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9.03.22 05:17

맛있게 책 읽기

조회 수 17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퍼온 글입니다.

 

서명: 맛있게 책 읽기

 

 

 

마음의 양식'이라 할 수 있는 책에 대한 노력은 어떤가 한 번 생각해볼 일이다. '웰빙'에 참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현 시대적 특성에서, 과연 나 자신은 그런 '웰빙'에 맞는, 아니 좀 더 단순하게, '맛있는' 책을 먹기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느냐고 묻는다면 과연 어떨까 말이다. 그저, '베스트셀러'라니까 읽거나, 옆에 있으니까 읽거나, 필요하다니까, 대충 비슷한 주제라면 별 생각없이 읽거나 하는 등의 실수를 저지르고 있지는 않은지.

 

물론 '먹는 게 남는 거다'라고 말할 만큼, '식욕'이라는 것이 인간의 욕구 중에서 얼마나 강하게 작용하는지를 모르는 바 아니고, 책을 읽는다는 것은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저 욕구라는 측면에서만 본다면 매우 약하게 작용한다는 것이 인지상정일지 모르겠다. 하지만, 한 번 더 잘 생각해보면, '맛 없는 밥'을 먹었을 때와 '맛없는 책'을 먹었을 때의 상대적인 손해의 차이는 엄청나게 크다. 밥이야 먹지 않으면 죽는 것이고, 어차피 밥을 먹는 시간적인 소요는 필요한 것. 그렇기 때문에 맛이 있느냐, 없느냐와 가격대 성능비 정도의 차이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책 한 권을 읽는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밥을 먹는 것에 비해 훨씬 긴 시간이 소요된다. 일반인들이 책 한 권을 읽는데 드는 시간을 8시간이라 상정하고, 그들의 시간당 노동 생산성이 10만원이라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당장 한 권의 책을 읽는데 80만 원 정도의 시간 비용이 소요된다. 그러면 책 한 권을 읽는 데 드는 비용은 기본적인 물리적 비용으로 무려 81만원이라는 결과가 나온다. 여기에 독서가 아닌 다른 활동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비용까지 감안한다면 그 비용은 더 높아지기 마련이고.

 

 

이렇게 엄청난 비용적인 소모를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인 만큼, 훨씬 더 그 맛과 영양에 대해 고민하고 신경써야 하는 것이 사실인데도 사실 우리들은 그만큼의 필요한 노력을 하고 있지 않은 것이 사실 아닌가.
개인적으로도 '대한민국 1%가 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을 행해보자는 목표를 통해 한 1년 전부터 적어도 1개월에 10권 이상의 책을 읽고 있으면서도, 저 질문을 던진다고 했을 때의 답에는 솔직히 자신이 없었다. '목적이 없는 독서는 산보일 뿐이다'라는 리튼의 말에 동감하면서도 '세상에 나쁜 책은 없어. 어떤 책이든 읽으면 도움이 될꺼야'라고 자기 자신을 자위하면서, 그저 열심히 닥치는대로 읽고 있는 상태였으니까.

 

한 장, 한 장을 넘기면서 이렇게 많은 이야기가 담겨 있다는 것에 놀랐다. 저자들의 책에 대한 사랑만큼, 참 많은 이야기를 하고 싶었구나..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책 읽기를 '음식 먹기'에 미루어 다루고 있는 '맛있게 책 읽기'에서는 그런 우리의 행태를 꼬집으면서 좀 더 '맛있는' 책을, '영양이 가득한' 책을 먹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레시피(독서법)을 다루고 있다. 맛있는 밥을 먹기 위해서는 분명 노력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고, 영양이 풍부한 밥을 먹기 위해서는 그만큼 재료가 좋고, 요리법이 훌륭해야 하는 것이 사실이기에, 그것처럼 훌륭한 책을 읽기 위해서는 역시 '엄선'하기 위한 노력과 '제대로 요리하기' 위한 노력, 그리고 '제대로 소화'시기키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도 당연할 것이니까.

 

책을 맛있게 먹고 또 소화시키기 위한 레시피가 책 전반에 잔뜩 담겨있다


책은 크게, 책을 맛있게 먹기 위한 다양한 조언과 방법론, 그리고 다양한 레시피(독서법)에 대한 소개, 그리고 체계적으로 책을 먹고 소화시키기 위한 식단표이자, 궁극적으로 자신만의 독서법을 발전시키기 위한 '리딩 스케줄러'로 구성된다.
각 각의 내용들은 생각보다 더 방대하고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크레벤의 백기락 회장의 추천사처럼 '온전히 독서법이 총정리되었다'라고 말할 정도로 참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조금 아쉬운 것은 그렇게 많은 내용을 담고 있어서인지, 전체적으로 유기적인 구성을 취하고 있다거나, 읽고 나면 하나의 줄기로 정리가 된다거나 하는 그런 유기적인 일체감은 좀 부족한 것이 사실이고, 소개로 그치게 되는 것들도 꽤 있다. 하지만 그만큼이나 다양한 것에 대한 내용들이 풍부해 읽고 난 후, 자신에 맞는 독서법을 고민하고 찾으며, 앞으로 어떻게 자기가 원하는 책을 찾고 읽어야 할지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작성하는 데 부족함이 없다는 점은 매우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44 공지 100회 모임 후기.. 5 리틀 서윤경 2006.08.25 2057
2843 공지 진정한 자유의 길 1 유현숙 2004.02.03 2057
2842 구즉 도서관 북콘서트(9월18일 토 오후 7시) 강신철 2010.09.18 2056
2841 공지 책소개. <5차원 독서치료>, 김영사 , 2005 2 이중훈 2009.02.15 2056
2840 가입인사 가입 인사 드립니다(^^)(__) 2 이현숙 2009.04.09 2056
2839 공지 Free Hugs - 그 폭발적 파괴력 5 김주현 2007.05.09 2056
2838 공지 안녕하세요! 2 유현숙 2003.12.11 2056
2837 『한국의 이공계는 영어쓰기가 두렵다』 저자 임재춘 교수 인터뷰 문경수 2011.07.15 2055
2836 제본 택배 신청하신분들 보세요. 8 김영이 2009.04.06 2055
2835 공지 스티븐 핑커의 <빈서판>,<언어본능> 번역가 김한영선생님과의 2004년 메일교류 3 박성일 2008.03.15 2055
2834 공지 폭설에 피해는 없으신지요? 송윤호 2004.03.06 2055
2833 서지미 박사님 감사합니다♥ 13 민경기 2009.09.14 2054
2832 대전 백북스 발표 예정자 2 박문호 2010.04.13 2053
2831 공지 100북스 경주 역사기행을 다녀와서 4 김세영 2008.05.04 2053
2830 공지 [제 155 정기 독서 토론회 현장스케치] 뇌 생각의 출현-박문호 박사님 9 윤진희 2008.12.18 2052
2829 우주의 구멍 - 신청 받습니다. 18 김영이 2009.04.03 2052
2828 공지 자연과학을 공부하면서 철학도 공부해야 하는 이유? 4 엄준호 2008.06.23 2052
2827 이동선 대표님의 대전일보 칼럼 - 동화책 읽어주기 2 이정원 2013.01.09 2051
2826 169회 정기모임 오늘입니다.(7월 14일 19시) 김홍섭 2009.07.14 2051
2825 공지 우리 클럽 관련 기사 (대전일보) 4 송윤호 2007.07.31 20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