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0.05.27 06:14

어린이 철학교육

조회 수 1809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조선일보


어린이 철학교육은 칸트나 니체를 가르치자는 것이 아니다. 박 소장은 "철학사(史)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주변에 관심을 갖고 '왜 그런지' 답을 찾아내는 사고력을 키워주는 것이 목적"이라고 했다. 어릴수록 생각이 열려있고, 탐구심, 궁금함을 못 참는 호기심이 강하게 남아 있다. 박 소장은 "초등학교 고학년만 되도 말을 할 때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게 된다"며 "타인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강하게 주장할 수 있는 초등 저학년 이전에 철학 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어린이 철학교육은 '독서'에서 시작된다. 독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요즘 아이들은 많은 책을 읽는다. 하루에 10권 이상 읽는다는 아이들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그러나 박 소장은 "읽은 책 가운데 내용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부모와 깊은 대화를 나눈 책이 과연 몇 권이나 되는지 생각해 보라"고 반문한다. 저자가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를 깨닫고, 책을 통해 배움의 기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로 '철학 교육'이라는 것이다.

독서를 통해 어떻게 철학 교육을 시작할까? 먼저 동화를 읽고 그 안에서 문제를 찾아내 본다. 예를 들어 '장발장'을 읽었다면 '배고픈 조카를 위해 빵을 훔친 것이 그렇게 큰 죄인가'라는 주제로 토론을 벌일 수 있다. '법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예외 없는 규칙이 있을 수 있느냐'고 반박하는 아이들도 있다. 학교에서 늘 '규칙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배운 아이들이 '규칙'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볼 기회를 갖는 것이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책의 장르를 역사와 고전 등으로 확대해 나간다.

■가정 내에서 마음껏 질문하는 분위기 조성해야

철학교육은 아이들의 학습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철학 교육을 받은 아이들의 수업 태도는 다른 아이들과 다르다. "알았어요"라고 건성으로 대답하기보다 "잘 모르겠어요. 이 부분을 좀 더 설명해 주세요"라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렇게 어릴 때부터 다져진 철학적 사고력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빛을 발한다. 어린이철학교육연구소에서 일찍부터 철학교육을 받고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은 텍스트를 읽고 문제를 제기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박 소장은 "모든 학문이 철학에서 시작됐다는 말이 있듯, 철학은 분리된 과목을 통합하고 연관 지어 생각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중1~고3까지 6년간 철학교육을 받은 김기홍(서울대 법학과2)씨는 "철학 수업을 통해 다른 사람들이 나와 다른 견해를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내 주장이 타당함을 논리적으로 설득시키는 과정을 배웠다"며 "대입 수능이 가까워져 다른 학원들을 그만 둘 때도 철학 수업만은 놓을 수 없었다"고 했다.

철학 교육은 가정에서 시작해야 한다. 방법도 그리 어렵지 않다. 첫 단계는 '항상 질문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 아이들의 질문은 어른인 부모가 대답할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울 때가 많다. "나무에서 떨어진 이 사과는 죽은 거야, 산 거야?" "눈은 두 개인데, 왜 물건은 하나로 보여?"와 같은 질문은 쉽게 대답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이럴 때 "들어가서 공부나 하라"며 회피해서는 안 된다. 이럴 때는 "엄마도 확신할 수는 없는데, 네 질문을 듣고 생각해 봤어. 엄마 생각을 한 번 들어 볼래"라고 대답해 보자. 아이 역시 "엄마, 그럼 내 생각도 한 번 들어봐"라며 자연스럽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게 된다. 박 소장은 "아이에게 진리, 정답을 가르쳐야 한다는 부담을 버리라"며 "마음껏 질문하고 서로 의견을 교환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라"고 강조했다. 가정 내에서 결정해야 할 일이 있을 때, 아이의 생각은 어떤지 묻는 것도 좋다. "아빠가 차를 새로 사려고 하는데, 어떤 색이 좋겠어?"처럼 가벼운 질문도 좋다. 단,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반드시 이유를 대게 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박 소장은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는 작은 습관에서 철학교육이 시작된다"고 말했다. 
  • ?
    한정규 2010.05.27 06:14
    딴지를 걸자면,
    1. 철학교육을 받고 법학과를 갔군요.
    2. 맞벌이가 많은 요즘 친절하게 대답해줄 여건 마련이 쉬울까요.
  • ?
    육형빈 2010.05.27 06:14
    좋은 글 감사합니다.
  • ?
    이중훈 2010.05.27 06:14
    감사합니다~ 저는 강신주님 글을 좋아합니다. 도올 김용옥 이후로 최대의 철학적 에너지를 과시하는 분이 아닌가 싶을 정도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24 공지 사상의학 뇌과학적 해석 미설명부분 1 file 박성일 2009.02.03 1811
2123 공지 왜 살아야 하는가? 13 강신철 2007.11.12 1811
2122 요즘 어떤 문제 푸세요? 4 육형빈 2010.05.29 1810
2121 면역 의미론공부를 시작하며 김가희 2010.04.23 1810
2120 공지 [여행] 캐년랜즈 3 2 이정원 2007.10.18 1810
2119 공지 [기사] 노벨 물리학상 , "대칭성의 깨짐" 5 윤보미 2008.10.09 1810
2118 공지 이명의 학생왈 5 박문호 2008.05.24 1810
2117 공지 생각의 도구 7 박문호 2007.10.15 1810
» 어린이 철학교육 3 이중훈 2010.05.27 1809
2115 공지 [공지] 121회 특집!!! 이종상 화백 강연회!!! 송윤호 2007.07.09 1809
2114 가을 아침 2 현영석 2009.10.10 1808
2113 동아일보(8.20)에 난 박성일 원장님 기사 3 윤보미 2009.08.22 1808
2112 [네이버기사]사랑의 화학 3 서지미 2009.07.09 1808
2111 공지 김원기 회원의 책 두권 7 전승철 2008.12.04 1808
2110 공지 오랜만입니다 5 천윤정 2008.06.05 1808
2109 공지 독서프로젝트 선정도서'부서진미래' 경향신문 기사 2 송윤호 2007.10.09 1808
2108 공지 [re] 또다른 책들. 2 최상준 2008.03.07 1807
2107 책을 찾고 있습니다. - 재즈와 클래식의 행복한 만남 - 박진우 2009.05.02 1807
2106 공지 송광사에서의 한 컷~ 9 이지홍 2008.11.11 1807
2105 공지 플래카드의 위력 6 file 강신철 2007.11.27 18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