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685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번 수학아카데미 2기는 양자역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을 목표로 하여, 1학기에는 양자역학을 위한 수학적 기반인 미적분학을 다지고 2학기에는 본격적인 양자역학 수업을 진행합니다. 수강신청이 2/26까지이니 조급(?)해하시기 바랍니다. 소피가 아닌 공부마렵다고 하실정도로




2월 19일 KBS '일류로 가는 길'에서 최재천 교수님께서 나오셔서 강의를 하셨습니다. 장대익 교수님과 함께 통섭(작은따옴표가 필요 없을 정도로 우리 백북스에는 익숙한 개념이죠)을 우리나라에 아이콘으로 들여오신 분이시죠.
(http://www.kbs.co.kr/1tv/sisa/firstclass/about/index.html에 가시면 다시 보실 수 있습니다. 대본도 제공하고 있으니 주위에 계신 한 분이 황수경 아나운서 역을 맡으시고 직접 최재천 교수님 역을 맡으셔서 요즘 중학교 1학년 2학기 국어 1단원 '능동적으로 읽기'를 한 번 공부해 보시는 것도)

  "하지만 그걸 또 뒤집으면 21세기 자연과학을 모르고 수학적인 마인드 없이 이 세상을 살아가겠다
                     라고 생각하시는 분 저 정말 죄송합니다. 그렇게 어리석을 수 있으신가요"


                                                 의역해보면 수학아카데미에 모여서

                                                                      다같이

            "공부합시다 무섭게 공부합시다 신나게 공부합시다 그런 대한민국 한번 만들어봅시다"
               (자료출처 : http://www.kbs.co.kr/1tv/sisa/firstclass/about/index.html 방송보기를 캡쳐)




“아기는 성장하면서 말을 배운다. → 자연적인 방법 ; 이것이 우리의 발견!! 히포에서 우리는 아기들이 말을 배우는 방식대로 즐겁게 온갖 언어를 이야기할 수 있게 된다. TCL에서 수학, 물리학은 두려운 대상이 아니다. 수학, 물리학도 언어의 한 종류이기 때문이다.”
                                                           - 양자역학의 모험 中 -






아바타 편광안경과 함께 인사드립니다
하하하


학문을 숭상하는 백북스 여러분

우리 다같이 언어 하나 더 공부해요. 영어도 중국어도 뛰어넘은 그 언어는요 세계 곳곳에 퍼져있고요, 그 언어를 알면 우린 자연이라는 책을 읽을 수 있습니다.






  • ?
    이정원 2010.02.25 00:38
    정말 재밌는 공지글이네요. ^^
    곳곳에 유머감각이~ ㅋㅋ
    수학아카데미 화이팅!
  • ?
    문건민 2010.02.25 00:38
    작년에 화학수업들으면서 수학과 과학이 '기초언어'같다는 생각을 했는데
    똑같은 얘기를 들으니 반가운 마음이네요.
    수학아카데미 정말 기대됩니다.

  1. 부산 백북스 창립 공지

  2. '백북스' 학습효과, 검증받았음을 자랑합니다. ^-^

  3. 부산백북스 창립 장소 입니다.(대전출발 공지)

  4. No Image 24Feb
    by 한경진
    2010/02/24 by 한경진
    Views 1658 

    부산에도 백북스의 향기가...

  5. 수학아카데미 수강신청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6. 감사합니다.

  7. 백북스 공간에서 빛을 발견하다

  8. No Image 27Feb
    by 김학성
    2010/02/27 by 김학성
    Views 1666 

    오랫만입니다

  9. 첫글인데요^^; 뇌 관련 사소한궁금증 하나 해결부탁드립니다

  10. 2010년 1~2월 백북스 공식 회계보고

  11. 둘째가 벌써 2주일 컸습니다. ^^

  12. 제 2회 백북스 뇌. 인지 과학 심포지움

  13. 2010 세계 뇌주간

  14. No Image 08Mar
    by 홍시
    2010/03/08 by 홍시
    Views 2162 

    강좌:시민의 눈으로 과학기술을 보다-느티나무 아카데미

  15. 화학 초보를 위한 책 소개부탁드립니다

  16. 백북스 뇌 인지 과학 심포지움 등록안내

  17. <카메라로 펼친 천 개의 눈, 천 개의 이미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안내

  18. 초정밀 뇌지도

  19. [New Scientist 2010] '산소' '미토콘드리아'를 쓴 닉 레인의 산소에 대한 글

  20. 에너지보존되는 세계가 존재하나요?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