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9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깊고 넓은 인문학의 세계로 안내하는 교양공부 매뉴얼!

비교적 고등교육 커리큘럼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해오고 지금도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는 미국대학들을 본보기로 삼아, 한국 소장학자들이 한국의 현실과 입장을 반영하여 제작한 체계적인 인문학 공부 안내서. 『인문학 스터디』에 나오는 핵심 교양교육 과정은 지금까지 대부분의 미국 대학에서 개설된 교과목 중에서 가장 훌륭하다고 여겨지는 과목들을 종합 정리한 것이며, 여기에 한국에서 인문학을 공부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미국의 권위있는 대학연구소 ISI에서 미국 명문대학 교양교육 과정을 종합한 것에 더해, 각 분야 한국 소장 학자들이 한국 인문학 공부의 현실을 반영하여 완성된 『인문학 스터디』는 인문학을 좀 더 전문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포괄적인 체계를 제공하고, 교양공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도록 기본체계를 제공한다.

 

 

 

미국의 권위있는 대학연구소 ISI에서 미국 명문대학 교양교육 과정을 종합하고, 각 분야 한국 소장 학자들이 한국 인문학 공부의 현실을 반영하여, 제대로 된 교양공부 핵심안내서가 완성되었다. 한국 인문학 교육의 제도적 한계를 느끼는 사람, 보편성을 매개하는 순수 인문학을 공부하고 싶은 사람, 미국대학 입학을 준비하는 사람, 어떤 이유에서든 교양공부를 해야하는데 그 시작이 막연한 사람 등이 각자의 수준과 목적에 따라서 다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안내서이다.

흔히 한국에서도 인문학은 여러 학문의 기본이요, 그에 따라 각 학문 분과에 통일성을 부여할 수 있는 학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막상 인문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인문학에 해당하는 학문분과는 어떻게 나뉘며, 각 학문 분과의 핵심지식과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들을 유기적으로 통합할 만한 방법적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제대로 알아내기가 쉽지 않다.

 

 

이에 비교적 고등교육 커리큘럼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해오고 지금도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는 미국대학들을 본보기로 삼아, 한국 소장학자들이 한국의 현실과 입장을 반영하여 체계적인 인문학 공부 안내서를 만들었다. 이 안내서에 나오는 핵심 교양교육 과정은 지금까지 대부분의 미국 대학에서 개설된 교과목 중에서 가장 훌륭하다고 여겨지는 과목들을 종합 정리한 것이며, 여기에 한국에서 인문학을 공부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이러한 커리큘럼은 좀더 전문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포괄적인 체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양공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도록 기본체계를 제공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24 공지 뇌 신경망 촬영 -기사 2 임성혁 2009.03.17 1929
1823 남포미술관에서 온 편지 1 현영석 2009.04.09 1929
1822 [기사]인공의 블랙홀?...이종필박사 서지미 2009.05.06 1929
1821 공지 <font color=green>[알림] 선정도서 구매 방법!!!! 송윤호 2004.11.11 1930
» 공지 책소개: 인문학 스터디, 마크 헨리, 라티오, 2009 이중훈 2009.01.28 1930
1819 ‘문학인과의 만남’ 조정권 시인 - 행사 진행 순서 김형렬 2012.10.11 1930
1818 신영복 교수님의 강의, 마음에 깊이 남네요. 1 김민희 2009.06.10 1931
1817 [과학강좌] 과학과 사회의 인터페이스 손경덕 2009.09.30 1931
1816 요르단 사진 5: 페트라 2 현영석 2010.08.13 1931
1815 공지 [알림] 7월 12일 화요일 73회 토론회 안내 송윤호 2005.07.11 1932
1814 공지 그저 맡기면 된다. 문경수 2005.08.24 1932
1813 공지 문경수님의 글을 읽다가 4 전지숙 2008.06.19 1932
1812 말하기 기술 1 이중훈 2009.07.13 1932
1811 <불량직업잔혹사> 이중훈 2009.09.22 1932
1810 196차 강연 후기 11 김윤정 2010.08.25 1932
1809 공지 책 '꿈꾸는 기계의 진화' 의 독서리뷰를 받습니다. 3 김주현 2007.05.15 1933
1808 공지 과학과 예술에 대한 어떤 대화 5 임석희 2008.05.11 1933
1807 공지 '오늘' 11 이동선 2008.05.19 1933
1806 드디어 강의 후기라는 걸 올리네요~ 구진홍 2010.04.19 1934
1805 공지 어느 고수(고병권 박사)와의 만남 후에 2 엄준호 2007.09.18 19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