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09.12.16 03:32

일상속의 들뢰즈

조회 수 24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들뢰즈를 알 리 없었던 큰어머니의 시뮬라크르






한겨레




















학문이란 어려운 것을 쉽게 풀어내는 작업쯤으로 생각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반대로 극히 쉬운 것을 굳이 어렵게 구성하는 면도 있다. 내가 초등학교 6학년 때쯤의 일로 기억한다. 당시 뭣 때문이었는지 모르지만 연로한 큰어머니가 가족들 앞에서 그 자리에 없는 작은아버지를 성토하고 있었다.

큰아버지가 듣기 민망했던지 넌지시 만류하자 큰어머니가 대뜸 “왜 하지 말아요? 고기는 씹어야 맛이고, 말은 해야 맛인데.”라고 말을 받았다.

갈등의 내용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던 나였지만 이 말에는 귀가 퍼뜩 띄었다. 그렇다, 고기가 아무리 맛있어도 씹지 않고 넘긴다면 먹으나 마나다. 그리고 말을 하면 실제로 뭘 먹는 것도 아닌데 맛 같은 게 느껴진다.

그 후로 나는 말을 할 때 느끼는 쾌감이 도대체 어디서 오나 하는 막연한 호기심이 지금껏 뇌리를 떠나지 않았다. 아마 내가 언어를 연구하겠다고 마음먹은 것도 이 때문이었으리라.

그러던 중 우연히 들뢰즈를 읽다가 스토아학파의 사건/시뮬라크르의 개념을 접하게 되었다.

즉 맛이란 비물체적인 것인데 이는 물체적인 것들이 부딪칠 때 물체들의 표면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표면효과이자 사건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고기의 맛은 이가 고기를 파괴하는 표면들 사이에서, 다시 혀가 그 표면을 훑는 사이에서 발생하는 효과이고, 말의 맛은 언어의 음운법칙에 따라 구강내 발음기관들이 서로 부딪는 표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맛의 효과인 셈이 된다. 그러니까 말도 음식처럼 씹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 나는 무릎을 탁 쳤다. 옛날 우리 큰어머니는 그냥 감각으로 터득한 사실을 철학자들은 정말 힘들게 설명했구나!

그러므로 물체적인 것은 비물체적인 것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이 비물체적인 것이 우리의 존재를 알게 해주는 존재자(시뮬라크르)가 되므로, 우리가 물질을 욕망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존재를 느끼기 위해서이다. 오늘날의 물신주의는 물질 자체에 집착하게 만드는데 이는 도착증이다. 말은 해야 맛이듯이, 물질은 제대로 쓸 때 맛이 난다.

김근 서강대 교수·중국문화전공


  1. 2009 송년회 안내 - 프로그램/오시는길

    Date2009.12.21 By임석희 Views2965
    Read More
  2. <영국의 독서교육> 저자 초청 강좌 및 세미나

    Date2009.12.21 By이동선 Views2982
    Read More
  3. 12월18일 서울백북스강연회및송년회

    Date2009.12.18 By박용태 Views3290
    Read More
  4. 안녕하세요? 첫만남 인사드립니다.

    Date2009.12.17 By최희선 Views3583
    Read More
  5. 저도 가입인사드립니다..

    Date2009.12.17 By이준규 Views3613
    Read More
  6. 가입인사드립니다

    Date2009.12.16 By이미선 Views2877
    Read More
  7. 한국Technical Writing 학회 컨퍼런스 안내입니다.

    Date2009.12.16 By강호주 Views2973
    Read More
  8. 일상속의 들뢰즈

    Date2009.12.16 By이중훈 Views2498
    Read More
  9. 진해에서 소식 올립니다.

    Date2009.12.15 By이병록 Views2848
    Read More
  10. 여유로운 주말, 뒤적거린 책들..

    Date2009.12.14 By이정원 Views2651
    Read More
  11. <공부력>, 사토 덴, 2008, 이스트북스

    Date2009.12.13 By이중훈 Views2201
    Read More
  12. 겨울방학 청소년 인문학 특강 TEXT 안내입니다!!

    Date2009.12.12 By교육공동체나다 Views2316
    Read More
  13. 가입인사드립니다.

    Date2009.12.11 By공부자 Views2196
    Read More
  14. 12월22일 : 180차 정기강연회/2009 송년회

    Date2009.12.11 By임석희 Views2710
    Read More
  15. 이병록 운영위원님의 해군교육사령부 단장 취임을 축하합니다.

    Date2009.12.11 By강신철 Views2574
    Read More
  16. 도둑 맞은 글

    Date2009.12.11 By전광준 Views2443
    Read More
  17. 일기.. 또는 편지.

    Date2009.12.11 By윤보미 Views2339
    Read More
  18. [공지] 179차 백북스 정기모임 안내(12월8일 저녁7시)

    Date2009.12.08 By김홍섭 Views2268
    Read More
  19. 대전시민아카데미 청소년 겨울특강(초중고)에 초대합니다

    Date2009.12.04 By손주영 Views2227
    Read More
  20. 북콘서트 - 우리대전같은책읽기

    Date2009.12.04 By강신철 Views208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