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난 주 서울 책방에서 눈에 띄는 책을 사왔습니다. 

"한 권으로 충분한 지구사 : 지구의 6대 사건부터 인류의 탄생까지" 비주얼 사이언스북 시리즈 2
가와카미 신이치, 도조 분지 저 / 박인용 역 ㅣ 도서출판전나무숲

앤드류 놀의 "생명 최초의 30억 년 - 지구에 새겨진 진화의 발자취" (뿌리와이파리, 2007)을 읽으셨던 분이면 생명이 시작되는 동안 그 환경이었던 지구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생물의 역사와 무생물의 역사는 분리되어 있지 않습니다. 지구의 모습은 생명에 영향을 받았고 생명의 진화는지구의 환경이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만 가능했습니다. 

고원용

목차

  • 제1장 새로운 지구관을 만든 혁명적 증거들 
    1-1 베게너와 대륙이동설 
    1-2 극이동곡선이 만들어낸 새로운 증거들 
    1-3 대양저확대설과 판구조론의 태동 
    1-4 지구사의 지각변동, 판구조론 혁명 
    1-5 호상열도와 부가체 
    1-6 점토층의 수수께끼와 공룡멸종설 
    1-7 멸종의 시나리오와 가설의 검증 
    1-8 크레이터, 지구 충돌의 증거 
    1-9 더욱 새로운 지구관을 목표로 
    1-10 줄무늬지구과학으로 해독하는 지구사 

    제2장 지구 시스템을 통한 심층적 이해 
    2-1 서브시스템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 
    2-2 대기와 해양의 변동 
    2-3 기후 시스템과 피드백 
    2-4 지구는 하나의 열기관 
    2-5 열에너지를 표층에 전달하는 맨틀 대류 
    2-6 화산활동을 설명하는 열점 
    2-7 맨틀의 단층촬영 
    2-8 지구 시스템의 대변동을 초래하는 플룸구조 
    2-9 지구자기마당과 그 변동 
    2-10 지각의 성장 
    2-11 맨틀의 분화와 지구의 열 역사 

    <여기서 잠깐!> 
    * 대기의 성층 구조 
    * 지구의 성층 구조 
    * 암석의 절대연령 측정법 
    * 지구 중심핵의 발견 
    * 지구의 나이 

    제3장 지구의 형성과 생명의 탄생 (제1사건) 
    3-1 우주먼지에서 태어난 지구 
    3-2 미행성 충돌에 의한 지구의 성장 과정 
    3-3 지구 핵의 경원소 문제 
    3-4 맨틀의 친철원소 과잉 문제 
    3-5 달은 어떻게 해서 생겼을까 
    3-6 대기의 기원을 둘러싸고 
    3-7 생명의 기원론 

    <여기서 잠깐!> 
    * 생명이란 무엇인가 

    제4장 대륙지각의 기원(제2사건) 
    4-1 잃어버린 6억 년 
    4-2 비교행성학으로 알아보는 원시지구의 모습 
    4-3 시생대의 지각과 천이 
    4-4 그린란드에 잠자는 가장 오래된 지층 
    4-5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의 필바라 안정지괴 
    4-6 가장 오래된 생명 화석을 찾으려는 움직임 
    4-7 시생대의 대륙 발바라 

    <여기서 잠깐!> 
    * 크레이터연대학이란 
    * 판구조론의 성립 조건 

    제5장 광합성의 시작과 초대륙의 형성(제3·4사건) 
    5-1 지구 진화의 작업 모델 
    5-2 원시지구의 대기 조성 
    5-3 스트로마톨라이트의 발견 
    5-4 가장 오래된 스트로마톨라이트를 둘러싼 논쟁 
    5-5 세균에서 광합성의 기원을 찾는다 
    5-6 35억 년 전의 광합성 세균이 만든 지층의 수수께끼 
    5-7 산소 오염의 물증, 줄무늬철광상 
    5-8 줄무늬철광상의 형성 연대를 둘러싼 문제 
    5-9 진핵생물의 출현 
    5-10 진핵생물에서 유래한 유기분자의 발견 
    5-11 합체된 대륙이 만든 초대륙 
    5-12 초대륙의 복원 

    <여기서 잠깐!> 
    * 학제 간 협력 연구의 시작 
    * 원생대 초기의 빙하시대 

    제6장 원생대 후기의 지구 변동 
    6-1 눈덩이지구론 
    6-2 눈덩이지구론에 이르는 과정 
    6-3 가설의 구성 
    6-4 저위도 빙하 문제 
    6-5 잔물결 구조는 지구 전체 동결의 증거? 
    6-6 초대륙 로디니아 
    6-7 대륙지각의 진화와 표층 환경의 변천 

    <여기서 잠깐!> 
    * 빙하시대에 대한 기후학적 패러독스 
    * 빙하시대의 발견 
    * 원생대 말의 천체 충돌 사건 

    제7장 다세포동물의 출현(제5사건) 
    7-1 캄브리아의 대폭발과 동물 기원론의 전개 
    7-2 멸종된 무리, 에디아카라동물군의 발견 
    7-3 에디아카라동물군의 대칭성 
    7-4 기묘하고 이상야릇한 버제스셰일동물군 
    7-5 완전체의 발견과 ‘보디플랜’의 시작 
    7-6 원생대 후기에서 캄브리아기에 걸친 환경 변화 

    <여기서 잠깐!> 
    * 중국 남부에서 발견된 동물의 배 화석 
    * 주목되는 청장강 동물군 
    * 캄브리아기는 5억 4200만 년 전에 시작됐다 

    제8장 고생대 말의 생물 대량 멸종(제6사건) 
    8-1 무엇이 진실인가, 천변지이설 VS 제일설 
    8-2 현생누대에 있었던 생물 다양성의 변천 
    8-3 고생대 초기 대륙의 복원 
    8-4 생물 대량 멸종의 원인은? 
    8-5 P/T 경계의 생물 대멸종 사건 
    8-6 P/T 경계의 천체 충돌 
    8-7 백악기·제3기 경계 사건과 이후의 전개 

    <여기서 잠깐!> 
    * 야페투스 해와 윌슨 사이클 
    * 현생누대의 대륙 분포 복원 
    * 석회암에 기록된 운석 모천체의 충돌 파괴 사건 

    제9장 공룡의 시대에서 인류의 시대로 
    9-1 ‘무시무시한 도마뱀’, 공룡의 전성시대 
    9-2 티라노사우루스 렉스가 거대해진 까닭 
    9-3 판게아의 분열과 신생대의 기후 변동 
    9-4 하이드레이트의 대량 융해 
    9-5 ‘세계의 지붕’이 태어나다 
    9-6 산지 형성과 기후 변동 
    9-7 밀란코비치 주기와 빙하시대의 원인 
    9-8 인류의 출현, 사헬란트로푸스의 발견 
    9-9 과학연구의 최전선 

    <여기서 잠깐!> 
    * 척추동물의 기원과 진화 
    * 노아의 홍수, 그 무대는 흑해? 
    * 지구와 생명의 미래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4 공지 이정원님께 뒤늦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 이동훤 2008.03.26 1196
803 공지 이정원씨질문에대한답변(독후감1309관련) 2 엄준호 2007.09.14 1668
802 공지 이제 책 좀 읽어봐야지... 3 조재현 2009.02.04 1533
801 공지 이제 첫 글을 올렸습니다. 1 장미란 2003.09.09 2147
800 공지 이제서야 들리게된 독서 클럽... 6 박진훈 2007.08.01 2089
799 공지 이제서야 회원가입을 하네요. 6 주용성 2008.04.21 1315
798 공지 이제야 가입할 용기가.... 4 박인순 2008.10.25 1345
797 공지 이제야 인사드립니다. 1 이계석 2007.08.06 1440
796 공지 이제헌 님, 이명의 님께 6 황경신 2008.09.05 1528
795 공지 이젠 정말로 봄인가 봅니다. 김미영 2003.03.14 2483
794 공지 이종상 화백 공부하기 (1) 박문호 2007.06.20 3110
793 공지 이종상 화백 공부하기(2) 박문호 2007.07.04 1895
792 공지 이종상 화백 공부하기(3) 박문호 2007.07.04 4037
791 공지 이종상 화백께 보내드린 6월 초 메일 -박성일 올림 1 박성일 2007.06.21 2177
790 공지 이종상미술관 건립추진 5만 서명완료 기념행사 현장스케치 10 문경목 2008.04.18 2290
789 공지 이종상화백님께서 강연후 보내주신 글 1 박성일 2007.07.15 1975
788 공지 이종수 선생님 문병에 관해 8 김억중 2008.07.15 1516
787 공지 이종수 선생님 조문 2 윤보미 2008.08.08 1428
786 이종필 박사님의 「물리학 클래식」 강연회 2 file 송치민 2012.10.06 1749
785 이종필 박사의 새책소개 "대통령을 위한 과학에세이" 6 전승철 2009.04.22 20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