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09.12.16 03:32

일상속의 들뢰즈

조회 수 24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들뢰즈를 알 리 없었던 큰어머니의 시뮬라크르






한겨레




















학문이란 어려운 것을 쉽게 풀어내는 작업쯤으로 생각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반대로 극히 쉬운 것을 굳이 어렵게 구성하는 면도 있다. 내가 초등학교 6학년 때쯤의 일로 기억한다. 당시 뭣 때문이었는지 모르지만 연로한 큰어머니가 가족들 앞에서 그 자리에 없는 작은아버지를 성토하고 있었다.

큰아버지가 듣기 민망했던지 넌지시 만류하자 큰어머니가 대뜸 “왜 하지 말아요? 고기는 씹어야 맛이고, 말은 해야 맛인데.”라고 말을 받았다.

갈등의 내용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던 나였지만 이 말에는 귀가 퍼뜩 띄었다. 그렇다, 고기가 아무리 맛있어도 씹지 않고 넘긴다면 먹으나 마나다. 그리고 말을 하면 실제로 뭘 먹는 것도 아닌데 맛 같은 게 느껴진다.

그 후로 나는 말을 할 때 느끼는 쾌감이 도대체 어디서 오나 하는 막연한 호기심이 지금껏 뇌리를 떠나지 않았다. 아마 내가 언어를 연구하겠다고 마음먹은 것도 이 때문이었으리라.

그러던 중 우연히 들뢰즈를 읽다가 스토아학파의 사건/시뮬라크르의 개념을 접하게 되었다.

즉 맛이란 비물체적인 것인데 이는 물체적인 것들이 부딪칠 때 물체들의 표면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표면효과이자 사건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고기의 맛은 이가 고기를 파괴하는 표면들 사이에서, 다시 혀가 그 표면을 훑는 사이에서 발생하는 효과이고, 말의 맛은 언어의 음운법칙에 따라 구강내 발음기관들이 서로 부딪는 표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맛의 효과인 셈이 된다. 그러니까 말도 음식처럼 씹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 나는 무릎을 탁 쳤다. 옛날 우리 큰어머니는 그냥 감각으로 터득한 사실을 철학자들은 정말 힘들게 설명했구나!

그러므로 물체적인 것은 비물체적인 것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이 비물체적인 것이 우리의 존재를 알게 해주는 존재자(시뮬라크르)가 되므로, 우리가 물질을 욕망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존재를 느끼기 위해서이다. 오늘날의 물신주의는 물질 자체에 집착하게 만드는데 이는 도착증이다. 말은 해야 맛이듯이, 물질은 제대로 쓸 때 맛이 난다.

김근 서강대 교수·중국문화전공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24 공지 온지당 홈페이지 개설~ 1 김영이 2008.10.26 1270
3323 공지 온지당 행사 참가~ 4 형순호 2008.03.21 1474
3322 공지 온지당 행사 살림 살이의 감동 4 현영석 2008.03.26 1364
3321 공지 온지당 행사 '자원봉사자'들은 오전 10시까지 오세요. 9 송윤호 2008.03.21 1310
3320 공지 온지당 사진 문의 3 임석희 2008.03.16 1127
3319 온지당 모임을 다녀오며..(백북스가 가진 놀라운 힘) 2 홍종연 2009.06.07 1906
3318 공지 온지당 '이화에 월백하고' 2 이정원 2008.04.20 1308
3317 공지 온지당 1 박문호 2007.07.16 1852
3316 공지 온라인으로 참여하세요...^^ 송윤호 2002.07.04 4115
3315 자연과학 온라인 이종필 교수님 상대성원리 강의 같이 들으실 분 5 장미공원 2015.11.12 2110
3314 공지 온라인 동영상 중계 구용본 2003.02.26 2546
3313 공지 옥순원 - 윤요한 母子의 기사 2 문경목 2008.01.07 1731
3312 공지 옥수 4 문경목 2007.12.06 1510
3311 공지 오후 3시 1 박문호 2008.03.17 1220
3310 공지 오프라인 미팅(6월24일) 강신철 2003.06.22 2707
3309 공지 오프라인 미팅 운영자를 모집합니다. 3 강신철 2003.06.07 2818
3308 공지 오프라인 미팅 운영을 맡으면서... 3 강신철 2003.03.30 2740
3307 공지 오프라인 모임은 3 박혜라 2003.09.25 2172
3306 공지 오프라인 모임 참석후 열씨미 2003.02.11 2460
3305 공지 오프라인 모임 관련 문의 3 이연경 2008.03.25 11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