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철학 vs 철학 저자 강신주 선생님의 강의는, 명쾌하고, 쾌활하고, 가벼운 듯했으나 무겁고, 묵직했습니다.
저는 철학 공부를 별로 한 적이 없고, 그리 큰 필요성을 느끼고 살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사실은 시나 문학을 많이 접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니, 인문학은 거의 문외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어릴 때부터 시나 문학의 글들에 큰 느낌이 없었던 제 감수성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강의를 통해 우선, '철학자'는 '개념을 소개해 주는 사람'이며, 이런 소개자를 통해 우리들은 개념을 알게 되고, 성찰하고 돌아볼 수 있게 된다는 정리를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아하! 하는 느낌을 가진 내용은
철학은 객관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주관적인 것이고,
시는 주관적인 듯하나 객관적이라는 비교였습니다.

'인문학적 입장'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몇백년 뒤의 아이가 있어도 행복할 수 있겠는지를 고민하는 것이며, '미래의 아이들에 대한 문제'를 고민하는 것이다.... 라는 말씀에서는,
가슴이 뻐근.. 했습니다.
하루에 천안함의 희생자만큼의 자살자가 생기는 이 시대를 고민하는 것이다라는 말씀에는 모든 학문들이 현재와 앞으로의 미래에 대한 책임감을 갖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로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강의의 본론에서 주되게 비교하신 서양철학의 내용으로

스토아 학파 vs 에피쿠로스 학파
스피노짜 vs 라이프니츠

가 서양철학을 관통하는 것이라고 소개해 주셨어요.

전자가 '내게 주어진 이미 세팅된 운명을 따르는 것'이 주된 핵심이라면,
후자는 '개인이 지향해야 하는 것은 기쁨과 행복이며, 이것이 아니면 차라리 죽음이라도 선택하리라'라는 것이었습니다.

이 두 학파의 내용이 모두 함께 중요한 것 같습니다. 우리는 아마 이 두가지의 다르면서도 겹쳐지는 여러가지 상황 속에서 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강사분께서도 강의 중에 여러 예를 드시면서, 에피쿠로스를 지향하지만, 스토아적으로 살고 있는 우리의 예를 들어주셨구요..

인간의 '발달과 성장'(어쩌면 삶 모두에 해당하겠지만)에서는

인간의 성장과 발달이
'타고난 것이냐' vs '노력에 의한 것이냐'
'선천'이냐 vs '후천'이냐
'유전'이냐 vs '양육'이냐
'객체적'이냐 vs '전체적'이냐
라는 것은 지금까지도 끊임없이 논쟁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이미 타고난 지능, 유전자, 건강상태를 생각하면, 그렇기 때문에 '스토아'처럼 생각하지 않을 수 없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진 자원들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행복하게 살 권리가 있다는 '에피쿠로스'적인 생각을 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이런 관점을 가지고 두 철학의 비교 이야기를 듣게 되니까,
두 가지의 생각이 모두 다 너무나 중요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대학 때 교수님의 강의 중에서
"타고나는 것이 70이면, 후천적인 것이 30이다.
이 말은, 70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이 후천적인 여러 요인들로 인해
40이 될 수도 있고, 100이 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라고 하신 말씀이 지금도 생각이 납니다.

스토아를 잘 알아야 에피쿠로스가 빛이 날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라는 현실의 직시 속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는 정신이 힘을 발휘하기를
오늘 내내, 많은 시간시간 생각해 보았습니다.

정말 좋은 책 써주신 강신주 선생님께 감사합니다.

철학의 평론가들은 많지만 정작 철학의 저자가 많지 않다고 하셨고,
'루쏘'처럼 저자가 되고 싶다는 말씀이 비장했습니다.
 꼭!!! 그렇게 되시기를 희망하겠습니다.

저도, 에밀을 읽고 루쏘를 정말 좋아하게 되었는데, 그 많은 철학자들 중에 제대로 책한권 읽은 철학자의 이름을 딱 들어 이야기하셔서, 몹시 반가왔습니다.

무엇보다 좋은 자리를 준비해 주신 박용태 PD님과, 준비하시는 여러 선생님들께 늘 감사하는 마음입니다.

마치고 늦어진 시간이라 휘딱 일어나서 갈 수밖에 없었지만,
많은 분들의 집중하는 열기가 좋은 에너지를 나눠주셨습니다.

책속의 저 많~~은 철학자들과는 천천히, 조금씩 사귀어가야겠습니다.

동양철학부분은 또 다른 생각을 갖게 했는데, 이것은 좀 더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 ?
    지석연 2010.05.02 08:56
    연탄 이정원님, 저야말로 감사합니다.

    강신주 선생님의 강의, 정말 참~ 좋았어요. 그래서, 그 다음날 계속 맴돌던 생각을, 이런 인터넷 자리를 통해 정리해 볼 수 있어서 또 좋았고, 함께 그 강의를 들었던 또 다른 분들의 후기를 보면서 더 깊이 생각해 볼 수 있게되어서 좋았어요.

    더불어 후기를 통해 또 생각해 주시고 글을 써 주시는 연탄이정원님을 통해 활기를 느껴요.

    모두가 달라서, 그래서 배울 수 있어서 백북스 너무 좋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64 공지 이런 글 5 이동선 2008.03.06 1121
3463 공지 이동훤 회원님의 독후감 게시판 활동 사례 1 이정원 2008.03.17 1252
3462 공지 이동선 사장님.. 점심~! 감사^^감사^^ 유수연 2002.08.21 3402
3461 공지 이동선 사장님 조근희 2002.07.19 3466
3460 이동선 대표님의 대전일보 칼럼 - 동화책 읽어주기 2 이정원 2013.01.09 2051
3459 공지 이동선 계룡문고 사장님 결혼식 17 박문호 2007.04.04 2392
3458 공지 이기봉 박사 발표 내용 2 박문호 2009.03.25 2048
3457 이기두님만^^ 4 육형빈 2013.07.14 1827
3456 공지 이공계의 현실.. 구용본 2003.02.28 2534
3455 이공계와 인문계 1 이중훈 2011.01.20 1600
3454 공지 이강영 교수님 <불멸의 원자> 강연 안내 1 박용태 2016.08.18 268
3453 이강산 시 4편-23일 읽을 시 2 이강산 2010.03.16 2294
3452 공지 이 책 참 괜찮네요. 이중훈 2009.03.12 2254
3451 이 시대의 스승 법정스님 '뜻'을 기리며 5 서지미 2010.03.19 2080
3450 이 세상 모든 글치들을 위한 책 <글쓰기 클리닉>을 출간했습니다. 1 임승수 2011.12.15 2124
3449 공지 이 모임에 참여하고 싶네요^^ 관리자 2002.07.12 3758
3448 이 놀이의 이름은... 6 지석연 2010.05.16 2801
3447 공지 이 기분이 깨지기 전에~~ ^^; 6 윤현식 2008.05.08 1505
3446 공지 이 기분을 뭐라고 설명해야 할까요? 11 심나래 2008.02.06 1480
3445 이 계절에 너무 어울리는 글. 1 김영이 2009.04.21 17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