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0.08.12 01:57

신과 뇌

조회 수 1938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무신론 반박 책 잇따라 출간



(서울=연합뉴스) 황윤정 기자 =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는 저서 '만들어진 신'에서 신은 인류가 만들어낸 "망상"이라며 과감하게 신의 존재를 부정하라고 주장했다.

종교와 신의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를 제기한 도킨스의 주장은 큰 파장과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지금도 신의 존재를 둘러싼 논쟁은 여전히 뜨겁다.

최근에는 도킨스의 주장에 반박하며 신의 존재를 옹호하는 책들이 잇따라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이 과학적 근거로 신을 부인한 책이라면 '신은 뇌속에 갇히지 않는다'(21세기북스 펴냄)는 역시 과학에 근거하면서도 신과 종교적 경험에 대한 증명을 시도하는 책이다.

저자인 캐나다 몬트리올대학의 연구원 마리오 뷰리가드는 신비 체험 등 다양한 영적인 경험들이 뇌에서 일어나는 물리, 화학적 반응에 의한 망상일 뿐이라는 유물론적 신경과학자들의 주장을 과학 실험을 통해 반박한다.

저자는 우선 가르멜회 수녀들에 대한 뇌 실험 결과를 반박의 증거로 제시한다.

기도와 명상 중에 종교적 체험을 한 수녀들의 뇌를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촬영한 결과 측두엽 뿐만 아니라 하위 두정소엽, 시각 피질, 미상핵 등 뇌의 많은 영역이 종교적 체험과 연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을 믿게 하는 '신의 영역'이 측두엽에 있다는 유물론적 신경과학자들의 주장과 배치되는 것이다. 유물론적 신경과학자들은 인간의 영성은 진화를 통해 유전적으로 물려받은 인간 종(種)의 한 특징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저자는 또 유물론적 신경과학자들이 풀어야 할 최대 난제로 인간 정신과 자유 의지를 꼽았다.

유물론적 신경과학자들이 아직까지 인간 정신과 자유 의지에 대한 명쾌한 설명을 내놓지 못했으며 비유물론적 접근 방식이 유물론적 접근 방식으로는 도저히 설명이 불가능한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저자는 또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며 종교적, 영적 체험이 실질적인 치료 효과가 있는 것은 물론 인간의 삶 자체를 변화시키기도 한다고 말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플라시보(placebo) 효과.

가짜 약(僞藥)을 썼는데 치료가 되는 플라시보 효과는 신체와 정신이 연관돼 있음을 보여줄 뿐 아니라 '정신은 존재하지 않으며 아무런 영향력이 없다'는 유물론자들의 주장이 틀렸음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지난주에 번역 출간된 '신을 옹호하다'(모멘토 펴냄)는 영국의 대표적인 마르크스주의 문학비평가인 테리 이글턴이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무신론자들의 주장을 반박한 책이다.

이글턴은 이 책에서 대표적 무신론자인 도킨스와 크리스토퍼 히친스를 '디치킨스'라고 한데 묶어 부르며 이들이 서로 다른 영역을 다루는 과학과 신학을 같은 범주에 넣어 비교하는 '범주의 오류'를 범했다고 지적한다.
  • ?
    이중훈 2010.08.12 01:57
    영화 디센트 2를 봤는데 이 책 생각이 나더군요. 동굴 내부라는게 꼭 인간 뇌안처럼 복잡하기 그지없고 심연이고..아무리 신을 외쳐도 들릴 것 같지않은 공포 상황인데 이 책 생각이 나서 기분이 좀 나아졌습니다.
  • ?
    한정규 2010.08.12 01:57
    기도와 명상 중에 종교적 체험을 한 수녀들의 뇌를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촬영한 결과 측두엽 뿐만 아니라 하위 두정소엽, 시각 피질, 미상핵 등 뇌의 많은 영역이 종교적 체험과 연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저 영역 별 차이가 나타난 것 아닌가요... 책을 들여다 봐야겠지만 이 것은 좀 어색해 보입니다.
  • ?
    이병록 2010.08.12 01:57
    신이 없다고 판명나면 논쟁은 간단히 끝나지만
    신이 있다면
    샤머니즘과 같이 우리 주변에 조상신부터 시작해서 수 많은 신과 공생해야 하는건지?
    아니면 인도와 같이 3억개가 넘는 신들에서 主神을 골라야 하는 건지?
    야웨신 외에 다른 신을 믿지 말아야 하는 건지....
  • ?
    이정모 2010.08.12 01:57
    [신의 개념]
    다음링크에 첨부되어 있는 파일을 다운 받아 보시고 이 관점의 가능성을 한번 생각하여 보세요
    http://blog.naver.com/metapsy/40108013768
  • ?
    이정모 2010.08.12 01:57
    그리고 그 글을 읽어보신 후에 입가심용으로, [한국 상황과 관련하여] 한번 참고할 2010년의 최근의 이야기는 다음에 있습니다.
    [1. 우리의 이야기, 신의 이야기]
    http://blog.naver.com/metapsy?Redirect=Log&logNo=40108509543
  • ?
    이기두 2010.08.12 01:57
    이정모 교수님,

    기독교인 과학자로으로서 많은 학자적 고민속에 쓰신 수상록을 잘 읽었습니다.
    마치 팡세를 읽는 것같은 감동의 말씀을 만날수 있었습니다.

    기독교인이 아닌 사람이라도 교수님같은 분의 깊은 상념에서 나온 글을 읽으면 감동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4 양평 모임 사진들입니다. (1/2) 3 이종필 2009.05.03 2408
3543 공지 [2008년 7월 5일] 산행스케치 4 문경목 2008.07.07 2408
3542 사랑방 모임 (5.19, 저녁7시) 9 오창석 2009.05.19 2407
3541 공지 76회 토론은 박성일 한의원 원장님을 모시고 진행합니다 강신철 2005.08.12 2407
3540 수소결합을 이해해봅시다(뇌과학 1회강연 관련) 2 문건민 2010.02.02 2406
3539 공지 칸토르의 농담 3 이기두 2009.03.29 2406
3538 공지 감사드립니다 2 현영석 2003.07.02 2406
3537 공지 아! 선영씨... 2 윤석련 2003.06.16 2406
3536 공지 사람을 사랑하다 그것이 좌절이 되면 6 이선영 2003.05.21 2406
3535 공지 활성화 제안 01 1 송봉찬 2003.08.13 2405
3534 공지 <font color=red>[산행벙개]함께가실분~~.</font> 5 임현숙 2004.11.15 2404
3533 공지 [143회 독서토론회] 문태준 시인과 함께 한 '가재미' 현장스케치 9 류우정 2008.06.13 2403
3532 공지 “에드워드 윌슨 연구모임” 제안 21 엄준호 2008.12.10 2403
3531 공지 소주 한잔 했다고 하는 말이 아닐세... 이선영 2003.05.16 2403
3530 공지 책소개: 상품의 화학:욕망, 생명력, 번식, 이치, 고문주 옮김 1 이중훈 2009.01.18 2402
3529 공지 햇살에게 이선영 2003.07.10 2402
3528 공지 함께 감상하시지요. 윤석련 2003.02.26 2402
3527 공지 계룡문고에 가보니 13 김홍섭 2008.07.15 2401
3526 공지 내일 뵙겠습니다. ^^ 5 송윤호 2003.04.21 2401
3525 공지 나보다 어려운 이웃을 생각하며... 3 이선영 2003.05.29 24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