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744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칙센트미하이는 '복잡성' 이라는 특성에 주목한다. 복잡성이란 극과 극으로 보이는 성향을 동시에 지니는 능력을 말한다.
매우 창조적인 사람은 양극단을 순식간에 오고간다.
칙센트미하이는 예술,인문,과학,비즈니스,정치, 다양한 영역의 사람 수십명을 인터뷰했다.
복잡성의 10가지 측면을 정리한 목록을 만들었다.

1. 매우 충동적이었다가 얼마 뒤에는 평정심을 되찾는다.
2. 똑똑하면서도 극도로 순진하다.
3. 책임감있는 태도와 무책임한 태도 사이를 널뛰기하듯 오간다.
4. 강한 현실감을 지녔으면서도 공상과 상상에 자주 빠진다.
5. 한동안은 내향적이었다가 얼마 뒤에는 외향적으로 바뀐다. 오고간다.
6. 겸손하면서도 자부심이 강하다.
7. 심리적으로 남성성과 여성성을 동시에 지니고 틀에 박힌 성역할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8. 반항적이고 인습에 맞서지만 전문 분야와 그 역사는 존중한다.
9. 한편으로는 정열적이지만 자신의 작품과 성과는 냉정하게 판단한다.
10. 고생 속에서 고통과 희열을 경험한다.
  
             - 에바리스트 갈루아, 한 수학 천재를 위한 레퀴엠, 마리오 리비오저, 심재관역, pp410-411


앞서 편집증 편향 지수나,
여러가지 인성에 대한 측정 지수는
범주화 계량화를 통해 분석적으로 더 자세하게 사실을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데,

정답 고르도록 훈련된 우리들에게는,
인성이나 가치 판단의 목록으로 여겨지고,
정직한 자기 표현과 발견보다,
바람직한 답(정답)을 찾고 있게 되지 않을까? 하는 회의가 들기도,

'자기 조작'과 '자기 조직'도 점 하나 차이...




  • ?
    남대호 2010.06.30 00:40
    심리학자 존 데이시와 캐슬린 레논은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을 강조한다.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이란 규범이 확실하지 않고 따라야 할 지침을 정할 수 없는 상황, 혹은 통상적인 지원체계가(예를 들어, 가족 학교 사회) 붕괴된 상황 속에서도 여전히 마음을 열어놓고 사고하고 활동하는 능력을 말한다......모호함을 견딜수 있는 인내력은 창조성의 필요조건이다. - 같은 책 같은 페이지
  • ?
    지석연 2010.06.30 00:40
    동의합니다! 수많은 지수내기와 평가는 결국 자기발견과 자아성찰이 없으면, 거의 '점'을 보는 거나 다름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84 공지 5월 산행모임을 다녀온 느낌을 적어봅니다. 5 서윤경 2007.05.07 2510
3883 공지 5월 첫번째 읽을 책과 모임 안내입니다. 송윤호 2003.03.27 2445
3882 5월11일 강연자 김학민 원장과 대한민국 IT현실 최정원 2010.05.11 1848
3881 5월11일(토) 한국화이트헤드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 1 file 미선 2013.05.03 1816
3880 5월1일 금요일 양평에서 백북스 합니다 4 박용태 2009.04.29 2045
3879 5월1일 금요일 양평에서 백북스 합니다 3 박용태 2009.04.29 2524
3878 공지 5월의 산행 1 문경목 2007.05.08 1985
3877 공지 5학년이 말하는 "기질적 표상" 9 윤보미 2008.06.21 2057
3876 5회 해외학습탐사 예약~~ 3 박은정 2009.08.17 1597
3875 6.29(금,비) 서울백북스 뒷풀이 후기 "살려면 프레임" 6 김형렬 2012.07.02 1819
3874 공지 60 회 토론회 및 송년회를 마치며... ^^ 3 송윤호 2004.12.29 2334
3873 60PEOPLE 60KOREA 역사, 미래와 만나다 소개~ file 정유경 2009.05.20 1753
3872 공지 60th..universal conversations.. 문경수 2004.12.30 2259
3871 공지 60회 독서모임과 송년파티를 3 이진석 2004.12.29 2290
3870 공지 60회 토론회 중계 2 송윤호 2005.02.14 1922
3869 공지 65권의 자연과학 서적 6 이재우 2008.04.07 1744
3868 공지 65회 모임, 3월 8일 화요일입니다. 2 송윤호 2005.03.07 2201
3867 공지 6가지 감옥...퍼온글 윤석련 2003.02.28 2430
3866 6개월에 100권 읽었어요 (기사전재) 3 현영석 2010.09.15 2005
3865 공지 6번째 모임 8월27화 07:00 현영석 2002.08.26 35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