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0.08.06 00:26

과학과 예술

조회 수 1682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과학과 예술











김종락기자 jrkim@munhwa.com | 기사 게재 일자 : 2010-05-27 13:48























김종락 / 문화부장

대를 이은 법률가 집안은 흔하다. 의사나 과학자도, 문인이나 음악가, 화가 같은 예술가도 대를 잇는 경우가 많다. 환경 못지않게 유전의 영향이 클 것이다. 이런 사례들을 자주 접하다 보면 유전에는 단순히 머리가 좋고 나쁜 것뿐 아니라 사고성향, 즉 논리·수학적 사고유형이나 예술·감각적 사고유형 같은 세밀한 부분도 포함되는 것으로도 여겨진다.

하지만 그 반대 사례도 드물지 않다. 이를테면 오는 29일 탄생 100주년을 맞는 수필가이자 영문학자 피천득(1910~2007)선생의 딸 피서영 미 보스턴대 교수가 미국에서 손꼽히는 물리학자인 점이 그렇다. 피 교수가 미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로 역시 물리학자인 로만 재키씨와 결혼해 낳은 스테판 피 재키씨가 세계적인 차세대 바이올리니스트인 것도 우리의 상식을 벗어난다. 가야금 연주가인 황병기 예술원 부회장과 작가 한말숙씨의 아들 황준묵 고등수학원 교수가 세계적인 수학자가 된 것도 마찬가지다.

그런가 하면 한국 사학계의 거두였던 이병도(1896~1989)선생은 다섯 아들을 모두 과학자로 길러냈다. 국어학자였던 장지영(1887~1976) 선생의 집안도 전통 학자 집안에서 과학 명가로 바뀐 경우다. 문인이나 예술가의 자녀가 과학자가 되고 과학자의 아들이 다시 예술가가 되기도 하는 것을 보면 두뇌의 사고 유형은 유전과 관계없는 것인가.

이런 의문에 설득력있는 해법을 제시해 온 부부가 한국을 방문 중이다. 지난 2007년 국내에도 번역된 책 ‘생각의 탄생’의 저자 로버트 루트번스타인(미국 미시간 주립대 생리학과 교수)·미셸 루트번스타인(역사학자·작가) 부부다. 지난 25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막된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WCAF) 개막식에서 기조연설을 한 루트번스타인 부부에 따르면 과학과 예술은 창조행위라는 점에서 매우 유사하다. 장인의 경지에 이른 창조행위가 주는 미적 쾌감은 과학 분야에서도 예술분야만큼이나 강력하다고도 한다. “새로운 사실의 발견, 전진과 도약, 무지의 정복은 이성이 아니라 상상력과 직관이 하는 일이다. 그런데 상상력이나 직관은 예술가나 시인들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루트번스타인 부부가 ‘생각의 탄생’에서 노벨상을 받은 면역학자 샤를 니콜의 말을 인용한 것이다. 책에 따르면 프랑스의 일급 물리학자인 아르망 트루소도 니콜의 말에 다음과 같이 동의한다. “모든 과학은 예술에 닿아 있다. 모든 예술에는 과학적인 측면이 있다. 최악의 과학자는 ‘예술가가 아닌 과학자’이며 최악의 예술가는 ‘과학자가 아닌 예술가’이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아인슈타인 같은 학자를 논리수학적 사고유형으로, 문인이나 예술가를 언어나 시각·청각적으로 사고하는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 자체가 잘못이다. 시나 음악, 미술뿐 아니라 과학적인 연구 성과도 면밀한 의도나 계획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가슴으로부터, 직관적으로 바로 나온다는 점에서 같다는 이야기다. 최근 각 분야의 연구자들이 학문별 영역 구분보다는 학제간 가로지르기를 시도하거나 각급 교육기관이 앞다투어 통합교육에 나서는 것도 이와 관계가 깊다.

문제는 이같은 구호에도 ‘여전히 수학은 오로지 수식 안에서, 글은 오로지 단어 안에서, 음악은 오로지 음표 안에서’만 생각하도록 강요하는 교육이 횡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수식은, 단어는, 음표는 내적인 느낌이나 직관을 나타내는 기호일 뿐 본질은 아니다. 교육의 본질은 학생들이 느끼고 창조하게 이끌어내는 것이다. 유네스코 WCAF가 일회성 잔치를 지나 한국의 교육 전반을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어야 하는 이유다.
  • ?
    한정규 2010.08.06 00:26
    명문가가 존재한다는 슬픈 상황 속에서도... 환경이 유전에 앞서는 것 같다는 데에 한 표를 던지며... 한홍구 선생님 가족만 봐도...

    다 빈치가 천재이기 때문에 여러 방면에서 일을 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니라 여러 일을 했기 때문에 천재 같은 면모를 보여준 것은 아닐런지...
  • ?
    연탄이정원 2010.08.06 00:26
    <환경이 유전에 앞서는 것 같다는 데에 한 표를 던지며... >, 저도 한표!

    인간의 운명은 유전자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하지만, 두뇌에 의하여 극복됩니다.
    <朴星一원장님의 영교시 수업中>
  • ?
    이기두 2010.08.06 00:26
    .
    .
    .

    살아있는 동시에 죽어있고,

    입자인 동시에 파동이고,

    공간인 동시에 시간이고,

    물질인 동시에 에너지이고,

    환경인 동시에 유전이고,

    하나인 동시에 여럿이고.



    등등......



    이렇게 둘아님에 대한 견해들을 말하는 중에
    한말씀해 달라고 하니

    유마힐 선생은
    묵묵히
    한순간머무름을 보여 주었고,

    모든 과학자들과 예술가들과
    법률가들과 문학자들과
    역사가들.....등등,
    제씨들로 부터
    적절한 표현이라고
    칭찬을 받았습니다.




    ^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4 공지 양자역학의 모험 박문호 2005.03.21 2083
3543 공지 나를명품브랜드로만드는기술감상문좀보여주세요 김금중 2005.03.30 2123
3542 공지 기사 - 중력과 양자론 하나로 결합 ‘통일장 이론’ 언제나 나올까 서윤경 2005.04.06 2105
3541 공지 생각의 벽(책 소개) 2 박문호 2005.04.13 2323
3540 공지 아포크리파(책소개) 송영주 2005.04.17 1986
3539 공지 첫 인사드립니다^^ 2 김혜진 2005.04.18 2098
3538 공지 안녕하세요^^*첫인사드려요.. 1 이호진 2005.04.22 1908
3537 공지 좋은 책 많이 읽으려면 (퍼왔습니다 .^^ ) 2 송나리 2005.04.23 1975
3536 공지 오늘이 세계 책의 날이랍니다. 1 송근호 2005.04.23 2046
3535 공지 화창한봄입니다.^^* 이호진 2005.04.26 2158
3534 공지 현영석 교수님 - 교수신문 기사 강신철 2005.05.02 2327
3533 공지 마음 맹 박문호 2005.05.04 2085
3532 공지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목록 강신철 2005.05.07 2722
3531 공지 알림] 5월 10일 69회 토론회 안내!!! 송윤호 2005.05.09 2009
3530 공지 안녕하세요.. 이호진 2005.05.09 2145
3529 공지 KBS에서 보내온 편지 강신철 2005.05.11 2266
3528 공지 토론회 정말 좋았습니다^^ 3 김혜진 2005.05.12 2170
3527 공지 저도 뇌에 관해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요.. 이동규 2005.05.30 1914
3526 공지 뇌! 유현숙 2005.05.13 1822
3525 공지 TV책을 말하다 " 뒤안 길.. 문경수 2005.05.14 19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