 2010.09.19 2122
3621 구즉 도서관 북콘서트(9월18일 토 오후 7시) 강신철 2010.09.18 2056
3620 풍성한 한가위 맞으세요 7 현영석 2010.09.17 1919
3619 백북스 200회 기념행사 11 강신철 2010.09.16 2217
3618 6개월에 100권 읽었어요 (기사전재) 3 현영석 2010.09.15 2005
3617 가입인사드립니다 5 서대원 2010.09.15 1877
3616 100북스를 하면서 우리가 신경써야 하는것들 18 박용태 2010.09.15 2337
3615 양평 시골집 오는 길 3 박용태 2010.09.15 2744
3614 문국현 대표 강연자료 5 file 강신철 2010.09.14 2040
3613 다중지성의정원 4분학기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10월 1일 개강! 1 다지원 2010.09.14 1782
3612 2010년9월11일 진해 사랑방-경주 기림사 & 석굴암 탐방 3 김상철 2010.09.12 2728
3611 위대한 설게는 언제쯤 번역되어 나올까요...? 황현 2010.09.11 1801
3610 트윗에서 본 백북스 단상 1 3 우성범 2010.09.11 1993
3609 [안내]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만남 '통섭 포럼' -충남대학교 2 최태영 2010.09.09 1984
3608 "세균이 항생제내성을 획득하는 새로운 방법: 이타주의" 8 고원용 2010.09.09 2431
3607 [강좌안내]과학 콘서트 - 시간과 공간에 관한 비밀스런 이야기 2 김미선 2010.09.09 1901
3606 인지과학은 미래에 우리의 삶과 학문 세계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7 file 이정모 2010.09.09 2185
3605 기지개를 펴려합니다. ^^ 10 오창석 2010.09.08 20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