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831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오늘 자(2009/7/2/목) 동아일보에
서울 백북스 5월 정기 모임 때 강의해 주셨던 김희준 선생님께서
과학 공부와 관련된 칼럼을 쓰셨네요.(
기사 바로 가기<-클릭)

아래는 칼럼 전문입니다.

--------------------------------------------------------------------------------------------------------------------------------------------------











  나는 요즘 특이한 강의실 경험을 하고 있다. ‘인문사회계를 위한 화학’이라는 계절수업에 수강생의 절반 정도인 청강생이 수강생 못지않게, 아니 더 열심히 화학공부를 한다. 얼마 전에 KBS의 박용태 PD를 중심으로 일반인이 과학책을 선정해 읽으며 공부하는 백북스라는 모임에서 강의를 한 적이 있었다. 강의가 끝나고 맥주를 마시면서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그동안 물리 천문 생물은 많이 접했지만 화학을 공부할 기회가 없어서 과학이 전체적으로 연결이 잘 안 된다고 한다. 그러다가 계절수업 이야기가 나왔는데 몇 분이 청강을 해도 좋겠냐고 물었다. 한두 번 들어 보려나 하고 별 생각 없이 그러시라고 했는데 거의 열 분이 예습과 복습을 해가며 열심히 강의를 따라와서 오히려 수강생이 자극을 받는 상황이 됐다.

사람이 무엇인가를 열심히 하는 것은 돈이 되는 경우, 돈이 안 돼도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경우, 그리고 재미있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자식을 위해 부모가 희생하는 일은 대개 두 번째 경우이고, 공부 대신 컴퓨터게임에 빠지는 모습은 세 번째 경우이겠다. 물론 재미있고 의미도 있고 게다가 돈까지 되면 최상의 콤비네이션이다. 위의 청강생들 경우는 딱딱할 줄 알았던 화학공부가 일단 재미있다고 느끼는 것 같다고 자평하는데, 문과생을 위한 과목의 특성을 살려서 ‘우리 몸에 들어있는 원자는 어디에서 왔나’라는 원초적인 질문으로 출발해 화학의 원리를 차근차근 배우니까 나 자신과 관련해 의미를 부여할 수 있고 그래서 재미가 생기는 게 아닌가 싶다. 기원(origin)은 인간의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관심사이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니 금년이 다윈이 종의 기원을 출간한 지 150년 되는 해이다.

현대과학은 물질 자체의 기원에 대해서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다빈치 코드로 잘 알려진 댄 브라운의 소설을 영화화한 ‘천사와 악마’는 일루미나티라는 반()가톨릭집단이 유럽입자물리연구소에서 만들어낸 반물질(·antimatter)을 훔쳐내 바티칸을 폭파하고 가톨릭을 파멸시키려 한다는 플롯이다. 영화의 마무리 부분에 로마 상공에서 물질과 상쇄되어 폭발하며 장관을 연출하는 반물질은 우리 주위의 물질세계를 구성하는 물질 입자와 질량 등 다른 성질은 같고 반대 전하를 가지는 입자이다.

흥미롭게도 반물질은 우주의 기원과 직결된다. 노자의 도덕경에는 도생일(), 일생이(), 이생삼(), 삼생만물()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일생이의 일은 에너지, 이는 물질과 반물질이라고 볼 수 있다. 137억 년 전 빅뱅의 순간에 에너지로부터 거의 같은 양으로 생긴 물질과 반물질은 서로 상쇄되어 빛으로 바뀌고 남은 약간의 물질이 현재의 물질세계를 이루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를 만든다. 이생삼의 이가 물질과 반물질이라면 삼은 양성자 중성자 전자인 것이다. 이 세 가지 입자에서 만물이 생긴다.

빅뱅이라는 단어가 인기 가수그룹 이름에까지 사용되는 요즘 우주의 기원과 우주의 진화를 개략적으로 이해하는 일은 한 사람의 품격을 높인다. 자기 자신의 기원을 아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뿐만 아니라 물질세계를 다루는 과학을 공부할 때는 물질 자체의 기원을 짚고 넘어가면 공부의 의미가 살아나고 공부가 재미있어진다. 우주의 역사를 공부하다 보면 그 일부로 지구의 역사를, 또 지구 역사의 일부로 생명의 역사를 공부하게 된다. 중고교에서부터 큰 틀에서 통합적으로 과학을 공부하는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 그래야 의미가 살아나고 과학 공부가 재미있어지기 때문이다.

김희준 서울대 화학부 교수
  • profile
    김홍섭 2009.07.02 19:29
    앗 한발 늦었네요^^

    역시 발빠른 강혜정 총무님이네요^^
  • ?
    정인성 2009.07.02 19:29
    저번 백북스 강연을 매우 흥미롭게 들었습니다.
    사정상 서울대의 강의는 듣지 못하지만 다른 기회가 있기를 고대하고 있습니다.
  • ?
    김향수 2009.07.02 19:29
    교수님의 화학강의 정말 재미있는데...
    감사드립니다!
  • ?
    이병록 2009.07.02 19:29
    우리 회원님들의 열성에 탄복.....
  • ?
    하경애 2009.07.02 19:29
    소설책 읽는 것 보다 훨씬 재미있습니당..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04 그것 밖에 없다 3 이병은 2009.10.30 1834
2203 [뇌과학 강연 2/6] 간단 후기 + 오늘의 주 논문(PDF 링크) 2 김제원 2010.02.07 1833
2202 홍보 새책! 『대테러전쟁 주식회사』(솔로몬 휴즈 지음, 김정연·이도훈 옮김) ― 공포정치를 통한 기업의 돈벌이 갈무리 2016.04.21 1832
2201 종교에 대한 질문을 올려도 되는지요? 1 신동찬 2009.06.15 1832
2200 공지 감사합니다. 4 임해경 2007.08.13 1832
» 김희준 선생님 칼럼-137억년 전 빅뱅으로 초대합니다 5 강혜정 2009.07.02 1831
2198 공지 [나의 학생들에게] 퍼옴 2 임석희 2008.03.19 1831
2197 켈러, 하딩과 해러웨이의 시선으로 과학기술과 젠더 들여다보기, 강좌 안내입니다 양승원 2010.03.26 1830
2196 뇌과학-등록 및 출석 확인 부탁드립니다 강혜정 2010.01.27 1830
2195 [2009학습마라톤] 하루만 참석하기 / 온천은 선택사항 윤보미 2009.10.24 1830
2194 대전국제우주대회 백북스 홍보관 설치 3 이정원 2009.10.11 1830
2193 공지 금일 있은 이석봉 대표님의 강연을 듣고. 5 최정원 2008.05.28 1830
2192 공지 올해 도서목록 정리했습니다. 1 모현혜 2009.02.05 1829
2191 공지 가슴울림 12 이소연 2008.12.24 1829
2190 공지 '뇌과학공부소모임' 모임 장소 공지 2 엄준호 2007.11.07 1829
2189 서평 공모와 <감정의 분자> 1 정광모 2013.04.11 1828
2188 잠시 부재중인 오창석 총무입니다. ^_^ 5 오창석 2010.06.07 1828
2187 새벽을 마주하며... 8 홍종연 2010.05.28 1828
2186 안녕하세요.오늘 가입했습니다. 진규동 2010.01.24 1828
2185 공지 수학능력 2 이중훈 2009.02.21 18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