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0.11.03 00:02

몽테뉴의 책읽기

조회 수 17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6세기 프랑스의 유명한 철학가이자 저술가인
미셀 몽테뉴는 부유한 아버지의 덕택으로
수천권 장서를 보유한 서재에서 어린시절을 보냈습니다.

책읽기를 좋아했던 그는 하루의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냈고 일찍부터 독서광이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노년에 들어서도 독서만이 자신을 우울함과 게으름에서
해방시켜 준다고 말할 정도로 독서에 대한 애정이 대단한 철학가였습니다.

몽테뉴는 자신의 독서방법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만약 어떤 책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나를 피곤하게 만든다면
나는 지체없이 그 책을 내려놓고 다른 책을 집어든다." 
중세를 대표하는 지식인이었지만 그의 책읽기는 단순했습니다.

바로 "즐거움"입니다. 
바야흐로 책읽기의 계절이 찾아왔습니다.
수준 높은 고서나 어려운 책을 읽어야만 교양인이 아닙니다.
책은 나에게 즐거움을 주는 친구 같은 존재입니다.





미셸 에켐 드 몽테뉴 (Michel Eyquem de Montaigne 1533년 2월 28일 - 1592년 9월 13일)는 프랑스 철학자, 사상가, 수필가이다.


몽테뉴라는 마을의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법률을 공부한 후, 보르도 법원에서 법관을 지냈다. 그 후 1571년 고향으로 돌아와 저술에 몰두하였다. 1580년 유명한 <수상록>을 완성시켰는데, 그는 이 책에서 인간의 거짓 없는 모습을 그렸다. 그와 같은 인간의 연구가·관찰가를 프랑스 문학사에서는 모랄리스트(인간 연구가)라 부르고 있다. 그는 프랑스의 모랄리스트 문학의 토대를 쌓았을 뿐만 아니라 수필 문학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는 처음에는 금욕적인 인생관을 가르쳤으나, 천동설이 지동설로 바뀌고, 신대륙이 발견되는 등 상식이 붕괴되자 충격을 받아, 인간 이성의 한계를 주장하면서 개혁을 혐오하고 보수주의를 신봉하였다. 그러나 내심으로는 자유주의를 지지하고, 귀족보다는 농민의 태도를 찬양하였으며, 형식주의적 법 이론을 배척하여 인간애를 고취하는 등 인간의 가치를 추구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4 "책장 넘어가는게 아깝더군요" 시골의사 박경철님 멘트 1 현영석 2010.10.23 1962
3643 200회 정기 모임 최종 안내 9 송윤호 2010.10.22 2016
3642 11월, 12월 강연자 섭외 결과 9 강신철 2010.10.21 2123
3641 [공지] 200회 정기모임 참가 신청 49 송윤호 2010.10.20 2579
3640 잊혀진 사실 강신철 2010.10.16 1774
3639 '쉬!'의 문인수 시인님을 만나보세요 1 황선애 2010.10.15 1892
3638 [공모] 200회 행사 -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 !!! 3 송윤호 2010.10.12 2644
3637 [공지] 200회 기념행사 안내 (장소 확정) 2 송윤호 2010.10.12 2949
3636 절판된책 2 황현 2010.10.12 2137
3635 내일 모임에 꼭 참석하고 싶었는데... 못하는 아쉬운 맘에 글 남깁니다. 2 손민영 2010.10.12 1708
3634 10월 시민문화강좌-시인 도종환과의 만남 file 황인칠 2010.10.11 1694
3633 生物詩 <행복한 족속을 미워하지 말자> 4 박성일 2010.10.11 1838
3632 [10/21목] 박문호박사님 초청 '뇌과학 시리즈 강연' 안내 1 우경아 2010.10.09 1827
3631 대전 MBC 오후의 발견 [강신철 교수님 인터뷰] 5 연탄이정원 2010.10.07 2157
3630 광고천재 이제석님 글 6 이중훈 2010.10.06 1888
3629 백북스 200기념행사 일자(10월23일)를 공지합니다 6 강신철 2010.10.06 1951
3628 임해경 운영위원 대전예술의전당 관장 선임 9 강신철 2010.10.06 1986
3627 정의란 무엇인가 : 샌달 하바드 교수 동영상 강의(영문) 10 현영석 2010.10.04 4081
3626 한창훈 소설가를 미리 만나보세요 16 강신철 2010.10.02 2205
3625 절 받으소서..가입문안드리옵니다 2 김순영 2010.09.28 17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