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0.09.03 20:55

애물단지& 백북스 7인

조회 수 2802 추천 수 0 댓글 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진촬영 조수윤>

1.'애물단지', 그 벼랑위에 집을 짓다
건축가 김억중의 인테리어 소품전 2010
갤러리 이안 : 대전시 중구 대흥동 153-5 이안과병원 1층
전화 : 042)220-5959 /www.galleryyian.com

2. 오늘의 주신공 건축가 김억중교수님께서 전시 설명을 하고 계십니다.

김억중(金億中)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 건축과 diplome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 Assistant
충북대학교 대학원 건축과 공학박사
현재 한남대학교 건축과 교수


저술
건축에서의 전형의 추구와 대중화문제, 신주택미디어, 1993
지역성의 향방과 그 발견, 현실비평연구소, 1994
건축과 함께 한 나의 삶, 도서출판 발언, 1996
Le Corbusier 건축작품 읽기, 기문당, 1996
일상의 건축, 기문당, 2000
프랑스 문화예술, 악의 꽃에서 샤넬 no.5까지, 한길사, 2001
건축가 김억중의 읽고 싶은 집 살고 싶은 집, 동녘, 2003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동녘, 2008


건축전시
아주미술관 개인전(2004)
KBS 홀, 이안 갤러리 개인전(2007)
이안 갤러리(2010)


주요건축 작품
유성구 문화원(2001), 대덕 아주 미술관(2004), 공주 어사재(2006), 논산 수경당(2006), 논산 사미헌(2007), 천안 완락재(2008), 광주 사가헌(2009), 대전 무영당(2010), 논산 애일헌(2010) 등 주택 연작
<전시 작품도록 뒷날개中>
대전 '무영당'은 현영석 운영위원님의 자택이라한다.^^ 내가 듣기로 김억중 교수님은 설계를 하시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작품에 항상 '이름'을 붙여주신다고 한다.


3. 오프닝 파티에 참석한 분들
사진 속에 보이는 분들이 참석자의 전부라고 착각하지 마라^^, 입구부터 반대편까지 빼곡히 자리한 사람들. 참으로 많은 분들이 참석하였다. 나의 '물귀신' 작전이 지난 '백북스정기모임', 진해여행 '달밤의 물장구', 그리고 '애물단지' 전시회에도 성공하였으니 나도 한 몫 한셈인가?^^

그래, 애물단지야! 내게로 와 자유를 얻어라! 한 때 단지들이야말로 삶의 미학에 충실했던 고귀한 용기였으나 이제는 죄 내다버려지거나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애물단지 신세가 되어버린 것이 늘 가슴이 아파 기회있을 때마다 여기저기서 단지들을 사 모아왔다. 하지만 마암리 작업장에 단지가 수북해지자 여지없는 애물단지가 되었으니, 그 또한 보기 민망하였다. 하여 그 중에 몇몇을 골라 바탕칠을 새로 하고 그 벼랑 위에 그림을 그려 넣는 객쩍은 짓을 마다하지 않았던 것인데, 기실은 그렇게 그려진 애물단지들을 다시 집안 어느 구석엔가 '그자리, 그런 모습으로' 잘 들여놓기만 한다면 제법 두고볼만한 인테리어 소품으로 거듭 태어나 기왕의 위상을 다소나마 되찾을 수 있으리라는 마음에서 비롯되었다. 그래, 애물단지야! 내게로 와 자유를 얻어라! <전시 작품도록 뒷날개中>


4. 바이올린의 김미영님과 기타연주
바이올린의 김미영님은 건축가 김억중님의 아내분으로 피아노 연주때와는 또 다른 강렬한 카리스마가 느껴졌다. 음악과 함께한 전시 참으로 좋았다. 내가 꿈꾸던 그런 전시회^^


5. 전시관람에 참석한 백북스 2030 여성회원들
임은정님, 조수윤님, 이정원, 김억중교수님, 임석희님, 리틀 서윤경님, 김인숙님, 그리고 절대 사진을 안찍는다며 기어코 사진을 찍어주겠다던 김윤정님. 담엔 내꺼 카메라 들고가서 꼭 찍고야말테다.^^ 그외에도 예상했던 창의성 디자인의 3인이 계셨다.


6. 은정씨와 나는 열심히 식사하는 동안 인숙언니와 석희언니는 열심히 작품관람중,
두 분은 어떤 대화를 나누었을까?^^ 표정이 심오해 보인다. 사실, 난 작품을 제대로 감상을 할 수가 없었다. 오시기로 약속하신 분이 안 보이셔서 전시장 입구로 사람들이 입장하면 두리번 두리번 거리느라 눈 빠지는 줄... 아무래도 전시기간 안에 다시 한번 시간내어 관람해야 할 듯 하다.

7. 나의 절친인 은정씨와 (블랙& 화이트^^)
은정씨와 함께 대흥동 프랑스문화원 '골동품 소장품전'에 들르느라 바쁜저녁, 걸어서 5분 거리라 함께 걸으며 동안 서로의 속내를 털어 놓았다. 동생이지만 나의 비밀을 털어놓을 만큼 속 깊은 친구다. 이로써 우리둘의 비밀은 한가지씩 더 늘었다.^^


8. 리틀서윤경님과 석희언니
리틀서윤경님, 게시판에서 이름으로만 만나다가 석희언니를 통해, 첫 대면. 알고보니 리틀서윤경님은 '경영경제'의 초창기 맴버이고 '경영경제' 총무였다고 한다.  


임석희님, 우주항공연구원의 그 유명하신 임석희언니, 오래전 '천문우주' 모임의 현장스케치중 발표하는 모습으로 만 늘 뵈었는데, 드디어 석희언니와 대화를 하게 되었다. 오늘은 참으로 운이 좋은 날인가 보다. 백북스의 터줏대감을 두 분이나 뵈었으니 말이다.


9. 오프닝 파티의 연장전, 저녁식사
미루고 미루었던 건강검진을 다음날 하기 위해서는 저녁 6시이후엔 금식을 해야하건만... 맛난 음식이 너무 많아 도저히 먹지 않을 수가 없었다. 부드러운 것만 살짝 먹어도 되겠지? ^^ 어제저녁 잔뜩 먹고 새벽부터 건강검진하러 갔는데 내가 1등으로 갔다, 그런데 오늘 검강검진 결과가 이제서야 겁이난다.


10. 2030 아지트의 조명
오늘 2번째로 만난 김윤경님은 기꺼이 자신이 알고 있는, 그리고 이젠 우리도 알아버린, 우리들의 맘에 쏙든^^ 2030만의 아지트로 우리를 안내하신다. 화통하고 명쾌한 분이신 것 같다. 앞으로 급 친해질 듯하다.


우리는 이쁜 조명아래 밤이 깊어가는 줄 모르고 서로의 매력 속으로 빠져들었다. 다음날 건강검진만 아니였다면 좋아하는 맥주 한잔 시원하게 들이켰을텐데, 이쁜조명 아래 더욱 빛을 발하는 맥주 잔은 내 맘을 하는지 모르는지... 가득 따라놓은 맥주잔 만 들었다, 놨다, 들었다, 놨다 반복하느라 참으로 애가 탔다. 늘 혼자 백북스 정기모임을 다니다가 함께하는 이들이 급 늘어나니 내가 얼마나 좋은지, 그 분들은 아시는지? 모르시는지?

참! 방명록에 증거를 남기기 위해 '백북스 이정원' 교수님 축하드립니다. 라고 남기고 왔는데, 김억중 운영위원님께서 나의 존재를 아시기는 할까? 의문이다. 연탄이라도 덧붙일걸 그랬나?^^


 


 

Who's 연탄이정원

?
삶이란 나 아닌 그 누구에게 기꺼이 연탄 한 장 되는 것
Atachment
첨부 '9'
  • ?
    우성범 2010.09.03 20:55
    댓글 test

    애물단지라.. 어린 아기나 자식이 부모보다 먼저 죽으면 단지에다 넣어서 묻는데서 애를 태우던 아기 무덤 이라는 뜻의 애물 단지라고 한다 .

    어릴적 '으름(일명 조선바나나)'따러 산에가면 '독담'이라는 것이 많았다. 단지에 넣고 돌로 쌓아둔 무덤이었다. 그게 뭔지도 모르고 지나쳤었고 집에 돌아와서야 부모님께 묻고 소스라치게 놀란적이 있었다.
    '애물단지'가 바로 그 돌로 쌓여 있는 항아리 아닌가.

    '애물단지'라는 단어의 유래는 그러하지만 다른 의미로 자주 사용하는 단어다.
    오히려 소중하고 귀이 여기 물건이라는 느낌으로만 여겨진다.

    산과 닿아있는 옆마당에 단지가 다섯 개 정도 놀고있다.
    그냥 비어있고 제철 열매들이 장에 나오면 술이나 진액을 내기위해 사용해아겠다고 생각하지만..
    그러지 못하고 있다.

    가을날 수숫대 같은 가슴으로 집에 돌아오면
    진한 대추차 한 잔 내올 수 있는 愛物 단지라면 참 좋겠다.

    주말에 작은 단지를 내어 열매를 담아봄직하다.

    전시회에서 보여지는 애물단지는 어떤 느낌이었을까..
  • ?
    이병록 2010.09.03 20:55
    낯이 익은 모습들이 많이 보입니다.
    마지막 전구는 항성의 궤도처럼 타원형으로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
    임석희 2010.09.03 20:55
    신석시시대의 작품을 만나고 온 듯합니다.
    최대한 절제하고, 최소한의 재현으로
    "애물단지" 옹기들의 재탄생으로
    김억중 교수님의 "집"에 대한 마음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토요일 3시에 김억중 교수님께서 백북스 회원들에게 직접 설명해 주실 예정이라고 하니,
    관심 있는 분들은 토욜에 움직여 보세요~

    지하철로 "중앙로역"에 내리셔서, 2번출구로 가시면 이안갤러리(이안과 1층) 나옵니다.
    지하통로 끝까지 걸어가서 왼편으로 나가시면 되는데,
    지하도가 시원하고 깨끗해서 걸어가는데 좋았습니다. ^^

    그리고, 장군님~
    마지막 사진의 전구는... 전시장 모습은 아니고, 새로생긴 아지트의 모습이예요. ^^
  • ?
    연탄이정원 2010.09.03 20:55
    http://www.100books.kr/?no=15074

    9월 4일 토 오후 3시 꼭 참석해 보세요.
  • ?
    김윤정 2010.09.03 20:55
    목요일날 너무 즐거운 시간이었어요.
    애물단지도 잘 관람하고 음악에 흠뻑 빠져도 보고
    좋은 사람들과 이야기도 하구요.

    아지트라? ㅎㅎ
  • ?
    김향수 2010.09.03 20:55
    와우 부럽네요,
    애물단지 전시회, 격조와 우아함이 흐르고, 음악까지,

    백북스식구들의 즐거움이 전해옵니다.

    축하드립니다.^^*
  • ?
    김향수 2010.09.03 20:55
    아지트의 전구가 항성의 궤도처럼 타원형으로,
    와우 인테리어아닌 예술로!?
    백북스적인 발상이네요,
    바로 창의력으로 연결됩니다. ㅎㅎㅎ, 유쾌해집니다.^^*
  • ?
    리틀서윤경 2010.09.03 20:55
    너무나 오랫만에 백북스인들을 만나서 반가웠습니다.^^
    연탄 이정원님..가끔 게시판에서 아이디만 보면서 궁금해했었는데..이제 궁금증이 풀렸습니다.ㅎㅎ
  • ?
    이정원여 2010.09.03 20:55
    그래, 이런 때가 있었지. 한 친구는 연락이 끊겨 소식을 알 수 없고, 또 다른 친구는 결혼해 그녀를 쏙 닮은 아들을 낳고, 몇몇 친구는 가끔씩 게시판을 통해 소식을 듣고... 옛 사진들을 보며 까마득한 옛일 처럼 추억을 되새겨 보는 밤. 이런 때가 있었지.
  • ?
    이기두 2010.09.03 20:55
    사진으로만 이지만,

    넉넉하고,
    탄탄하고,
    온화한 선과 볼륨을 본 것 같습니다.

    중국, 한국, 일본, 삼국을 아우르던
    포용력있는 백제의 혼이 생생하게 살아나는 듯.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04 공지 나는 일요일 박문호박사님이 한 일을 알고 있다 3 김민정 2008.09.04 1322
3903 공지 새내기 가입인사 드립니다. 5 임선희 2008.10.26 1323
3902 공지 뇌과학연구회 첫모임 오늘 저녁7시 4 file 박성일 2007.12.14 1324
3901 공지 안녕하세요~ 4 이중훈 2008.10.25 1324
3900 공지 가입인사~.~ 7 김영준 2008.10.27 1324
3899 공지 교육의 목적 1 임해경 2007.12.03 1325
3898 공지 [동영상]양자물리학 6 임성혁 2008.01.24 1325
3897 공지 [동영상]나의 몸을 이루는 물질은 별의 죽음에서 기인한 것이다. 16 임성혁 2008.02.13 1325
3896 공지 2008년 2월 12일 화요일 독서클럽 모임을 마치고... 2 안소연 2008.02.13 1325
3895 공지 제가 좋아하는 노래(노랫말) 하나 소개 합니다. 5 임성혁 2007.12.11 1326
3894 공지 꾼과 광을 만나다. [워크샵후기] 6 이해선 2008.03.26 1326
3893 공지 가입인사드립니다~ 9 김정민 2008.07.28 1326
3892 공지 <프로젝트 써!>꿈길을 걸어가는 오늘이 행복하다. 8 류우정 2008.03.07 1327
3891 공지 오늘 저녁 7시입니다. '허정인의 플룻세상2' 4 문경목 2008.03.12 1327
3890 공지 100Books 학습독서 공동체 총무를 4명으로 확대 12 박문호 2008.03.13 1327
3889 공지 가입인사 드려요.. 3 정혜정 2008.05.08 1328
3888 212차 백북스 선정도서는 언제 올라오나요? 손민영 2011.04.19 1328
3887 4/17 (화) "발명과 기술" 소모임 공지 1 김형렬 2012.04.17 1328
3886 공지 [기사] 모두 뇌로 설명이 된다 - 조선일보 1 전재영 2008.10.27 1330
3885 참가신청합니다 1 노시표 2011.03.03 13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