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9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깊고 넓은 인문학의 세계로 안내하는 교양공부 매뉴얼!

비교적 고등교육 커리큘럼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해오고 지금도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는 미국대학들을 본보기로 삼아, 한국 소장학자들이 한국의 현실과 입장을 반영하여 제작한 체계적인 인문학 공부 안내서. 『인문학 스터디』에 나오는 핵심 교양교육 과정은 지금까지 대부분의 미국 대학에서 개설된 교과목 중에서 가장 훌륭하다고 여겨지는 과목들을 종합 정리한 것이며, 여기에 한국에서 인문학을 공부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미국의 권위있는 대학연구소 ISI에서 미국 명문대학 교양교육 과정을 종합한 것에 더해, 각 분야 한국 소장 학자들이 한국 인문학 공부의 현실을 반영하여 완성된 『인문학 스터디』는 인문학을 좀 더 전문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포괄적인 체계를 제공하고, 교양공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도록 기본체계를 제공한다.

 

 

 

미국의 권위있는 대학연구소 ISI에서 미국 명문대학 교양교육 과정을 종합하고, 각 분야 한국 소장 학자들이 한국 인문학 공부의 현실을 반영하여, 제대로 된 교양공부 핵심안내서가 완성되었다. 한국 인문학 교육의 제도적 한계를 느끼는 사람, 보편성을 매개하는 순수 인문학을 공부하고 싶은 사람, 미국대학 입학을 준비하는 사람, 어떤 이유에서든 교양공부를 해야하는데 그 시작이 막연한 사람 등이 각자의 수준과 목적에 따라서 다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안내서이다.

흔히 한국에서도 인문학은 여러 학문의 기본이요, 그에 따라 각 학문 분과에 통일성을 부여할 수 있는 학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막상 인문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인문학에 해당하는 학문분과는 어떻게 나뉘며, 각 학문 분과의 핵심지식과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들을 유기적으로 통합할 만한 방법적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제대로 알아내기가 쉽지 않다.

 

 

이에 비교적 고등교육 커리큘럼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해오고 지금도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는 미국대학들을 본보기로 삼아, 한국 소장학자들이 한국의 현실과 입장을 반영하여 체계적인 인문학 공부 안내서를 만들었다. 이 안내서에 나오는 핵심 교양교육 과정은 지금까지 대부분의 미국 대학에서 개설된 교과목 중에서 가장 훌륭하다고 여겨지는 과목들을 종합 정리한 것이며, 여기에 한국에서 인문학을 공부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이러한 커리큘럼은 좀더 전문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포괄적인 체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양공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도록 기본체계를 제공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공지 책을 먼저 구해야 합니다 2 박문호 2007.05.04 2242
383 공지 책을 발간했습니다... 9 정광모 2008.05.29 1907
382 공지 책을 사랑하는 어떤분의 사이트 1 엄준호 2007.05.23 1678
381 책을 선물합니다 3 박용태 2009.04.24 1726
380 공지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요...???? 1 김길순 2007.08.11 1489
379 책을 읽는 사람과 안 읽는 사람의 차이 2 강신철 2009.11.23 2416
378 공지 책을 읽다가 문득 3 엄준호 2007.07.22 2139
377 공지 책을 읽어야 하는 10가지 이유 1 김보영 2009.03.12 1873
376 책을 정리하면서 5 전지숙 2009.06.26 1881
375 책을 찾고 있습니다. - 재즈와 클래식의 행복한 만남 - 박진우 2009.05.02 1807
374 책의 절판은 곧 절망? 4 김양겸 2010.11.12 1965
373 공지 책이 설 자리... 이선영 2003.07.13 2153
372 공지 책읽기를 즐겁게 하는 말 1 이동선 2008.04.04 1253
371 공지 책읽는 사회 만들기 국민운동 5 김홍섭 2007.10.08 3610
370 책읽는 사회 인문주간 안내 1 한정규 2010.09.04 2012
369 책읽어주기로 아이들을 열광하게 하면서....... 3 이동선 2010.11.10 1650
368 공지 책읽어주기의 구체적인 사례 이동선 2002.07.11 3926
367 공지 책한권 소개 드립니다. ^^ 8 file 김영이 2008.08.17 1572
366 공지 처음 뵙겠습니다^^ 1 배숙현 2003.06.06 2265
365 공지 처음 뵙겠습니다~ 1 목연균 2003.06.29 23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