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001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조장희 박사님


새로운 뇌 과학 책 뒷편에 그의 추천사가 있으면 주저 없이 사게 되는 그런 보증수표 같은 이름.


 


  그분이 190회 백북스 정기 강연회에 오신다고 하니, 나는 그분의 연구 인생과 삶이 궁금해졌다. 그래서 그의 회고록인 한국의 뇌 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박방주 지음)’라는 책을 보며 나름대로 그분의 모습을 상상을 해 보았다.


보통 세계적인 석학이 되신 분이라면 어려움 없이 엘리트 코스를 밟아 공부하셨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산전 수전 다 겪은 한국의 역사를 살아내신 분이며 또한 한국의 과학사를 볼 수 있는 과학사의 산 증인이었다. 6.25전쟁으로 학업을 중단하기도 했으며, 한곳에 빠지면 무섭게 몰입하는 성격이 공부로 바로 빠진 것이 아니라 등산과 스키 등 공부 외적인 부분에도 빠져 보신 분이란 것. 어쨌든 공부의 길을 들어 선 이후로 40년간 한눈 팔지 않고 쭉 외길을 그것도 최 선두에 서서 걸어 오셨다.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의 자리에 계신지는 책으로 확인 할 수 있으니 여기서는 강의에서 보고 들은 내용을 몇 자 옮겨 적을까 한다.


 


  현재 그의 직함은 가천의과학대학교 석좌교수가천의대 뇌과학연구소 소장이다. CT(컴퓨터 단층 촬영장치), MRI(자기공명 단층촬영장치), PET(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장치)와 같은 의학 장비의초기 개발자로 현대 의학에 혁신적 성과를 내신 분이 왜 의과대학, 그것도 뇌 과학 연구소를 이끄는 자리에 계실지 의아해 하는 분이 있을 것이다.


대표적인 의료기기인 MRI(자기공명 단층촬영장치)는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근거가 되는 의사들의 도구이기 때문에 해상도가 관건이다. 단적으로 이 그림을 보면 해상도의 차이가 어떤 의미인지 알 수 있다. 왼쪽은 1.5테슬론, 오른쪽은 7.0테슬론(고해상도). 말하지 않아도 오른쪽 그림의 해상도가 단연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의학적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한걸음 더 낳아가 인류의 수수께끼인 뇌에 대한 의문을 풀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데 그 중요성이 있다.





  


  MRI를 통하면 비침습적으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해상도가 좋아질수록 더 잘 볼 수 있다.하지만 이 기술은 어디에 무엇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그친다. 즉 현재 사용되는 진단용 역할에 그치는 것이다. 하지만 생명의 활동은 전기적-화학적 신호로 이어져 있다. 눈에 보이는 각 부위가 어떠한 물질에 의해 흥분되고 억제되는지 그 양상까지 시각화 할 수 있다면 이는 각 부위의 살아 움직이는 활동을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즉 뇌의 의식적 측면을 해명할 수 있는 도구를 얻은 샘이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위의 두가지 기기를 하나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강한 자장을 필요로하는 MRI는 그 자석 때문에 PET과 합체형으로 제작하지 못한다. 하지만 적절한 배치를 통해 MRI의 자장이 미치지 않는 영역에 PET을 두어 두 기기를 하나의 라인에 제작하였다. 이 기기가 세계에서 유일하게 가천 뇌과학연구소에 있다. 이런 연구장비들을 갖춤 으로써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기반은 닦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은 밝혀야 할 것들이 많다. 여기서 조장희 박사님의 진면목을 볼 수 있었다. 밝혀야 할 것이 많은 곳. 미지의 세계. 그것을 어렵다 생각하고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라 기회를 보고 나가야 한다는 것.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는 모험심'


  '불가능은 없다는 자신감'


  '남보다 앞서겠다는 영웅심'


오늘의 조장희 박사님을 있게 한 원동력은 이 세가지가 아닐까.


 


  마지막으로


기기의 초기 발명자 대열에 있어오며 앞선 기술력을 가진 분야에서 정보


발전 방향과 방법을 알고 있는 시점에서 빠르게 준비하여 나아가는 것 속도


그것이 우리가 과학의 한 분야에 의미 있는 발자국을 남길 수 있는 길임을 제시하며 강의를 마무리 하셨다.


  • ?
    서지미 2010.05.27 08:01
    깔끔한 자료 잘 보았다 진경~~
    하시는 일에 대한 꾸준함.성실함.
    늘 새로운 비젼.
    스스럼없는 진솔함.
    말씀하시는 대부분이 살아있는 역사.
    뵐때마다 감동으로 다가오는 분.
    귀한시간 내어 주신 조장희박사님께 감사드리며.
    진경아 우리도 늘 새롭게 보내자~~
  • ?
    이은호 2010.05.27 08:01
    알아도 나서지 않고 말없이 공부만하던 손진경씨 산뜻하게 정리해 줘서 잘 보았습니다. 같이 듣고서도 많은 수확을 해 갔군요. 백북스를 이끌어갈 젏은세대에게 기대가 큽니다. 열심히 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84 공지 이브 파칼레---걷는 행복, 꽃의 나라 2 박문호 2007.05.07 2641
3483 공지 이보디보-발생진화생물학 4 박문호 2007.08.04 2325
3482 공지 이병록회원님 질의에 대한 답변 4 엄준호 2007.12.28 1370
3481 공지 이병록님 항상 행복 하십시요 2 이재환 2009.03.24 1779
3480 이병록 운영위원님의 해군교육사령부 단장 취임을 축하합니다. 14 강신철 2009.12.11 2574
3479 공지 이병록 대령님께 8 박문호 2007.11.26 1567
3478 공지 이별은 언제나 힘들다... 13 송윤호 2007.05.15 2505
3477 이번주 인문고전읽기 모임에 많이 참석해 주세요 강신철 2010.01.15 2216
3476 공지 이번 주 토론회는 수요일 입니다! 송윤호 2004.11.08 1960
3475 공지 이번 정기토론회는 꼭....^^ 1 김달호 2009.01.20 1499
3474 공지 이번 독서토론의 방향은... 이동선 2002.07.07 3850
3473 공지 이번 10차 모임 관한 정리는 없나요? 이지희 2002.11.20 2867
3472 가입인사 이반입니다. 이반 2018.02.27 96
3471 공지 이명의 학생왈 5 박문호 2008.05.24 1810
3470 공지 이름을 불러주고 싶은 4月 9 윤보미 2008.04.28 1506
3469 공지 이렇게 연결이 되었군요. 2 박혜영 2008.04.20 1311
3468 공지 이렇게 반가이 맞아주시다니.... 양재진 2003.01.28 2629
3467 공지 이런글도 괜찮나요 5 김학성 2008.12.08 1566
3466 공지 이런 책이 왜 절판되었을까요. 6 박문호 2008.01.25 2071
3465 이런 브런치 모임이 백북스에??? 12 임석희 2013.02.05 21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