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744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칙센트미하이는 '복잡성' 이라는 특성에 주목한다. 복잡성이란 극과 극으로 보이는 성향을 동시에 지니는 능력을 말한다.
매우 창조적인 사람은 양극단을 순식간에 오고간다.
칙센트미하이는 예술,인문,과학,비즈니스,정치, 다양한 영역의 사람 수십명을 인터뷰했다.
복잡성의 10가지 측면을 정리한 목록을 만들었다.

1. 매우 충동적이었다가 얼마 뒤에는 평정심을 되찾는다.
2. 똑똑하면서도 극도로 순진하다.
3. 책임감있는 태도와 무책임한 태도 사이를 널뛰기하듯 오간다.
4. 강한 현실감을 지녔으면서도 공상과 상상에 자주 빠진다.
5. 한동안은 내향적이었다가 얼마 뒤에는 외향적으로 바뀐다. 오고간다.
6. 겸손하면서도 자부심이 강하다.
7. 심리적으로 남성성과 여성성을 동시에 지니고 틀에 박힌 성역할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8. 반항적이고 인습에 맞서지만 전문 분야와 그 역사는 존중한다.
9. 한편으로는 정열적이지만 자신의 작품과 성과는 냉정하게 판단한다.
10. 고생 속에서 고통과 희열을 경험한다.
  
             - 에바리스트 갈루아, 한 수학 천재를 위한 레퀴엠, 마리오 리비오저, 심재관역, pp410-411


앞서 편집증 편향 지수나,
여러가지 인성에 대한 측정 지수는
범주화 계량화를 통해 분석적으로 더 자세하게 사실을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데,

정답 고르도록 훈련된 우리들에게는,
인성이나 가치 판단의 목록으로 여겨지고,
정직한 자기 표현과 발견보다,
바람직한 답(정답)을 찾고 있게 되지 않을까? 하는 회의가 들기도,

'자기 조작'과 '자기 조직'도 점 하나 차이...




  • ?
    남대호 2010.06.30 00:40
    심리학자 존 데이시와 캐슬린 레논은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을 강조한다.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이란 규범이 확실하지 않고 따라야 할 지침을 정할 수 없는 상황, 혹은 통상적인 지원체계가(예를 들어, 가족 학교 사회) 붕괴된 상황 속에서도 여전히 마음을 열어놓고 사고하고 활동하는 능력을 말한다......모호함을 견딜수 있는 인내력은 창조성의 필요조건이다. - 같은 책 같은 페이지
  • ?
    지석연 2010.06.30 00:40
    동의합니다! 수많은 지수내기와 평가는 결국 자기발견과 자아성찰이 없으면, 거의 '점'을 보는 거나 다름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39 공지 익명의 후원 회원님께 감사드립니다. 4 송윤호 2008.08.15 1435
3538 공지 이해를 합니다만 . 윤석련 2002.11.22 2824
3537 공지 이필열 교수 "새만금 간척과 핵폐기장 건설" 전재 현영석 2003.07.28 2459
3536 이평래 교수님과의 뒤풀이 4 이정원 2009.08.26 1997
3535 공지 이태백이 놀던 달빛에 취해봅시다 3 전재영 2008.05.18 1874
3534 공지 이창호-바둑-그랬구나 1 박문호 2005.03.03 2455
3533 공지 이지호 관장님께 감사드립니다 1 현영석 2008.06.23 1895
3532 이주헌 단어목록 9 이정원 2009.08.31 2307
3531 이종필 박사의 새책소개 "대통령을 위한 과학에세이" 6 전승철 2009.04.22 2009
3530 이종필 박사님의 「물리학 클래식」 강연회 2 file 송치민 2012.10.06 1749
3529 공지 이종수 선생님 조문 2 윤보미 2008.08.08 1428
3528 공지 이종수 선생님 문병에 관해 8 김억중 2008.07.15 1516
3527 공지 이종상화백님께서 강연후 보내주신 글 1 박성일 2007.07.15 1975
3526 공지 이종상미술관 건립추진 5만 서명완료 기념행사 현장스케치 10 문경목 2008.04.18 2290
3525 공지 이종상 화백께 보내드린 6월 초 메일 -박성일 올림 1 박성일 2007.06.21 2177
3524 공지 이종상 화백 공부하기(3) 박문호 2007.07.04 4037
3523 공지 이종상 화백 공부하기(2) 박문호 2007.07.04 1895
3522 공지 이종상 화백 공부하기 (1) 박문호 2007.06.20 3110
3521 공지 이젠 정말로 봄인가 봅니다. 김미영 2003.03.14 2483
3520 공지 이제헌 님, 이명의 님께 6 황경신 2008.09.05 15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