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09.09.21 08:29

향기에 취한 과학자

조회 수 17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블로그 비우는 집에서 펌



'냄새'


냄새가 과학의 한분야로 심각한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생각은 전혀 하지 못하고 있었다.


시각의 문제에서 인식의 경로에 대한 연구(화성에 사는 인류학자)가 흥미로워서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은 있지만, 냄새라는 것은 좀 추상적인 인상이 강해서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서 객관적인 결과를 낼수 있는 과학의 한 분야라는 생각은 하지 못했다.


루카 투린. 냄새라는 일반인이 주목하지 못하고 있는 과학 분야에 괴짜 과학자가 나타났다.


냄새란 코에 있는 수용체가 냄새분자의 모양을 인식해서 그 결과를 뇌에서 처리한 결과로 나타난 감각이라고 모두가 생각하고 그렇게 굳어진 학계에, 냄새분자의 모양이 아닌 분자의 진동수가 냄새를 결정한다는 주장을 하고 이를 향수 산업에 적용시키려는 시도를 하는 학자다.


어렸을 때 '내가 보고, 듣고, 냄새 맡는 이 세상을 남들도 똑같이 느끼는 걸까?'에 대해 오랫동안 생각했던 적이 있었다. 관념론에서 주로 얘기하는 대로 이 세상은 자기가 생각하는 대로 존재한다는 것.


나는 노란색을 보고 화사하다고 느끼지만, 다른 사람은 내가 보는 노란색을 빨간색처럼 느끼고 화사함을 느끼는 것은 아닐까?


여기에서 더 나아가 냄새라는 것은 시각보다 훨씬 더 주관적인 느낌이 강한 감각이 아닌가? 버스 매연냄새가 좋아서 버스뒤를 쫓아가고, 주유소에서 기름 냄새 맡는 걸 좋아하는 친구가 있었다. 그 친구는 내가 느끼는 매연 냄새, 기름냄새와는 다른 냄새로 느끼는 것은 아닐까?


투린은 냄새 또한 시각이나 청각처럼 실체가 있는 감각이라고 말한다. 기호의 차이가 있고 시각이나 청각보다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울 뿐이지만 분명한 실체가 있다고.


그리고 그 감각은 코속에 생체 분광기를 통해서 분자의 진동수를 측정하여 그 느낌을 뇌에 전달한다고.


 


여기까지는 별다를바 없는 과학의 역사중 한 과학자의 이야기였다. 그리고 결말에 가면 그 과학자의 타당성있는 이론이 그동안의 현실과 부합하지 못하는 이론을 뒤집어 모든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는 성공의 이야기로 끝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이책에서는 과학계의 또다른 세계를 이야기 한다. 한 분야의 거물, 학파, 기득권자가 공정하고 객관적인 실험의 결과에 반하여 자신의 이익을 위해 정당한 논문을 사장시켜버릴수 있는 현실을 보여준다.


과학이라는 세계는 좋은 머리만 가지고 올바른 연구를 통해 진실을 밝힐수 있는 공명정대한 세계라고 생각했지만 현실은 그런 세계가 아니었다.


자신들의 평생의 연구결과가 휴지조각이 될수도 있는 과학자가 있고, 삶의 터전을 잃을 수도 있는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은 결코 새로운 진실에 호락호락 새 자리를 만들어 주지 않으려 한다. 적극적인 방해 공작은 하지 않더라도 단지 외면하는 것 만으로도 그 결과를 묻어버릴수 있는 것이다.


저자는 말한다. 공정한 글을 쓰기 위해 투린이 주장하는 바만을 듣지 않고 그가 거론했던 학자들, 과학잡지 편집자, 관련 산업계 종사자들을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반대 의견을 듣고자 했으나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고. 한사코 자신의 입장을 밝히기를 꺼렸다고. 그리고 투린의 논문을 읽기를 거부했다고.


철도여행을 하다가 우연히 만난 루카투린의 연구에 흥미를 느낀 저자가 아니었다면 그의 연구는 완전히 묻혀 버렸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4 공지 임석희님의 글을 읽고 5 엄준호 2008.05.22 1796
2243 백북스 부스 일지 10월 20~25일 4 이병은 2009.10.30 1796
2242 주환이네 홍연 6 박영재 2010.07.25 1796
2241 협동조합 기획기사 - 경향신문 6 이정원 2013.01.04 1796
2240 공지 선정도서 기준이 궁금합니다(내용없음) 2 김수아 2007.08.08 1797
2239 공지 100북스에 온 이유 : 왜 철학책을 덜 보고 과학책을 보기 시작했나 5 김원기 2008.09.19 1797
» 향기에 취한 과학자 이중훈 2009.09.21 1797
2237 안면도 송년 번개모임 사진 4 노형근 2010.12.28 1797
2236 HELP!! 이일준 2011.06.09 1797
2235 공지 23일 오후 6시, 카이스트,재미있는 강연이 있네요. 2 이석봉 2008.05.22 1798
2234 공지 [공지]운영회의록 3 강신철 2009.03.22 1798
2233 공지 뇌주간(3.14일~21일)관련 행사...고려대 현장 1 서지미 2009.03.27 1798
2232 낭독의 발견 공개녹화 초대장 김주현 2009.06.10 1798
2231 난독증... 1 김상철 2010.07.13 1798
2230 백북스 한달을 돌아보며 4 홍종연 2009.04.30 1799
2229 책 잘 받았습니다. 육형빈 2009.05.02 1799
2228 '뇌과학과 마음'주제 격론(미디어 붓다) 4 안희찬 2009.09.08 1799
2227 공지 [기사]엔트로피는 증가한다...곽영직교수님 1 서지미 2009.02.10 1800
2226 공지 2009 뇌과학 주관 1 임석희 2009.03.12 1800
2225 공지 [149회 독서 토론회 현장스케치] 의미의 논리 - 이정우 박사 4 류우정 2008.09.12 18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