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001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조장희 박사님


새로운 뇌 과학 책 뒷편에 그의 추천사가 있으면 주저 없이 사게 되는 그런 보증수표 같은 이름.


 


  그분이 190회 백북스 정기 강연회에 오신다고 하니, 나는 그분의 연구 인생과 삶이 궁금해졌다. 그래서 그의 회고록인 한국의 뇌 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박방주 지음)’라는 책을 보며 나름대로 그분의 모습을 상상을 해 보았다.


보통 세계적인 석학이 되신 분이라면 어려움 없이 엘리트 코스를 밟아 공부하셨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산전 수전 다 겪은 한국의 역사를 살아내신 분이며 또한 한국의 과학사를 볼 수 있는 과학사의 산 증인이었다. 6.25전쟁으로 학업을 중단하기도 했으며, 한곳에 빠지면 무섭게 몰입하는 성격이 공부로 바로 빠진 것이 아니라 등산과 스키 등 공부 외적인 부분에도 빠져 보신 분이란 것. 어쨌든 공부의 길을 들어 선 이후로 40년간 한눈 팔지 않고 쭉 외길을 그것도 최 선두에 서서 걸어 오셨다.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의 자리에 계신지는 책으로 확인 할 수 있으니 여기서는 강의에서 보고 들은 내용을 몇 자 옮겨 적을까 한다.


 


  현재 그의 직함은 가천의과학대학교 석좌교수가천의대 뇌과학연구소 소장이다. CT(컴퓨터 단층 촬영장치), MRI(자기공명 단층촬영장치), PET(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장치)와 같은 의학 장비의초기 개발자로 현대 의학에 혁신적 성과를 내신 분이 왜 의과대학, 그것도 뇌 과학 연구소를 이끄는 자리에 계실지 의아해 하는 분이 있을 것이다.


대표적인 의료기기인 MRI(자기공명 단층촬영장치)는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근거가 되는 의사들의 도구이기 때문에 해상도가 관건이다. 단적으로 이 그림을 보면 해상도의 차이가 어떤 의미인지 알 수 있다. 왼쪽은 1.5테슬론, 오른쪽은 7.0테슬론(고해상도). 말하지 않아도 오른쪽 그림의 해상도가 단연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의학적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한걸음 더 낳아가 인류의 수수께끼인 뇌에 대한 의문을 풀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데 그 중요성이 있다.





  


  MRI를 통하면 비침습적으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해상도가 좋아질수록 더 잘 볼 수 있다.하지만 이 기술은 어디에 무엇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그친다. 즉 현재 사용되는 진단용 역할에 그치는 것이다. 하지만 생명의 활동은 전기적-화학적 신호로 이어져 있다. 눈에 보이는 각 부위가 어떠한 물질에 의해 흥분되고 억제되는지 그 양상까지 시각화 할 수 있다면 이는 각 부위의 살아 움직이는 활동을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즉 뇌의 의식적 측면을 해명할 수 있는 도구를 얻은 샘이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위의 두가지 기기를 하나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강한 자장을 필요로하는 MRI는 그 자석 때문에 PET과 합체형으로 제작하지 못한다. 하지만 적절한 배치를 통해 MRI의 자장이 미치지 않는 영역에 PET을 두어 두 기기를 하나의 라인에 제작하였다. 이 기기가 세계에서 유일하게 가천 뇌과학연구소에 있다. 이런 연구장비들을 갖춤 으로써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기반은 닦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은 밝혀야 할 것들이 많다. 여기서 조장희 박사님의 진면목을 볼 수 있었다. 밝혀야 할 것이 많은 곳. 미지의 세계. 그것을 어렵다 생각하고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라 기회를 보고 나가야 한다는 것.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는 모험심'


  '불가능은 없다는 자신감'


  '남보다 앞서겠다는 영웅심'


오늘의 조장희 박사님을 있게 한 원동력은 이 세가지가 아닐까.


 


  마지막으로


기기의 초기 발명자 대열에 있어오며 앞선 기술력을 가진 분야에서 정보


발전 방향과 방법을 알고 있는 시점에서 빠르게 준비하여 나아가는 것 속도


그것이 우리가 과학의 한 분야에 의미 있는 발자국을 남길 수 있는 길임을 제시하며 강의를 마무리 하셨다.


  • ?
    서지미 2010.05.27 08:01
    깔끔한 자료 잘 보았다 진경~~
    하시는 일에 대한 꾸준함.성실함.
    늘 새로운 비젼.
    스스럼없는 진솔함.
    말씀하시는 대부분이 살아있는 역사.
    뵐때마다 감동으로 다가오는 분.
    귀한시간 내어 주신 조장희박사님께 감사드리며.
    진경아 우리도 늘 새롭게 보내자~~
  • ?
    이은호 2010.05.27 08:01
    알아도 나서지 않고 말없이 공부만하던 손진경씨 산뜻하게 정리해 줘서 잘 보았습니다. 같이 듣고서도 많은 수확을 해 갔군요. 백북스를 이끌어갈 젏은세대에게 기대가 큽니다. 열심히 하세요.

  1. 강신주님의 철학얘기 - 다음을 기대하게 만드네요..

    Date2010.05.03 By조명주 Views1969
    Read More
  2. [참여연대]아카데미 5월 개강강좌에 초대합니다.

    Date2010.05.03 By느티나무지기 Views1847
    Read More
  3. 주환이네 텃밭에서 쑥개떡을 공수해 갑니다.

    Date2010.05.06 By박영재 Views1981
    Read More
  4. 백북스 일정용 구글 캘린더 하나 만들어주시죠.

    Date2010.05.06 By경민수 Views1877
    Read More
  5. 포인트

    Date2010.05.06 By박주희 Views1693
    Read More
  6. 진해 사랑방'10.05.04 결과 보고<사진 첨부>

    Date2010.05.07 By김상철 Views2281
    Read More
  7. 웹 마스터에게

    Date2010.05.07 By박용태 Views1840
    Read More
  8. [북파워인재프로젝트] '책 읽고!,일본여행가고!!,취업까지!!!' 대전지역독서경연대회

    Date2010.05.10 By김철원 Views1925
    Read More
  9. 5월11일 강연자 김학민 원장과 대한민국 IT현실

    Date2010.05.11 By최정원 Views1848
    Read More
  10. 5.14(금)이미지메이킹과인간경영 C.R.C오픈세미나에 초대합니다

    Date2010.05.11 By김기욱 Views1963
    Read More
  11. 이 놀이의 이름은...

    Date2010.05.16 By지석연 Views2806
    Read More
  12. 5월 29일 TEDx Daejeon

    Date2010.05.16 By고원용 Views2127
    Read More
  13. 천문우주+뇌과학 5월 29일 모임

    Date2010.05.24 By이은호 Views2010
    Read More
  14. 오늘은 저자특강 있는 날..조장희박사님 초청

    Date2010.05.25 By서지미 Views1812
    Read More
  15. <시> 가보지 않은 곳

    Date2010.05.26 By박성일 Views1892
    Read More
  16. 행동유전학과 쌍둥이학의 대가들이 강연 하네요..

    Date2010.05.26 By장진부 Views2070
    Read More
  17. 어린이 철학교육

    Date2010.05.27 By이중훈 Views1809
    Read More
  18. 조장희 박사님 강의를 듣고 (190회 정기모임)

    Date2010.05.27 By손진경 Views2001
    Read More
  19. [책]종의 기원:생명의 다양성과 인간 소멸의 자연학 by박성관

    Date2010.05.28 By한정규 Views1946
    Read More
  20. 새벽을 마주하며...

    Date2010.05.28 By홍종연 Views182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