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9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다중지성의 정원에서 하는 가을학기 강좌 중 소개할 만한 강좌가 있어 가져왔습니다..

출처 :게시물주소: http://daziwon.ohpy.com/227872/20




[과학] 과학과 사회의 인터페이스: 위험 증후군과 잡종적 비전


 


강사  강윤재


개강  2009년 10월 7일부터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30분 (8강, 104,000원)


강연신청 :다지원 홈페이지  http://daziwon.ohpy.com


강의큐레이터


 


강좌취지


무한 진보의 꿈을 견인하던 “황금시대의 과학 신화”는 더 이상 우리를 안심시키지도 위로하지도 못한다. 불안은 단순히 지위 상실의 위기의식이나 신자유주의의 유연화 기조에만 기원하는 것이 아니다. 사회와 자연의 이분법에 기초한 근대적 기획은 포스트모던의 기획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 자체의 놀라운 성공으로 위기에 처했다. 과학과 기술이 엄청나게 쏟아내는 인공물을 물질의 세계에 가두고 그와는 동떨어진 우리만의 정신의 세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근대의 신념은 낡은 교과서에 불과하다. 이제 자연(과학)과 사회의 분리가 아니라 결합에, 그리고 그 접점(인터페이스)과 공동생산(co-production)에 관심을 돌려야 한다. 이 강좌에서는 새로운 관심을 위한 일종의 가이드로서 STS(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의 기초개념과 역사를 살펴보고, 현실에 존재하는 위험 증후군의 해결을 위한 잡종적 비전을 함께 모색해보도록 하겠다.  


 


1강  STS의 기초개념과 역사 1: 검증주의에서 반증주의를 거쳐 패러다임의 시대로


 


2강  STS의 기초개념과 역사 2: 과학의 사회적 구성에서 과학과 사회의 공동생산으로


 


3강  위험 증후군 1: 두 문화와 이공계/인문학 위기 담론


 


4강  위험 증후군 2: 기술 위험과 정상사고, 탈정상과학


 


5강  위험 증후군 3: 인간과 전염병의 공진화(신종 인플루엔자 A의 교훈)


 


6강  잡종적 비전 1: "위험사회"와 인공물 정치의 복원


 


7강  잡종적 비전 2: 전문가와 시민의 생산적 만남(과학기술민주화와 PUS, 대중의 과학이해)


 


8강  잡종적 비전 3: 인간과 비인간의 생산적 만남(ANT, 행위자연결망이론)


 


 


참고문헌 


브뤼노 라튀르 지음,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 갈무리.





 


 



강사소개


한양대 교육전담교수
과학사회학 전공, 문학박사
<H2O>(양문사), <과학>(들녘) 등 다수의 과학책 번역.


  1. [기사]"깊이 있고 다양한 독서를 하라"..창의성관련

  2. [기사] 학습 통해 건강 완성한다 - 운영위원 박성일원장님

  3. [기사] 판타지, 일본소설, 만화... 대학생 독서편식

  4. [기사] 천문우주+뇌과학 통섭심포지움 - 중앙일보

  5. [기사] 지식문화운동하는 뇌과학자 박문호 박사

  6. [기사] 이사람 “어려운 책 읽어야 뇌운동 됩니다” -경향신문

  7. [기사] 우주 홍보 대사 선발

  8. [기사] 아름다운 동행, 백권독서클럽 - 월간 PAPER 10월호

  9. [기사] 술 마시는 사람일 수록 뇌 크기 작다?

  10. [기사] 백북스 소개 기사 - 머니투데이 2008.09.03

  11. [기사] 백북스 소개 (DTV 9+10월호) - 이정원

  12. [기사] 모두 뇌로 설명이 된다 - 조선일보

  13. [기사] 동아일보 기사, 백북스의 '독서 빅뱅'

  14. [기사] 돌.흙과 지구생명체 함께 진화했다

  15. [기사] 당신이 잠든 사이, 뇌는 창의성 발전소

  16. [기사] 뇌, 생각의 출현 - 인터넷서점 메인

  17. [기사] 뇌, 생각의 출현 - 각종 일간지 (2008-10-25)

  18. [기사] 노벨 물리학상 , "대칭성의 깨짐"

  19. [기사] 과학 인문학 만날 때 새로운 학문 혁명

  20. [기사] 간송미술관 '조선서화전' (10/12~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 218 Next
/ 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