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6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57세에 '다시 공부하고 싶다!'는 열정만으로 시작된 사토 도미오씨의 공부편력기이자, '그 나이에도' 할 수 있는 게 이렇게나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책이다. 이 책은 인생의 재도약을 꿈꾸는 오십대에게 어떻게 공부가 인생의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따라해볼 만한 공부법을 제시해 ‘나도 한번 배워볼까?’ ‘다시 시작해볼까?’라는 의욕과 도전의식을 심어준다.

최근 뇌과학의 연구에 의하면 ‘나이 들면 머리가 굳어서 공부가 어렵다.’는 속설은 거짓으로 밝혀졌다고 한다. 머리가 굳어져 나빠지는게 아니라 오히려 더 좋아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저자는 이러한 과학적 사실에 근거하여 공부에 도움이 되는 뇌내 호르몬을 활용하는 공부법과 뇌에 자극을 주는 공부환경을 만드는 법, ‘입버릇’ 하나로 자율신경계를 자극하여 저절로 공부의 흐름에 올라타는 비결 등 구체적인 공부법을 제시해 공부하는 노년이 될 것을 이야기한다.

저자는 자신의 삶 자체가 공부하는 노년의 사례임을 보여준다. 회사에 재직 중이던 57세에 일본 와세다 대학교 경영학부에 재입학하여 60대에 MBA를 취득했고, 사진기술을 제대로 배워보고 싶다는 열망만으로 도쿄공예대 사진학과에 입학해 70세에는 첫 개인전을 열기도 ?다. 65세에 에스키모들과 북극곰 사냥을 하고, 73세에는 전투기로 공중곡예 비행을 하는 등 하고 싶은 일을 하나하나 이루어가고 있다. 저자는 이러한 변화가 단순히 50대에 새롭게 공부하겠다는 의지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한다. 저자의 화려한 노년생활을 담은 이 책은 늦었다고 생각하고 머뭇거리는 이들에게 큰 도전이 될 것이다.공부, 시작하는 것만으로 설레는 인생이 펼쳐진다!

정년퇴직은 그 직장에서의 은퇴일 뿐이다.
공부로 ‘언제나 현역’ 인생에 도전하라!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은퇴 후 '제2의 인생'을 설계하는 장년층이 크게 늘고 있다. '정년퇴직'이 현역의 종착역이 아니라 또 다른 출발점이라는 인식이 보편화된 덕분이다. 정년퇴직이 활기찬 인생의 또 다른 출발점이 되기 위해서는 ‘공부’가 필수적이라는 인식 또한 확산되고 있다. 그래서 정년퇴직을 앞둔 50대에 다시 시작하는 공부는 앞으로의 인생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사건이기도 하다.
신간《배우고 익히면 즐겁지 아니한가》는 57세에 ‘다시 공부하고 싶다!’는 열정만으로 시작된 사토 도미오씨의 공부편력기이자, ‘그 나이에도’할 수 있는 게 이렇게나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제적인 기록이다.
이 책은 인생의 재도약을 꿈꾸는 오십대에게 어떻게 공부가 인생의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따라해볼 만한 공부법을 제시해 ‘나도 한번 배워볼까?’ ‘다시 시작해볼까?’라는 의욕과 도전의식을 심어준다. 또한 공부하는 것만으로 육체와 뇌가 변화해 젊고 활기찬 인생으로 바뀌었다는 연구결과로 50대부터 다시 공부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한다.

누구나 공부하는 것만으로 젊고 활기찬 인생을 선택할 수 있다!
57세에 다시 공부를 시작한 사토 도미오씨의 공부편력기


이 책의 저자인 사토 도미오 씨는 회사에 재직 중이던 57 세에 일본 와세다 대학교 경영학부에 재입학했다. 20대에 미처 마치지 못한 경영학 공부를 다시 시작한 것이다. 그 후로 60대에 MBA를 취득했고, 사진기술을 제대로 배워보 고 싶다는 열망만으로 도쿄공예대 사진학과에 입학해 70 세에는 첫 개인전을 열기도 했다. 그는 공부를 통해 얻은 자신감과 활력으로 65세에 에스키 모들과 북극곰 사냥을 하고, 73세에는 전투기로 공중곡예 비행을 하며, 어린 시절에 품었던 꿈을 하나씩 실현하며 살고 있다. 사토 도미오 씨는 고고학에 자연과학에 여러 가지를 배우 며 살아온 덕분에 78세인 지금도 그 어느 때보다 활력과 설렘으로 가득 찬 인생을 살아가고 있다고 말한다.

그는 이런 성취가 엄청난 노력을 했거나 머리가 좋았기 때문이 아니라 57세에 다시 시작한 공부 덕분이라고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에게 일어난 변화는 어느 누구나 이루어낼 수 있는 일들이며, 지금 50대인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단지 ‘시작해보는 것’뿐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한다. 그는 이번에 출간된《배우고 익히면 즐겁지 아니한가》를 통해 50세부터 다시 공부하기로 결심한 사람들에게 어떻게 공부하면 되는지, 무엇을 공부해야 좋을지, 그 힌트를 가르쳐 주겠다고 한다.

나이 들면 머리가 굳어서 공부가 어렵다?
50세가 넘어도 뇌는 사용하면 할수록 끝없이 발달한다!


‘나이 들면 머리가 굳어서 공부가 어렵다.’
정말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이 말은 최근 뇌과학의 연구로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 나이 들면 머리가 굳는 게 아니라 더 좋아진다. 정보를 통합하고 관리하는 통괄지능은 나이가 들수록 개인 간 격차가 벌어진다. 그래서 50대의 뇌는 갈림길에 서 있다고 말할 수 있다. 50대에 공부를 시작하면 60대, 70대가 되면 통괄지능이 더 높아져 더 굉장한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해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나이를 핑계로 공부를 게을리 하려는 사람들에게 이런 뇌과학적 결과를 통해 일침을 가한다. 뿐만 아니라 세로토닌 같은 공부에 도움이 되는 뇌내 호르몬을 활용하는 공부법과 뇌에 자극을 주는 공부환경을 만드는 법, ‘입버릇’ 하나로 자율신경계를 자극하여 저절로 공부의 흐름에 올라타는 비결 등 구체적인 공부법을 제시한다.

50세부터는 놀이와 공부를 구분하지 마라!
밖에서 많이 놀고, 움직이면서 즐겁게 배운다.


일반적인 나이에 대한 통념 때문에 쉰이 넘은 나이에 무언가를 시작하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이 나이에 무슨 공부야”, “이제 와서 무슨 소용 있겠어”라고 머뭇대며 주저앉기 일쑤다. 그런 사람들에게 저자는 무조건 ‘여러 가지를 시도해보라’고 권한다. 50세부터의 공부는 지금까지 해왔던 대학 진학을 위한 입시공부, 취업을 위한 공부, 사원연수, 진급시험을 위한 공부와는 완전히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이다.
50세에 공부를 다시 시작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첫 번째로 ‘노는 것’, 두 번째로 ‘몸을 움직이는 것’, 세 번째로 이 모든 것에 ‘설렘을 느끼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일단 배움의 영역을 놀이와 공부를 구분하지 말고 폭넓게 접근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밖으로 나가 놀면서 스스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면 낚시든 등산이든 역사탐방이든 가릴 것이 없다.
해야 하기 때문에 억지로 하는 공부가 아니라 배우면 배울수록 하고 싶은 것이 자꾸 생기는 공부라면 저절로 몸과 마음이 젊어지고 인생도 활기차게 바뀔 것이다. 이것이 바로 50세부터 다시 시작하는 공부의 핵심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4 공지 아무것도 기대하지 마라 5 강신철 2007.12.04 1419
1323 공지 [사회적독서] 리차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 대중토론회 file 책읽는사회 2007.12.03 1500
1322 공지 교육의 목적 1 임해경 2007.12.03 1325
1321 공지 100권 독서클럽, 서울 지역모임 열리다. 11 김주현 2007.12.03 1769
1320 공지 [130회 독서토론회]'만들어진 신' 현장 스케치 4 박혜영 2007.12.03 1825
1319 공지 [독일] 0. 세계문화유산 순례 - 8박 9일 일정 3 이정원 2007.12.03 1451
1318 공지 정신이 없다 보니 지금 올립니다 - 도정일 교수 초청 토론회 기사 3 전승민 2007.12.01 1269
1317 공지 독서산방 단상 2 문경수 2007.12.01 1428
1316 공지 "어릴 때부터 책 읽어주면 머리 좋아진다"/출판저널 이동선 2007.12.01 1685
1315 공지 제가 좋아 하는 詩하나 소개 하려 합니다. 5 임성혁 2007.12.01 1268
1314 공지 앨런홉슨의 '꿈'을 읽고 3 임성혁 2007.12.01 1624
1313 공지 디테일의 힘 5 송윤호 2007.11.30 1521
1312 공지 브레인 스토리.. 2 전지숙 2007.11.30 1270
1311 공지 대검객 소립과 꼬마 검객들 8 문경수 2007.11.29 1540
1310 공지 100북스 클럽 회원으로 살아가기 9 송나리 2007.11.29 1736
1309 공지 도정일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서 9 양경화 2007.11.28 1447
1308 공지 [동영상]Brain story(BBC) 4 임성혁 2007.11.28 1277
1307 공지 [산행]12월 산행 알림(둘째주 일요일-9일 10시) 2 이진석 2007.11.28 1502
1306 공지 [사진] 11월 17일 천문학소모임 (독서산방) 2 문경목 2007.11.27 1186
1305 공지 130회 도정일 교수 초청 특별 토론회!! 오늘입니다!! 송윤호 2007.11.27 13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