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993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엔 트윗창을 보고 아무 생각없이 웃었습니다.

그리고 생각해봤습니다.

大학에서 배우는 大학생들이 갖춰야하는 교육의 수준
사회의 일원으로서 大학생이 가져야할 시각과 시야
문화인으로서 大학생이 갖추어야할 의식의 수준

과연 지금 대학생의 모습은,
그리고 사회생활을하며 이렇게 책을 찾는
우리 자신의 모습은 어떠한가!

스스로 책을 고르고,
장을 넘기며,
기꺼이 참석하고,
스스로 통하는 회원님들께서는
이런 현상이 너무나 당연한 이유를 잘 아시겠지만..
  • ?
    임석희 2010.09.11 09:57
    중고생때, 심지어 대학에서 조차도 우리는 "우리, 나 자신"에 대해 생각하고 배울 기회를 박탈당했습니다. 오로지 17-18세기의 정보가 세상 만물의 이치라고 배우며 십대를 보내고, 또 20대30대를 보내고 있습니다.

    "현대사, 현대물리, 현대윤리(철학?), 현대예술, 현대문학" 현대라는 말이 들어가면,
    이건 시험에 안 나오니까, 혹은 현대는 아직 밝혀진게 없어서, 혹은 현대는 마치 강건너 다른 세상일인듯 그렇게 대하도록 교육을 받았던거죠.

    하지만, 살면서 느끼는, 무언가 말로 표현하기는 어려운, 그 느낌들이 혹은 불안과 초조가
    내가 현대인이기때문에 머리로가 아니라 내 몸이 먼저 느끼는다는 걸,
    그리고 나를 알기 위해선, 나 자신의 내면에 다가가기 위해선
    "현대"라는 이름을 멀리해선 안된다는 걸
    그것을 "나 자신"속으로 or 내가 현대속으로 풍덩 들어가지 않고선
    나의 고민이 해결되지 않는다는 걸 ...

    나이를 먹어 철이 드든 걸 수도 있고,
    백북스를 통해서일수도 있고,
    또 다른 지적 자극에 의해서일수도 있고...

    애니웨이, 이제 "현대" 라는 단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대물리(양자역학)가 나에게 필요하다는 것을 중고대학에서 알 수 있게 된다면,
    양자역학 수강신청은 폭발적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제가 다시 20대로 돌아가 대학생이 된다하더라도,
    여전히 "현대"를 마치 무언가 알아서는 안되고,
    내가 알 수도 없는 영역이라는,
    또 알아도 크게 도움도 되지 않는다는
    그런 분위기 속이라면, 저 역시 여전히 "양자역학"의 ㅇ에 관심조차도 안 보낼겁니다.
    그러니, 폐강시켜버린 대학생들이 야속한 것이 아니라,
    학생들에게 "현대"를 포기하도록 만드는 이 사회 분위기에 서운합니다..

    (이상 그냥 제 생각.)
  • ?
    우성범 2010.09.11 09:57
    기회의 박탈이라는 상황,

    어쩜 수동적인 표현일 수 있겠으나

    그 시기에
    스스로 꼭 기회를 찾아 눈을 부릅뜨거나
    처한 상황이 똥줄이 타들어갈 정도가 아니면

    사실 기회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살았다는 건
    너무나 당연한 사회분위기였다고 보여집니다.

    저역시 대학다니던중,
    상경하여 해당분야의 시계열상 끝자락을 체험하고선
    대학이 있는 쪽을 바라기도 싫었으니까요.

    그렇습니다.

    스스로 눈을 뜨게하고,
    스스로 느끼게하고,
    스스로 찾아 말하게 하는
    사회분위기가 부족했다는 것이 너무 아쉽습니다.

    하물며 반대로 말하지 못하게 하고 억압했던 시절도
    있었으니 참 맷돌손잡이 없는 경우지요.

    사회분위기가 아쉽다거나 서운하다는 표현으로는 성에 안차지만
    그 구성원모습이 중반에 접어드는 내 스스로의 모습이니 부끄럽기도 합니다

    최근들어
    진정 배움이 있는 분들께서
    기부형태로 강의를 기획하는 내용을 보며
    맘속으로 큰 감동이었습니다.
    어린학생들에게
    기회를 찾는 접점을 만들어 줄 수 있기를...

    저 스스로도 기회를 찾아 시선을 맞출 수 있기를..
  • ?
    현영석 2010.09.11 09:57
    오늘 합정동 양자역학 강의 출석자 45명.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04 안내┃2014 겨울학기 강좌 신청하세요 느티나무지기 2013.11.28 1488
4103 [세미나] 가따리, 네그리, 들뢰즈, 마르크스, 영어, 페데리치 세미나에 초대합니다. 김석민 2013.11.19 1453
4102 [아카데미] <고전으로 이해하는 정치사상 - 근대편> / 김만권 정치학 박사 느티나무지기 2013.11.06 1502
4101 [강연] 홍기빈 소장에게 경제학의 새로운 대안을 묻다! 미선 2013.10.30 1660
4100 10월 26일 (토) 한국정신과학학회 추계학술대회 김선숙 2013.10.26 1735
4099 * 종로광장시장 인문학콘서트 "시장과 돈" * 노진아 2013.10.22 1468
4098 백북스 포인트, 이걸로 뭘 하나요? 이혜숙 2013.10.19 1492
4097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분리적 불행의 비극 미선 2013.10.18 1628
4096 [아카데미] < 민주주의의 새로운 실험, 생활정치> + <고전으로 이해하는 정치사상> 느티나무지기 2013.10.16 1427
4095 조명한 교수(저) [누가복음의 이해] 책과 관련하여 1 이정모 2013.09.27 1719
4094 전체 노동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그림자 노동>Shadow Work에 대하여.. 미선 2013.09.25 1624
4093 [몸학 강좌] 새로운 몸삶 이론 (9월29일 개강) 미선 2013.09.16 1691
4092 [10/7 개강] 다중지성의 정원 2013년 4분학기 프로그램 안내! 김하은 2013.09.14 1431
4091 한국정신과학학회 공부방 9월 모임 안내(9월 4일 오후 7시) 한국정신과학학회 2013.09.04 1759
4090 공룡의 땅, 고비사막 5 문경수 2013.08.30 1784
4089 [일상미학] 2013일상미학강좌 <손의 문화_호모 파베르의 귀환> 소개합니다! file 김지연 2013.08.28 1494
4088 프레시안books 서평 2 이정원 2013.08.14 1784
4087 통합심신치유 코스와 뮤지션 김태곤박사의 힐링 콘서트 및 다양한 프로그램으로의초대! file 김선숙 2013.08.10 1771
4086 하기수련캠프에 초대합니다-한국정신과학학회 file 김선숙 2013.07.30 1820
4085 꿈에... 임석희 2013.07.24 15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