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888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광고회사 취직시험에 연패했다
대학 간판을 중시하고
실력보다 스펙만 외치는 사회
그러나 세계적인 예술가
백남준은 명문 미대를 나왔던가
스펙은 중요하지만
과실의 향기 같은 게 아닐까


나는 광고장이다. 미국한국을 오가며 기업이나 제품의 그럴싸한 간판과 포장을 만들며 살고 있다.

나는 대학 졸업 후 2006년 미국으로 유학 갔다. 2007년 한 해 동안 8개 국제적인 광고 공모전에서 30여개의 각종 메달을 받았다. 세계 3대 광고제의 하나로 꼽히는 뉴욕의 원쇼 페스티벌에서는 ‘굴뚝 총’으로 최우수상을 받았다.

공장 굴뚝을 총열로 바꿔 ‘굴뚝 총’에서 연기가 흘러나오는 장면으로 ‘대기오염으로 한 해 6만명이 사망합니다’를 연출했다. ‘누군가에게 이 계단은 에베레스트산입니다’라며 지하철의 높은 계단에 에베레스트산을 그려놓은 작품은 광고계 오스카상이라는 클리오 어워드에서 동상을 받았다. 내가 생각해도 대단한 일이었다.


나는 중·고등학교 때 공부 대신 종이와 연필만 있으면 만화를 그렸다. 친구들은 “속편이 언제 나오느냐”며 내 만화가 나오기만 기다렸다. 고교 때 선생님들은 공부시간에 딴 짓하는 나를 혼냈지만 담임선생님만은 오히려 “미술대학에 가라”며 격려해주셨다. 내 적성에 맞았는지 나는 만화에서 상상력을 키웠고 그 창의력이 발휘된 게 바로 광고 무대였다.




일러스트=이철원 기자 burbuck@chosun.com
사실 내가 미국 유학을 결심한 것은 아주 사소한 문제 때문이었다. 당시 대구의 한 미술대학을 수석으로 나왔지만 국내 대기업 광고 회사 취직시험엔 연전연패했다. 내가 그토록 공부를 열심히 해 받은 학점은 한국에선 쓸모가 없었다.

어떤 기업도 그것을 평가해 면접에 오라는 데가 없었다. 지방대의 한계에 절망했다. 나는 대구에서 음식점·안경점·사진관 등의 인테리어나 간판을 그려주는 동네 간판장이 노릇을 시작했다.


그러던 내가 동네 명함집 아저씨한테 판정패를 당했다. 30만원을 받기로 한 국밥집 간판인데 “10만원이면 할 수 있는 것을 왜 30만원이나 주려고 하느냐”는 그의 말에 그만 손을 들고 말았다. “누구는 선 하나 긋고 디자인이라며 30억원을 받는데 나는 죽어라 고생해서 간판을 만들어도 왜 30만원도 못 받아야 하나?” 억울했고, 분하기도 했고 세상을 이해하기도 힘들었다.

“그래, 내가 그동안 스펙(학력·학점·토익점수 등 입사시험 평가요소 )이 없어 경쟁에서 얼마나 많이 밀려났던가. 이참에 나도 스펙을 잘 만들어 놓고 진짜 실력으로 세상과 싸워보자.” 미군 부대를 들락거리며 1년간 영어공부를 한 뒤 미국행 가방을 쌌다.
미국의 대학에선 내 학점을 보고 장학금까지 주겠다며 오라고 손짓했다.

한국처럼 대학 간판을 그리 중시하지 않은 것이다. 대학 다닐 때 각종 국내 광고 공모전에서 그 흔한 장려상조차 받아 본 적이 없다. 그러나 미국에 간 지 1년 만에 상복이 터졌으니 이걸 무엇으로 설명해야 할까.


따지고 보면 한국처럼 실속 없이 간판만 중시하는 곳은 없다. 그러니 부작용도 만만찮다. ‘보여주기’ 식의 우리의 문화는 기업문화에도 그대로 이어지는 게 아닐까.


요즘 아이폰이 출시되면서 국내 휴대폰 회사들마다 비상이 걸렸다. 과연 국내 기업들은 그동안 무엇을 했을까. 새로운 기술로 차원이 다른 진보된 제품을 만드는 데 주력했을까. 오히려 똑같은 제품을 놓고 얄팍하게 제품 이름과 껍데기만 바꿔서 신제품이라고 내놓았던 것은 아닐까?


자동차 시장도 마찬가지다. 어느 날 느닷없이 ‘아이폰’이 아닌 ‘아이카’ 같은 게 나타날지 알 수 없다. 우리가 껍데기만 바꿔 신제품이라고 발표하고 있을 때 어디선가 비장의 무기가 나올지 모를 일이다.

‘한국차=싼차’라는 이미지를 언제까지 업고 가야 하나? 우리가 명차로 알고 있는 벤츠나 BMW는 껍데기만 화려한 명품이 아니다. 그들은 2차 세계대전에서 얻은 탱크 제조 기술력으로 수십만대의 차를 때려 부수며 안전도 테스트를 거쳐 최고 성능의 기계를 만들었다. 그런 다음에 비로소 멋진 껍데기를 씌운 것이다.


그럴싸하게 포장하는 광고도 겉이 아닌 속에 신경 써야 경쟁력이 생긴다. 잘 되는 식당은 맛으로 승부한다. 아무리 식당을 인테리어로 멋있고 화려하게 치장해도 맛이 없으면 손님은 끊기기 마련이다.


올해 스물아홉밖에 안 된 나이지만 사람들이 나에게 “광고를 잘 만드는 비법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나는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고 말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훌륭한 가수가 되려면 노래를 잘해야 하고, 좋은 연필은 잘 써져야 하고, 차는 잘 굴러가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그러기보단 좋은 머리로 잔재주를 부리기에 바쁘다. 나는 세상에서 기본이, 정도(正道)가 가장 빠른 지름길이라 생각한다. 세상에서 기본이 제일 쉽지만 기본이 제일 어렵기도 하다.


안타깝게도 내가 아는 많은 친구, 동료들은 화려한 겉만 좇지 속은 텅 빈 삶을 살고 있다. 실력을 갖추기보다는 스펙을 쌓아야 된다며 젊음을 바친다.


그러나 위인들은 과연 얼마나 대단한 스펙을 가졌을까. 나는 세계적인 아티스트로 손꼽히는 백남준이 어떤 미대를 나왔는지 모른다. 헬렌 켈러 여사가 무슨 명문 여대를 나왔는지도 모른다. 그들은 단지 철학과 원칙을 지켜 역사의 한 획을 그었던 것이다.


나는 스펙 자체를 부정하지 않는다. 스펙이란 마치 옹골차게 속이 익은 과실에서 자연스럽게 풍기는 향기 같은 것이어야 하는 게 아닐까라고 생각한다.
  • ?
    연탄이정원 2010.10.06 19:41
    학사, 석사, 박사모를 쓰고 한치의 오차도 없이 줄을 지어 행렬하는 모습과 그 옆에 홀로 별을 따겠다고 외길로 뛰어가는 친구가 인상적입니다. 오랜만에 스크랩 글 반갑고 고맙습니다.
  • ?
    문주성 2010.10.06 19:41
    아직 인생의 바닥을 뒹굴지 못한 고등학교 2학년입니다.
    아직 인생의 뒤돌만한 나이는 아니라 모르겠지만 특히 마지막 말에 감명을 받았습니다.
  • ?
    이병록 2010.10.06 19:41
    학벌, 인지도보다는 실력이 인정받는 사회가
    직업 귀천이 없이 전문가가 인정받는 사회를 그려봅니다.
  • ?
    우성범 2010.10.06 19:41
    가슴이 절절해지네요.
  • ?
    최유미 2010.10.06 19:41
    한국사회는 명문대학과 각종 영어실력만이 그 사람의 직업 성공과 비례하고 있다는 망상에 빠져있습니다. 그러다 나이가 들면 고장난 고물 취급을 하고 직장에서 쫓아버리거나 그만 두고 그 자리가 비면 무경험자만 채우죠. 시행착오와 경험은 무시할 수 없고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데, 그런것은 책에 나오지 않는데 말이죠.
    개인적인 사정으로 미국에서 10년 살다가 작년에 한국으로 다시 들어가 병원에서 자리를 찾아보니 나이가 많다 윗사람이 더 젊어서 안된다.등등으로 퇴짜를 놓아 그냥 미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제가 근무하는 직종에 응모시 나이는 쓰지 않아도 됩니다. 아예 쓸 이유가 없지요. 그냥 어떤 직장에서 몇년을 일했느냐 중요하고 인터뷰와 추천서가 중요하죠
  • ?
    최유미 2010.10.06 19:41
    그리고 누가 어느 대학을 나왔는지 아무도 물어보지 않습니다.
    한국에서 깜짝 놀랐던건 모 대학병원 이력서란엔 가족사항과 그 가족이 직장에서 어떤 직위인지를 묻더군요. 정말 한심한 작태입니다.
    나의 근무 능력과 내 가족 직위가 무슨 상관이란 말입니까?
    경직된 한국사회, 껍데기를 신처럼 모시는 사회, 언제나 깨어나 비상할런지
    정말 걱정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04 [공지] 200회 기념행사 안내 (장소 확정) 2 송윤호 2010.10.12 2949
3603 절판된책 2 황현 2010.10.12 2137
3602 내일 모임에 꼭 참석하고 싶었는데... 못하는 아쉬운 맘에 글 남깁니다. 2 손민영 2010.10.12 1705
3601 10월 시민문화강좌-시인 도종환과의 만남 file 황인칠 2010.10.11 1694
3600 生物詩 <행복한 족속을 미워하지 말자> 4 박성일 2010.10.11 1838
3599 [10/21목] 박문호박사님 초청 '뇌과학 시리즈 강연' 안내 1 우경아 2010.10.09 1827
3598 대전 MBC 오후의 발견 [강신철 교수님 인터뷰] 5 연탄이정원 2010.10.07 2157
» 광고천재 이제석님 글 6 이중훈 2010.10.06 1888
3596 백북스 200기념행사 일자(10월23일)를 공지합니다 6 강신철 2010.10.06 1951
3595 임해경 운영위원 대전예술의전당 관장 선임 9 강신철 2010.10.06 1986
3594 정의란 무엇인가 : 샌달 하바드 교수 동영상 강의(영문) 10 현영석 2010.10.04 4081
3593 한창훈 소설가를 미리 만나보세요 16 강신철 2010.10.02 2205
3592 절 받으소서..가입문안드리옵니다 2 김순영 2010.09.28 1720
3591 우리 삶속의 정념들을 어떻게 사유해야 할 것인가, 정념의 해부학! 1 다지원 2010.09.21 1766
3590 26일 경영경제 모임 2 김학성 2010.09.21 1775
3589 2010 행복한 책 읽기 전국독서감상문대회」참가 안내 file 류지은 2010.09.19 2122
3588 구즉 도서관 북콘서트(9월18일 토 오후 7시) 강신철 2010.09.18 2056
3587 풍성한 한가위 맞으세요 7 현영석 2010.09.17 1919
3586 백북스 200회 기념행사 11 강신철 2010.09.16 2214
3585 6개월에 100권 읽었어요 (기사전재) 3 현영석 2010.09.15 20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