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6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옛이야기나 영화, 게임 등에서 괴물은 청소년에게 무척 친숙하고 흥미로운 존재이지만 철학에서는 괴물에 대해 무슨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요? 신화와 전설 속 괴물들, 기형적인 모습으로 태어나 괴물 취급을 받았던 실존인물들, 괴물을 신성한 존재로 바라본 고대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 등 다양하고 흥미로운 이야기 속에서 인간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고 자기 자신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할 수 있게 합니다.

프랑스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출판되어 프랑스 어린이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작은철학자’ 시리즈는, 어린이 · 청소년용이라는 이유로 재미로 치장하여 정작 철학은 주인공 자리에게 밀려나게 하는 책하고는 다릅니다. 어른 철학책을 흉내 내어 플라톤부터 철학자들 이름을 순서대로 주워섬기지도 않습니다. 단편적인 우화를 늘어놓고 ‘한번 생각해 보렴’하고 끝맺지도 않지요.

‘작은철학자’는 한 가지 철학적 주제를 깊이 파고듭니다. 풍부한 그림과 친절한 설명으로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지만 때로는 끈기 있게 자기 머리로 생각해 보게 합니다. 스스로 깊이 생각해 보는 것이 바로 철학이라는 점에서 ‘작은철학자’는 어린이들이 진정한 철학적 사고 훈련을 하게 해 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이야말로 가장 무시무시한 괴물이 아닐까?

괴물은 괴상하고 무시무시한 상상 속 짐승을 일컬을 때 흔히 쓰는 말이다. 그러나 많은 괴물 영화에서 암시하는 바와 같이, 인간이야말로 가장 잔인한 괴물이 아닐까?

인간은 자신과 똑같은 인간 수십만을 한꺼번에 살육한 적도 있어요. 인간들의 그런 행동이야말로 괴물스러운 것이 아닐까요? 인간이 아니라 야만적인 짐승처럼 다른 인간들을 죽였으니 말이죠. (12쪽)

홀로코스트 같은 끔찍한 일을 저지른 자는 괴상하고 혐오스러운 사람일 것이라 짐작하기 쉽지만 사실 유대인 학살의 책임자들이나 나치즘에 열광한 사람들은 평범한 보통 사람들이었다. 철학자 한나 아렌트는 그것을 ‘악의 평범성’이라는 말로 설명한 바 있다. 이 책에서는 ‘우리 속에 있는 괴물’이 “군중 속에서 괴물스러운 면을 드러내게”(55쪽) 되기가 쉽다는 설명으로 청소년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이야기하고 있다.

그 일[홀로코스트]에 참여한 사람들이 비인간적인 면모를 보인 적은 없었어요. 성실히 자기 일을 했을 뿐이지요. 자기가 비인간적인 일을 한다는 생각 없이 잔인한 대량 학살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아마도 역사상 처음으로 현대 기술이 그런 대규모 범죄에 이용되었기 때문일 거예요. (53-54쪽)


우리와 다른 자들은 모두 괴물?

스스로 괴물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낯선 타인을 괴물 보듯 하지 않는 것이다. 옛날 반공 포스터에 뿔난 도깨비를 그려 넣었듯이, 상대에게 괴물이라는 딱지를 붙여 버리는 것은 죄책감 없이 상대를 공격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다. 정상/비정상, 문명/야만, 우리/그들의 이분법으로 재단하고 다른 집단을 비정상적이고 야만적인 괴물이라고 부르는 것을 우리는 늘 경계해야 한다.


[카프카의 소설 변신에서] 그레고르의 부모와 여동생은 자신이 보기에 이해 안 되는 사람, 자기 눈에 거슬리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괴물처럼 취급했어요. 특이한 행동을 하는 자를 해로운 동물 보듯 하고 인간으로 보지 않는 것은 흔히 볼 수 있는 일이지요. 그러나 외국인의 행동이나 다른 나라의 관습을 그렇게 보는 것은 인종차별이에요. (45-46쪽)


어느 시대에나 사람들은 이렇게 자기 자신이 아닌 것은 모두 괴물 같다고 보는 경향이 있어요. 사람들은 대체로 괴물에 대한 공포에 몸을 맡겨 버림으로써 자기 정체성에 대해 안심하고, 또 자기는 정상이라고 스스로 생각하며 정상에 속한다는 것이 주는 이익을 누리기도 해요. (47쪽)


‘괴물’이 되지 않기 위해 필요한 것은 비판 정신과 성찰

한나 아렌트가 밝힌 바와 같이, 유대인 학살의 책임자가 괴물이나 악마가 아니라 평범하고 성실한 인간이었다는 사실은 우리 속에 있는 괴물이 흉포해지지 않도록 비판적이고 성찰적인 정신을 가져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이 책은 그러한 설명을 통해 철학을 한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려준다.


괴물스러운 것은 뭐든 멀리하거나 파괴하려고 하는 것이 철학이에요. 페르세우스는 메두사의 목을 벨 때 칼을 썼지만, 철학의 무기는 칼이 아니라 이성이에요. …(중략)… 격한 감정이나 망상에 빠져 있으면 전쟁이나 범죄가 일어나기 쉬운데, 이성은 감정이나 망상에 빠지지 않게 하지요. (59쪽)


생각하기를 멈췄을 때 누구나 괴물이 될 수 있으므로 이성이 늘 깨어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하는 한편, 이성 중심주의에 비판적 거리를 두는 것도 빠뜨리지 않는다. 이성 자체가 괴물을 낳을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목적에 대한 도덕적 판단이 없는 ‘도구적 이성’은 무시무시하고 잔인한 짓을 더 효율적으로 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내용도 쉬운 말로 차근차근 설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책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생소한 철학자의 이름을 거론하지 않고 ‘악의 평범성’이나 ‘타자화’, ‘도구적 이성’ 등 어려워 보이는 개념을 내세우지 않으면서도, 괴물이라는 특이한 주제 속에서 현대 철학의 중요한 논점들을 쉽게 설명해 주고 있다. 여기에 여러 가지 괴물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담긴 ‘찾아보기’ 부록과 화가 문동호의 귀여운 듯 기괴한 괴물 그림은 괴물에게 느끼는 매혹이 철학적 훈련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다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4 공지 [생명 최초의 30억년] 역자 김명주 선생님의 메세지 3 이진석 2007.08.20 3080
1143 공지 [생각] 인터넷 언론 매체의 기사를 게시판에 퍼 올 경우... 2 송윤호 2007.10.09 2813
1142 [새책] 우리 시대를 이끄는 9명의 정치철학자들의 새로운 코뮤니즘 기획 ―『탈정치의 정치학』(본펠드, 네그리, 홀러웨이 외)이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4.03.01 1369
1141 [새책] 에코페미니스트 마리아 미즈의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 여성, 자연, 식민지와 세계적 규모의 자본축적』이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4.02.11 1287
1140 [새책] 가사노동, 재생산, 여성주의 투쟁 ― 실비아 페데리치의 『혁명의 영점』이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3.12.31 1410
1139 홍보 [새책] 『크레디토크라시 ― 부채의 지배와 부채거부』(앤드루 로스 지음, 김의연·김동원·이유진 옮김) 출간되었습니다! 김하은 2016.05.13 4430
1138 [새책] 『과학의 새로운 정치사회학을 향하여』 (스콧 프리켈 외 엮음, 김동광, 김명진, 김병윤 옮김) 갈무리 2013.12.09 1242
1137 [상상마당아카데미] (사)백북스 정회원을 위한 이벤트! <타인과 만나는 방법, 세상과 통하는 과학이야기> 1 상상마당아카데미 2011.12.16 2384
1136 공지 [산행]8월 산행 & 정영옥회원 환송회 알림 5 이진석 2007.07.23 2072
1135 공지 [산행]7월 산행 15일 2시에 합니다. 1 이진석 2007.07.06 1601
1134 공지 [산행]12월 산행 알림(둘째주 일요일-9일 10시) 2 이진석 2007.11.28 1502
1133 공지 [사회적독서] 리차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 대중토론회 file 책읽는사회 2007.12.03 1500
1132 공지 [사진] 추사고택, 화순옹주홍문, 예산 화암사 10 이정원 2008.12.15 2457
1131 공지 [사진] 창.디. 윤증고택 답사 - 종학당 둘러보기 1 이정원 2008.10.13 1701
1130 공지 [사진] 창.디. 윤증고택 답사 - 윤증고택 둘러보기 3 이정원 2008.10.13 1483
1129 공지 [사진] 정영옥 회원님 환송회 후기 ~ 10 송윤호 2007.08.14 2357
1128 공지 [사진] 이주헌 100일입니다. 24 이정원 2008.05.20 2019
1127 공지 [사진] 오랜만에 주헌이 사진입니다. ^^ 8 이정원 2008.07.31 1398
1126 공지 [사진] 백북스 최연소회원 이주헌입니다. 9 이정원 2008.03.01 1689
1125 공지 [사진] <뇌, 생각의 출현> 서울 출판기념회 (10/31) 4 이정원 2008.11.03 16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