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09.12.16 03:32

일상속의 들뢰즈

조회 수 24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들뢰즈를 알 리 없었던 큰어머니의 시뮬라크르






한겨레




















학문이란 어려운 것을 쉽게 풀어내는 작업쯤으로 생각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반대로 극히 쉬운 것을 굳이 어렵게 구성하는 면도 있다. 내가 초등학교 6학년 때쯤의 일로 기억한다. 당시 뭣 때문이었는지 모르지만 연로한 큰어머니가 가족들 앞에서 그 자리에 없는 작은아버지를 성토하고 있었다.

큰아버지가 듣기 민망했던지 넌지시 만류하자 큰어머니가 대뜸 “왜 하지 말아요? 고기는 씹어야 맛이고, 말은 해야 맛인데.”라고 말을 받았다.

갈등의 내용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던 나였지만 이 말에는 귀가 퍼뜩 띄었다. 그렇다, 고기가 아무리 맛있어도 씹지 않고 넘긴다면 먹으나 마나다. 그리고 말을 하면 실제로 뭘 먹는 것도 아닌데 맛 같은 게 느껴진다.

그 후로 나는 말을 할 때 느끼는 쾌감이 도대체 어디서 오나 하는 막연한 호기심이 지금껏 뇌리를 떠나지 않았다. 아마 내가 언어를 연구하겠다고 마음먹은 것도 이 때문이었으리라.

그러던 중 우연히 들뢰즈를 읽다가 스토아학파의 사건/시뮬라크르의 개념을 접하게 되었다.

즉 맛이란 비물체적인 것인데 이는 물체적인 것들이 부딪칠 때 물체들의 표면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표면효과이자 사건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고기의 맛은 이가 고기를 파괴하는 표면들 사이에서, 다시 혀가 그 표면을 훑는 사이에서 발생하는 효과이고, 말의 맛은 언어의 음운법칙에 따라 구강내 발음기관들이 서로 부딪는 표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맛의 효과인 셈이 된다. 그러니까 말도 음식처럼 씹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 나는 무릎을 탁 쳤다. 옛날 우리 큰어머니는 그냥 감각으로 터득한 사실을 철학자들은 정말 힘들게 설명했구나!

그러므로 물체적인 것은 비물체적인 것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이 비물체적인 것이 우리의 존재를 알게 해주는 존재자(시뮬라크르)가 되므로, 우리가 물질을 욕망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존재를 느끼기 위해서이다. 오늘날의 물신주의는 물질 자체에 집착하게 만드는데 이는 도착증이다. 말은 해야 맛이듯이, 물질은 제대로 쓸 때 맛이 난다.

김근 서강대 교수·중국문화전공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24 공지 27일 선정 도서 "2막"(명진출판) 1 정유현 2004.01.15 2274
3323 공지 “때로는 마음의 필림에만 담아두고 싶은 풍경이 있다”--- 미치오--- 박문호 2005.08.21 2273
3322 같이 식사하시죠 11 박용태 2009.05.14 2271
3321 공지 "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다." 7 임성혁 2007.10.30 2270
3320 한 아름다운 영혼이 사라진 슬픔 2 강신철 2009.05.24 2269
3319 공지 비야! 배가 고프단다. 윤석련 2003.07.06 2269
3318 [번개] 려원이가 쏜다~!!! 11 임석희 2013.03.07 2268
3317 [공지] 179차 백북스 정기모임 안내(12월8일 저녁7시) 1 김홍섭 2009.12.08 2268
3316 서울 백북스 12월 18일 송년모임 안내 박용태 2009.12.01 2268
3315 공지 [알림] 제 4기 100books 게시판 필진 모집 !!! 19 송윤호 2007.12.12 2268
3314 대한의학회 신경해부학 통합강좌 안내 6 김미선 2010.04.09 2266
3313 박성일 운영위원님의 신축건물 준공을 축하드립니다. 16 file 강신철 2009.07.02 2266
3312 공지 KBS에서 보내온 편지 강신철 2005.05.11 2266
3311 공지 독서여행(다산초당-소쇄원-녹우당-보길도) 1 박문호 2004.10.09 2266
3310 공지 [공지] 100books 6월 모임 한눈에보기 6 이정원 2008.06.05 2265
3309 공지 처음 뵙겠습니다^^ 1 배숙현 2003.06.06 2265
3308 올 한해 꽃처럼 화사하고 행복하소서 ! 4 file 현영석 2010.01.01 2264
3307 아인슈타인이 직접 쓴 상대성 이론 책이 번역되어 있습니다 고원용 2009.07.19 2263
3306 공지 늘 짧게만 느껴지는 긴 대화 12 이정원 2007.11.09 2263
3305 공지 수유+너머 홈페이지에 토론회 사진이 올라왔습니다 ^^ 송윤호 2007.09.17 22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