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874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37억년 우주의 진화 강의가 곧 시작됩니다.

 아는 것이 거의 없는 분야라 시퍼런 바닷물에 뛰어들기 직전의 느낌입니다.
저 바닷속 세계를 너무나 들여다 보고싶기에 안 들어갈 순 없고......

 그런데 어슐러 구디너프의 <자연의 신성한 깊이>를 읽다가 서문에서 이런 글을 발견했습니다.

        " 인간의 기억은 옷장과 같다고 한다. 공교육의 가장 지속적인 결과는 그것이 일련의 고리를 만든다는 것이다.  그래서 나중에 새로운 정보를 접했을 때 그 정보를 고리의 연장선상에 걸어둘 수 있다. 고리가 없다면 새로운 정보는 마룻바닥에 떨어진다.

        과학지식이 많지 않은 어느 한 독자가 자연에 대한 내 책을 읽었는데, 그는 읽을 때에는 내가 말하는 모든 것이 이해되는 것 같았는데 그 다음날엔 하나도 기억할 수 없었다고 말한 적이 있다. 

      나는 그것은 고리가 없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시험을 보는 것이 아니므로 걱정하지 말라고, 사실 우리가 과학책을 읽는 것은 그 다음에 읽을 책에 대비한 고리를 만드는 것에 다름아니라고....
 
   그렇다. 이야기를 처음 들을 때 중요한 것은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느끼는 것이다."


   
  그래, 이거다!
  처음부터 다 이해할 수 없더라도 일단은 깊이 느껴보자. 제대로 느껴보자.  
  이렇게 생각하면서 씩씩하게 풍덩~  뛰어들어보려고 합니다.  

  • ?
    이기두 2010.04.01 00:37
    공감하는 내용입니다.

    요즘 박문호 박사님 강의 내용과도 일치하는 것 같네요.
  • ?
    연탄이정원 2010.04.01 00:37
    좋으시겠다^^ 부러워요.
  • ?
    오화정 2010.04.01 00:37
    <고리>라는 말이 이렇게 멋지고 좋은 말인 줄 처음 알았습니다. 평생 머릿속에 간직할 좋은 말씀을 알려주신 문건민님 감사합니다. 지난 서울 뇌-인지과학 심포지움에서 말했던 책을 정확하게 알려드립니다. [기적을 부르는 뇌] 노먼 도이지 지음. 김미선 옮김. 지호출판사. 2008년 7월 21일 발행. 부제 : 뇌 가소성이 일구어낸 인간 승리의 기록들. 수많은 과학자와 사례들의 등장 인물들이 있어요. 모두 다 기적같은 일인데, 특히 이 말이 눈을 반짝 뜨게 했습니다. 임계기 - 노력이 필요하지 않은 학습의 마술시대는 미취학기, 어린시절처럼 짧답니다. 그리고 백색소음 - 기계들로부터 나오는 연속적인 배경 소음- 수많은 진동수로 이루어져 있고 청각피질에 매우 자극적이다.- 고속도로와 시끄러운 공항에 가까이 살수록 어린이 지능이 낮다는 조사보고 등 아이 키우는 부모에게 유익한 정보가 있더라구요. 이 책에 있는 고리와 심포지움 강의 내용이 고리로 연결되더라구요. 진해에서 만나요
  • ?
    문건민 2010.04.01 00:37
    아, 네, 그 책이었군요. 저도 요즘 잘 읽고 있어요.
    부모로서도 저 자신을 위해서도 도움이 많이 되는 책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44 안면도 송년 번개 모임 사진 일부.. 3 홍종연 2010.12.28 1878
2343 가입인사드립니다 5 서대원 2010.09.15 1877
2342 백북스 일정용 구글 캘린더 하나 만들어주시죠. 경민수 2010.05.06 1877
2341 이성(理性)과 신앙(信仰)에대한 강연을 건의합니다. 육형빈 2010.06.24 1876
2340 공지 강신철 교수님 해임 반대 서명 운동에 동참해 주세요 2 송나리 2006.08.17 1876
2339 가입인사 가입인사 드립니다 이상재 2016.02.01 1875
2338 [신간 소개] 뇌와 삶의 의미...폴 새가드 지음, 김미선 옮김 6 변정구 2011.07.10 1875
2337 궁극적 재부팅 - "새로운 과학이 몰려온다" 강연 동영상 3 고원용 2009.07.04 1875
» <자연의 신성한 깊이>를 읽다가 4 문건민 2010.04.01 1874
2335 활쏘기의 선 이중훈 2009.04.03 1874
2334 공지 이태백이 놀던 달빛에 취해봅시다 3 전재영 2008.05.18 1874
2333 [책] 너무 늦기 전에 알아야 할, 물건 이야기 (김영사, 2011년) 변정구 2011.07.22 1873
2332 퇴계 공부법 이중훈 2010.02.08 1873
2331 공지 책을 읽어야 하는 10가지 이유 1 김보영 2009.03.12 1873
2330 공지 [심포지움] '뇌과학과 동서정신의학 통섭' 접수 중 19 임말희 2009.01.05 1873
2329 공지 [카이스트 강연] 뇌와 창조성 5 문경수 2007.11.08 1873
2328 공지 오늘도 생각합니다^^ 2 김혜진 2006.02.27 1873
2327 백북스 정기모임 일정과 장소 확인바랍니다 3 강신철 2010.09.03 1872
2326 (도서 소개 ) 놀라운 인체백과 1 이관용 2010.06.12 1872
2325 공지 148회 독서토론회 사진 - 그림같은 세상 5 이정원 2008.08.27 18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