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09.07.13 09:17

말하기 기술

조회 수 1932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말하기 철학, 책으로 펴낸 유정아 전 아나운서"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입에 발린 인사, “오늘 너무 예쁘다”를 좀처럼 못 하는 사람이다. 여러 사람이 함께 있다 돌연 둘만 남게 됐을 때의 침묵을 몹시 불편해하고, 여러 말하기 중 일대일로 말하기가 가장 힘들다고 하는 사람. 퍽이나 수줍음 많고, 또 과묵한 사람임에 분명하다. 그런 그가 말하는 직업을 택했고, 말하는 방법을 가르치러 강단에 섰다. 바로 KBS 아나운서 출신 유정아(42)씨다.

그는 서울대 말하기 강좌의 터줏대감이다. 2004년 강좌가 처음 개설됐을 때부터 쭉 강의를 맡았다(그의 강좌는 “수강신청이 10초면 마감되는” 인기 강좌라고 한다). 그리고 그 강의 자료를 모아 최근 『유정아의 서울대 말하기 강의』(문학동네)를 냈다. 말하기의 실전 기술을 알려 주는 실용서라기보다 말하기의 본질과 철학을 전하는 제법 묵직한 책이다.

-‘말하기’가 왜 중요한가.
“말은 자신의 지식과 생각을 정리해 보여 주는 수단이다. 말로 표현할 수 있어야 진정으로 아는 것이다. 또 말을 통해 내가 몰랐다는 걸 깨달을 수도 있다. 이렇게 말로 자신을 열어 놓고 해방시켜 줘야 또 다른 생각을 할 수 있는 여지가 만들어진다.”

-‘의사소통’의 수단이라기보다 ‘자아성찰’의 도구로서 더 가치가 크다는 뜻인가.
“그렇다. 말에는 사고와 성찰의 단계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물론 사회 전체로 보면, 말은 구성원들이 갖고 있는 탁월한 지식과 생각을 모으는 역할을 한다. 그 과정이 왜곡되지 않으려면 ‘잘’ 말해야 한다.”

-어떤 말이 잘하는 말인가.
“표준화된 틀은 없다. 꼭 유창한 말하기가 좋은 것도 아니다. 투박한 말이라도 그 말에 진정이 담겨 있으면 사람들은 귀를 기울인다.”

-잘 말하기 위한 방법은.
“화자인 나와 이야기하려는 주제, 그리고 듣는 사람, 이렇게 세 가지의 긴밀한 연관 관계를 잘 계산해 그에 맞게 이야기하는 것이 잘 말하기의 기본이다. 순간순간 최선을 다해 이야기해야 듣는 사람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다.”

-퍽 ‘교과서’적이다. 기술적인 노하우는 없나.
“올바른 발성이 중요하다. 소리만으로도 듣는 사람을 기분 좋게 해 줄 수가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현재 제대로 된 발성을 배울 수 있는 사람은 연극배우와 성악가밖에 없다. 나의 경우엔 FM 라디오를 진행할 때 담당 PD가 마침 성악과 출신이어서 발성법을 배울 수 있었다. 목으로 발성하지 말고 단전에 힘을 줘 소리를 내야 한다. 하반신은 누가 쳐도 넘어가지 않을 정도로 단단하게, 상반신은 춤을 출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하게 한 뒤 척추와 목뼈가 꺾이지 않도록 똑바로 앉거나 선 자세가 올바른 발성의 자세다.”

-대부분의 말은 늘 ‘생방송’이다. 그래서 떨리기도 하고, 갑자기 막히기도 하고, 또 실수도 하는데.
“말하기에 대한 불안은 누구나 있다. 말할 때 ‘청중이 나를 좋아할까’라고 생각하기보다 ‘내가 진심으로 좋은 것을 말하고 있는가’를 고민하는 것이 그 불안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말이 막혔을 때는 공연히 ‘아∼’ ‘에∼’ 등의 군소리를 내는 것보다 잠깐 침묵하는 게 낫다. 잠깐의 공백이 다음 말에 힘을 더해 준다. 그림으로 치자면 여백 같은 효과다.”

-‘저 사람 정말 말 잘한다’ 싶은 사람이 있다면.
“개그맨 유재석씨다. 자신을 낮추며 웃음을 주는, 배려하는 화법이 돋보인다. 손석희 선배는 다른 사람의 진심을 이끌어내는 능력이 있다. 말투가 공격적으로 들리기도 하지만 상대에게 설명할 기회, 변명할 기회를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 탁월한 진행자다.”

-일상적인 대화를 잘 끌어 나가는 비법이 있다면.
“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들어 줘야 말을 잘할 수 있다. 약자를 배려하는 ‘여성주의적 말하기’ 기법도 필요하다. 또 말로 100% 소통을 하겠다는 욕심도 버리는 게 좋다. 사람들은 자기가 남에게 이해받지 못할 때 소통이 안 된다고 심통을 부린다. 서로 이해 안 되는 영역을 기어이 말로 소통하겠다는 생각이 사람들을 지치게 한다. 특히 아주 가깝다고 생각하는 가족 사이에서 그런 우를 범하기 쉽다.”
  • ?
    우성수 2009.07.13 09:17
    정말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한 가지입니다. 우리가 지금 소통 때문에 문제를 많이 안고 살아가고 있잖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64 부끄러운 행복 1 김가희 2009.07.06 1736
3063 저..박사님 오늘강의 하신... 1 이한해솔 2009.07.05 1823
3062 궁극적 재부팅 - "새로운 과학이 몰려온다" 강연 동영상 3 고원용 2009.07.04 1875
3061 책 신청 받습니다. 18 김영이 2009.07.04 3134
3060 박성일 운영위원님의 신축건물 준공을 축하드립니다. 16 file 강신철 2009.07.02 2266
3059 김희준 선생님 칼럼-137억년 전 빅뱅으로 초대합니다 5 강혜정 2009.07.02 1831
3058 1500년 전 한반도의 옥수수는 누가 아메리카에서 가져왔나? 고원용 2009.06.29 3011
3057 사랑도 미움도 없는 사람은 얽매임이 없다 2 박민경 2009.06.27 2039
3056 학습과 감정, 건강 분야의 큰 변화 이끌어--뇌, 베일이 벗겨진다 1 김성훈 2009.06.27 1914
3055 책을 정리하면서 5 전지숙 2009.06.26 1881
3054 쥐의 뇌를 이용한 최초의 사이보그 3 장종훈 2009.06.24 1899
3053 [뇌, 생각의 출현] 독서 감상문 대회가 있네요. 1 윤보미 2009.06.22 1800
3052 168회 정기강연회 안내(6월23일 (화) 19시, 장소확인바람) 김홍섭 2009.06.22 1735
3051 [서호주 학습탐사 대원 추가 모집] 1 김영이 2009.06.22 1683
3050 화학 책 추천합니다. 전재영 2009.06.22 2045
3049 (김민주 님께 답변) 불교방송 '뇌와 생각의 출현' 보기 1 윤보미 2009.06.21 1947
3048 알려주세요 김민주 2009.06.21 1692
3047 양자역학 강의 동영상 2 육형빈 2009.06.20 3233
3046 인천백북스 첫번째 준비모임 안내 (2009-06-30 오후7시, 구월동) 7 이어진 2009.06.20 1978
3045 6월 사랑방 참여의 계기와 느낌 3 이병은 2009.06.19 24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