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0.08.06 00:26

과학과 예술

조회 수 1682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과학과 예술











김종락기자 jrkim@munhwa.com | 기사 게재 일자 : 2010-05-27 13:48























김종락 / 문화부장

대를 이은 법률가 집안은 흔하다. 의사나 과학자도, 문인이나 음악가, 화가 같은 예술가도 대를 잇는 경우가 많다. 환경 못지않게 유전의 영향이 클 것이다. 이런 사례들을 자주 접하다 보면 유전에는 단순히 머리가 좋고 나쁜 것뿐 아니라 사고성향, 즉 논리·수학적 사고유형이나 예술·감각적 사고유형 같은 세밀한 부분도 포함되는 것으로도 여겨진다.

하지만 그 반대 사례도 드물지 않다. 이를테면 오는 29일 탄생 100주년을 맞는 수필가이자 영문학자 피천득(1910~2007)선생의 딸 피서영 미 보스턴대 교수가 미국에서 손꼽히는 물리학자인 점이 그렇다. 피 교수가 미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로 역시 물리학자인 로만 재키씨와 결혼해 낳은 스테판 피 재키씨가 세계적인 차세대 바이올리니스트인 것도 우리의 상식을 벗어난다. 가야금 연주가인 황병기 예술원 부회장과 작가 한말숙씨의 아들 황준묵 고등수학원 교수가 세계적인 수학자가 된 것도 마찬가지다.

그런가 하면 한국 사학계의 거두였던 이병도(1896~1989)선생은 다섯 아들을 모두 과학자로 길러냈다. 국어학자였던 장지영(1887~1976) 선생의 집안도 전통 학자 집안에서 과학 명가로 바뀐 경우다. 문인이나 예술가의 자녀가 과학자가 되고 과학자의 아들이 다시 예술가가 되기도 하는 것을 보면 두뇌의 사고 유형은 유전과 관계없는 것인가.

이런 의문에 설득력있는 해법을 제시해 온 부부가 한국을 방문 중이다. 지난 2007년 국내에도 번역된 책 ‘생각의 탄생’의 저자 로버트 루트번스타인(미국 미시간 주립대 생리학과 교수)·미셸 루트번스타인(역사학자·작가) 부부다. 지난 25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막된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WCAF) 개막식에서 기조연설을 한 루트번스타인 부부에 따르면 과학과 예술은 창조행위라는 점에서 매우 유사하다. 장인의 경지에 이른 창조행위가 주는 미적 쾌감은 과학 분야에서도 예술분야만큼이나 강력하다고도 한다. “새로운 사실의 발견, 전진과 도약, 무지의 정복은 이성이 아니라 상상력과 직관이 하는 일이다. 그런데 상상력이나 직관은 예술가나 시인들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루트번스타인 부부가 ‘생각의 탄생’에서 노벨상을 받은 면역학자 샤를 니콜의 말을 인용한 것이다. 책에 따르면 프랑스의 일급 물리학자인 아르망 트루소도 니콜의 말에 다음과 같이 동의한다. “모든 과학은 예술에 닿아 있다. 모든 예술에는 과학적인 측면이 있다. 최악의 과학자는 ‘예술가가 아닌 과학자’이며 최악의 예술가는 ‘과학자가 아닌 예술가’이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아인슈타인 같은 학자를 논리수학적 사고유형으로, 문인이나 예술가를 언어나 시각·청각적으로 사고하는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 자체가 잘못이다. 시나 음악, 미술뿐 아니라 과학적인 연구 성과도 면밀한 의도나 계획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가슴으로부터, 직관적으로 바로 나온다는 점에서 같다는 이야기다. 최근 각 분야의 연구자들이 학문별 영역 구분보다는 학제간 가로지르기를 시도하거나 각급 교육기관이 앞다투어 통합교육에 나서는 것도 이와 관계가 깊다.

문제는 이같은 구호에도 ‘여전히 수학은 오로지 수식 안에서, 글은 오로지 단어 안에서, 음악은 오로지 음표 안에서’만 생각하도록 강요하는 교육이 횡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수식은, 단어는, 음표는 내적인 느낌이나 직관을 나타내는 기호일 뿐 본질은 아니다. 교육의 본질은 학생들이 느끼고 창조하게 이끌어내는 것이다. 유네스코 WCAF가 일회성 잔치를 지나 한국의 교육 전반을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어야 하는 이유다.
  • ?
    한정규 2010.08.06 00:26
    명문가가 존재한다는 슬픈 상황 속에서도... 환경이 유전에 앞서는 것 같다는 데에 한 표를 던지며... 한홍구 선생님 가족만 봐도...

    다 빈치가 천재이기 때문에 여러 방면에서 일을 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니라 여러 일을 했기 때문에 천재 같은 면모를 보여준 것은 아닐런지...
  • ?
    연탄이정원 2010.08.06 00:26
    <환경이 유전에 앞서는 것 같다는 데에 한 표를 던지며... >, 저도 한표!

    인간의 운명은 유전자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하지만, 두뇌에 의하여 극복됩니다.
    <朴星一원장님의 영교시 수업中>
  • ?
    이기두 2010.08.06 00:26
    .
    .
    .

    살아있는 동시에 죽어있고,

    입자인 동시에 파동이고,

    공간인 동시에 시간이고,

    물질인 동시에 에너지이고,

    환경인 동시에 유전이고,

    하나인 동시에 여럿이고.



    등등......



    이렇게 둘아님에 대한 견해들을 말하는 중에
    한말씀해 달라고 하니

    유마힐 선생은
    묵묵히
    한순간머무름을 보여 주었고,

    모든 과학자들과 예술가들과
    법률가들과 문학자들과
    역사가들.....등등,
    제씨들로 부터
    적절한 표현이라고
    칭찬을 받았습니다.




    ^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24 공지 [공지] “엄마와 나”글쓰기 공모 강신철 2009.01.21 1683
2723 [서호주 학습탐사 대원 추가 모집] 1 김영이 2009.06.22 1683
2722 공지 2001년 3월26일 일기 1 최창식 2007.05.08 1684
2721 공지 본성을 직시한다는 것 9 장종훈 2008.12.07 1684
2720 공지 클림트 전이 열립니다.(2/2일부터, 서울 예술의 전당) 이혜영 2009.02.04 1684
2719 공지 우주론 수업-물 만난 물고기처럼 1 정성례 2009.02.28 1684
2718 노은도서관 문예아카데미 운영 (12.09.05 ~ 12.11.15) 1 file 윤상수 2012.09.05 1684
2717 수학아카데미 수강신청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2 서영석 2010.02.25 1685
2716 공지 "어릴 때부터 책 읽어주면 머리 좋아진다"/출판저널 이동선 2007.12.01 1686
2715 엘리아데 읽기 모임 없나요? 4 김정량 2010.06.12 1686
2714 정하웅 교수님 강연 - 과학과사람들 팟캐스트 공개 녹음 송치민 2014.01.14 1686
2713 김억중교수, 5번째 개인전 '애오려전' 1 이정원여 2014.05.25 1686
2712 안녕하세요^^~ 2 나미란 2009.09.08 1687
2711 공지 '힉스' 이해 돕는 과학추천도서 10권 2 이종필 2008.09.17 1688
2710 공지 동기는 계속 부여되어야 한다 4 김원기 2008.12.05 1688
2709 로그인 안되시는 분들 저에게 연락 주세요 김홍섭 2009.04.16 1688
2708 28차 천문우주+뇌과학 모임 (장소 변경 : 온지당) 오창석 2010.04.06 1688
2707 <청년포럼> '청년이 묻고, 청년이 답하다' 여현정 2011.03.15 1688
2706 카지노 광고하는분께 홍우식 2011.04.08 1688
2705 공지 100books 선정도서와 발표자 3 file 박문호 2007.07.10 16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