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09.04.21 23:27

대화

조회 수 17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 사회의 흔치 않은 여성 원로 네 분의 대담집이다. 박완서와 이해인, 방혜자와 이인호 각각의 대화는 부드럽게 그러나 단호하게 우리의 마르고 거친 일생을 위로하며 일깨워준다. 1부에서는 소설가 박완서씨와 수녀시인 이해인의 대화를 통해 문학가와 종교인으로서, 더 나아가 어머니, 딸, 한 인간으로서의 고민과 아픔을 읽어 낼 수 있다. 화가 방혜자, 역사학자 이인호의 대담을 담은 2부에서 여성 선각자로서 세상을 인식하는 이들의 시각을 들을 수 있다.박완서와 이해인 그리고 방혜자와 이인호 네 지성의 목소리를 듣다


우리 사회의 큰 누이 같은 네 분의 지성이 너른 가슴을 열었다. 가식도 군더더기도 없이 우리의 현재를 치열하게 기록한 소설가 박완서, 사람들의 빈 마음에 투명하고 정결한 시어를 채워 준 수녀 이해인, 내면의 빛을 통해 생명의 근원에 다가서는 화가 방혜자, 격동의 시간에 용기 있는 지성의 삶을 개척했던 역사학자 이인호, 이 네 분의 대화는 어머니 대지의 깊은 목소리처럼 부드럽게 그러나 단호하게, 우리의 마르고 거친 일생을 위로하며 일깨워준다.

문학과 종교, 예술과 역사의 경계를 넘나드는 소통

대화는 어렵다. 상대가 있어야 하고, 마음과 시간과 뜻이 맞아야 한다. 하물며 한 분야에서 큰 족적을 남긴 인물들을 한 자리에 모으는 어려움이야 더 말할 것도 없다. 하지만 일단 성사되기만 하면 대화는 신비한 힘을 갖는다. 강연이나 연설에는 없는 화학작용이 그 속에서는 일어난다. 각 대담자들은 사회 각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혹은 일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몇 안 되는 스승이자 역할 모델이다. 문학, 종교, 역사, 예술 분야에서 자신을 연마해 온 경험담은 물론, 그동안 마땅히 털어놓을 기회가 없었던 여성의 고충, 개인적인 갈등과 아픔, 소중한 인연 등에 대해서도 솔직하게 들려준다.

피천득과 김재순, 법정과 최인호의 <대화>에 이은 또 하나의 통찰과 혜안
 
피천득, 김재순, 법정, 최인호 남성 네 분의 품격 높은 삶의 경륜을 담은 <대화>(2004)에 이어 박완서, 이해인, 방혜자, 이인호 여성 네 분의 또 하나의 <대화>를 마련했다. 이번 대담집에서는 박완서, 이해인의 월간 <샘터> 2005년 송년특집대담과 방혜자, 이인호의 2006년 신년특집대담에 새로운 대담을 추가 채록하여 담았다. 앞선 대화가 행복, 예술, 신앙, 가족, 사랑, 시대에 관하여 연륜 있는 눈으로 폭넓고 따뜻하게 짚어냈다면, 뒤따르는 대화는 슬픔, 문학, 기도, 역사, 교육, 여성 등 현실 속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걸어 들어간다. 자신의 꿈을 좀 더 단단하게 연마하기 위해 현실적인 지침과 조언이 필요한 사람들, 삶의 의미와 실체를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이 네 분의 대화는 진솔한 삶의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04 공지 늦은 가입인사 드립니다 ^^ 4 송지훈 2008.12.16 1523
2203 공지 늪, 뒤늦은 가입인사 7 박승현 2009.01.19 1701
2202 공지 니체 - 뱀 - 자기극복 - 천경자 임석희 2007.09.17 2023
2201 공지 니체의 영향을 받은 고병권 님의 철학을 접하고 2 이정원 2007.09.18 1983
2200 닉레인의 산소 책신청받습니다. 9 김영이 2009.08.04 2477
2199 공지 다달이 변해가는 서울 모임 7 이병록 2008.07.29 1399
2198 공지 다마지오의 새 책이 나왔습니다----스피노자의 뇌--- 1 박문호 2007.05.21 2064
2197 공지 다시 내딛는 첫걸음. 4 이소연 2007.12.29 1414
2196 공지 다시 맞이하는 송구영신 7 임석희 2007.12.18 1506
2195 다시 백북스를 찾을 날을 기대하며 4 고석범 2009.10.08 1985
2194 공지 다시 새벽에 길을 떠난다 ... 1 오중탁 2003.06.30 2314
2193 다시 올립니다. 2 이중훈 2010.03.23 1952
2192 공지 다시.. 구용본 2003.02.12 2591
2191 다윈 탄생 200주년 기념 특강 <진화론은 어떻게 사회를 바꾸는가> 김창규 2009.05.12 1842
2190 공지 다음 100books 모임 날짜는 7월 24일 (목요일)입니다. 박문호 2008.07.11 1420
2189 공지 다음 100books 발표자들 5 박문호 2007.05.29 2188
2188 공지 다음 Offline Meeting은 5월 넷째 화요일인 5월 27일 가집니다. 2 강신철 2003.05.05 2732
2187 공지 다음 독서모임 2 박문호 2007.05.12 1916
2186 공지 다음 주 독서모임 내용 관련 1 박문호 2007.04.08 1573
2185 공지 다음에 읽을 책은 무엇입니까? 유수연 2002.12.01 29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