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8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시안 게놈 로드' 프로젝트] 조선일보·서울대 유전체의학硏 공동
'민족 이동路·차이' 규명
게놈은 집 설계도와 같아 한국 뿌리찾는 길잡이 될것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유전체의학연구소와 조선일보가 함께 펼치는 '아시안 게놈 로드(Asian Genome Road)'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9개국이 협력해 총 918명의 게놈을 1년여간 분석하는 대규모 과학기술 프로젝트다.

이를 통해 아시아 인류의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유전적·문화적 동질성과 차이를 파악하게 된다. 또한 우리나라와 아시아 나라들이 의료서비스와 유전공학, IT 분야에서 새로운 협력관계를 열어갈 수 있는 전기가 될 전망이다.




DNA로 한국인의 뿌리를 찾는다

인간은 약 30억개의 염기로 이뤄진 DNA(유전 물질)를 갖고 있다. 이를 게놈이라 부른다. 그중에는 인체를 구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정보들도 있고 그리 의미 없는 정보들도 있다. 과학자들은 이 중 약 2만5000개의 중요한 DNA 유전자를 발견했다.

사람을 집으로 치면 게놈은 설계도면과 같다. 게놈을 분석하면 인간이라는 집의 설계도를 얻는 셈이다. 역사적 건축물의 양식을 분석하면 지어진 시기나 당대의 문화적 흐름을 알 수 있듯이 게놈을 분석하면 민족의 변천이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아시안 게놈 로드는 아시아 주요 민족의 게놈을 분석해 민족의 이동 경로와 차이를 알려 준다. 그간 남방 아시아의 이동 경로를 파악한 적은 있지만, 북방· 남방 아시아계의 게놈 분석을 동시에, 그것도 1000명에 가까운 대규모 인원의 게놈 분석을 수행한 적은 없다. 아시안 게놈 로드는 아시아 민족의 기원과 차이를 게놈으로 명확하게 보여 주는 첫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아시안 게놈 로드의 참여국은 북방계 아시아에서 터키, 카자흐스탄, 몽골, 러시아, 중국, 한국이며, 남방계 아시아에서 인도(남부), 태국, 베트남이다. 아시아 인류의 전파는 터키에서 출발해 카자흐스탄, 몽골, 시베리아, 만주를 거쳐 한반도에 도착한 북방계 인종과 인도, 태국, 베트남을 거친 남방계 인종으로 나뉜다. 한반도는 북방계와 남방계 인류가 만나는 접점이다. 한반도에서 만난 북방계와 남방계는 이후 일본으로 넘어갔을 것으로 학계는 보고 있다. 아시안 게놈 로드 사업이 완료되면 그동안 많은 추측과 가설이 혼재해온 아시아 인류 이동과 변천을 과학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한국이 게놈 분석의 선두 주자로 올라서

아시안 게놈 로드 사업으로 우리가 얻을 것은 많다. 1000명에 달하는 대규모 게놈 분석으로 축적하는 노하우와 정보로 우리나라는 의학·바이오 분야의 세계적 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다.



신체 장기, 뼈, 근육의 위치와 기능을 다루는 해부학이 발전하지 않았다면 외과 수술로 치료할 수 있는 각종 질병 퇴치는 어려웠을 것이다. 게놈 분석은 왜 동양인의 눈동자가 검은색인지, 사람의 머리카락이 왜 어떤 사람은 직모이고 어떤 사람은 곱슬머리인지를 알려 준다. 인간을 만드는 설계 도면인 게놈을 찾아낸다는 것은 곧 유전질환 같은 각종 난치병 치료에 신기원이 열린다는 것을 뜻한다.

사람의 게놈 분석에 처음 성공한 것은 2003년 미국이었다. 현재 미국, 일본, 중국, 영국 등의 의과대학과 유전공학 연구진들이 게놈 분석에 매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생명공학 연구진뿐 아니라 구글 같은 IT 업체도 게놈 분석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30억개의 방대한 DNA에서 의미 있는 DNA를 골라내는 작업에 검색 기술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24일 컴퓨터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삼성SDS가 삼성의료원과 손잡고 DNA 분석에 나선다고 발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게놈 분석은 IT와 유전공학에 좋은 인적 자원을 갖춘 우리에게 매우 유망한 융·복합 분야로 평가받는다. 서울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서정선 소장은 "우리의 IT와 BT(생명공학)로 아시아 각국 민족들이 가진 특유의 유전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 줄 수 있다"면서 "아시안 게놈 로드 프로젝트는 '과학한류'를 창출하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44 공지 뇌! 유현숙 2005.05.13 1822
2143 공지 새로운 홈페이지가 오픈합니다!! 11 김영이 2009.03.24 1822
2142 175회 백북스 정기모임 오늘입니다(13일 저녁7시) 김홍섭 2009.10.14 1822
2141 가을 사랑 김호영 2009.10.19 1822
» [기사] '아시안 게놈 로드' 프로젝트-조선일보 전재영 2010.03.27 1822
2139 공지 6월 25일, 책 '연금술사' '희망의 인문학' '일류의 조건' 감상평을 받습니다. 1 김주현 2007.06.16 1823
2138 저..박사님 오늘강의 하신... 1 이한해솔 2009.07.05 1823
2137 <책소개> 뇌가 좋은 아이 이동선 2010.01.30 1823
2136 <뇌, 생각의 출현> 올해의 책 투표 18 이정원 2008.12.18 1824
2135 공지 수학아카데미 간략후기 15 전승철 2009.01.11 1824
2134 엠티,.. 번개.... 할까요? 3 임석희 2013.02.18 1824
2133 공지 [130회 독서토론회]'만들어진 신' 현장 스케치 4 박혜영 2007.12.03 1825
2132 "신경학적 질환"에 대한 강의 8 이일준 2011.05.03 1825
2131 공지 [정보]천곡동굴, 환선동굴, 무릉계곡 문경목 2007.11.24 1826
2130 공지 가입 환영 메일을 보면서 2 file 이동섭 2009.01.15 1826
2129 <뇌,생각의 출현> 독서감상문대회 당선자 발표 및 시상식 이벤트 3 김창규 2009.08.08 1826
2128 공지 박문호 박사님과 YTN 박순표 기자의 대담 3 문경수 2007.12.08 1827
2127 공지 [물리]표준모형의 난제들...이종필박사 1 서지미 2009.03.23 1827
2126 137억년 우주의 진화 ... 강선재 2009.11.01 1827
2125 작가 박범신과 함께하는 <나마스테 데이트>에 초대합니다! 북사랑 2010.06.30 18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