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710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난 번 4월23일경에 감마선 폭발로 우주에서 가장 먼 천체가 관측되었다는 뉴스를 많은
분들이 접하셨을 것입니다. 이번에 발견된 것은 131억년전이니까, 빅뱅이후 겨우 6억년이후의 폭발현상이었습니다. 

감마선 폭발은 빅뱅이후 우주에서 가장 커다란 폭발 현상입니다. 초신성이나 신성의 폭발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큰 폭발이지요. 지상의 핵실험을 감시하기위한 군사위성에서 우연하게도 엉뚱하게 우주에서 신호가 잡힘으로해서 처음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현상에는 블랙홀과 강한 젯트현상이 관련되어 있다고 합니다만, 아직 확실한 기작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연구중에 있습니다.
여타 다른 정보에 대해서는 구글이나 검색엔진에서 "감마서 폭발"로 검색하시면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고, 영어로 된 설명으로는 위키피디아가
괜챦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Gamma_ray_burst.


감마선 폭발은 수초의 짧은 돌발적인
폭발현상입니다만, 그 주위의 물질들을 가열함으로써 잔광이 수일간 남게 됩니다. 처음 Swift위성등에서 감마선 폭발소식이 GCN
(Gamma-Ray Coordinate Network:http://gcn.gsfc.nasa.gov/gcn3_archive.html) 을 통해서
전 세계에 타진되면, 그 즉시 관측가능한 전 세계의 망원경들이 그 잔광을 지향하게 됩니다. 관측된 날짜를 기준으로 명칭을 붙이게 되는 데,
이번에는 4월23일날 터졌기 때문에 GRB090423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지요. 오늘도 감마선폭발이 있었습니다만, 빠르게 어두워져서 벌써
관측은 힘든 상황이군요. 수바루망원경에도 감마선폭발을 관측하기위한 팀이 꾸려져 있고, 저도 그 속에 속해서 주로 적외선관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GRB090423감마선폭발도 팀사이에서 보고되었습니다만, 가시광관측만이 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워낙 먼 천체이다보니
적색편이현상으로 인해서 1마이크론보다 긴 파장인 근적외선영역에서 밖에 관측되지 않았습니다 (천체가 가시광에서 검출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죠). 동일한
위치에서 가시광에서는 보이지 않고, 적외선에서만 보이는 것 자체가, 이 천체가 상당히 멀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마우나케아에서는
제미니가 유일하게 적외선 관측에 성공했습니다. 최종적인 적색편이량이 z=8.2로 확인되었고, 이것을 거리로 환산하면 약 131억광년이 됩니다.
국내뉴스에서는 ESO(유럽남반구천문대)와 영국BBC의 결과가 상상도와 함께 소개된 것으로 보입니다만, 제미니천문대의 웹페이지에도 조금 늦게
사진과 자료가 발표되었습니다.  첫머리에 있는 사진이 제미니천문대에서 발표된 GRB090423적외선 합성사진입니다. 두번째 도표는 제미니천문대에서 현재까지 관측된 감마선폭발 천체들을 적색편이순으로 정리한
그림입니다. 횡축이 적색편이(redshift)이고, 윗쪽횡축에는 적색편이량에 상응하는 우주의 나이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z=6.96의
가장 먼은하는 2006년 수바루망원경이 가지고 있던 기록입니다. 이전 가장 먼 감마선폭발천체로서는 GRB050904 (z=6.295:
128억광년거리)로 이것도 수바루가 가지고 있던 기록이었습니다. 이 기록들이 요번에 약 3년만에 깨진 것입니다. 아마도 더욱 더 먼 곳에서 일어나는 감마선폭발현상을 적외선으로 관측하기위한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시일이 지난 감이 있습니다만, 137억년 우주의 진화를 다루는 백북스에도 기록으로 있어 좋으리라
생각해서 올립니다.


참고:
제미니천문대 보도자료 http://www.gemini.edu/furthestgrb
감마선폭발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Gamma_ray_burst
GRB090423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GRB_090423


  • ?
    조태윤 2009.05.10 04:41
    멀리 하와이에서 소식을 자세하게 알려주시는 표박사님.
    저번에 스바루 방문에 참여는 못했지만,
    이렇게 백북스와 인연이 되신 박사님이 현장에서 직접 알려주는 것도
    이곳에서만 누리는 행복이군요...
    연구하시느라 힘드시겠지만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을정도니 참으로
    그 보람은 어떨런지...^^
  • ?
    윤보미 2009.05.10 04:41
    빅뱅 이후 6억년 +_+

    겉으로 보기에는 고요하게만 보이는 마우나케아 천문대에서
    어떤 일들이 이루어지고 있을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일들이 일어날지 궁금해지네요. ^-^
  • ?
    서지미 2009.05.10 04:41
    "살아있는 정보 감사합니다"

    빅뱅 이후 6억년 +_+...(2)
    왠~지 익숙한 131억년전 현상.
    Z값의 중요성도 새겨지네요.

    2005년9월04일 관측:수바로 천문대의 관측결과 Z=6.96에서
    2009년4월23일 관측:제미니 천문대가 이번에 관측했다는 Z=8.2
    이번 관측으로 3년만에 기록이 깨졌다는 이야기를 보면서
    현장에서 일어나는 우주현상을 백북스 홈피를 통해
    실감나게 접하게 되네요~~
  • ?
    전재영 2009.05.10 04:41
    아..이런 고급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 ?
    이정원 2009.05.10 04:41
    정말 대단한 일이다 싶습니다.
    하와이 수바루천문대와의 핫라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04 [뇌과학] 강의 녹음 파일 전송했습니다 5 강혜정 2010.01.31 2078
2903 공지 詩 수유 너머 suyu+trans 9 박성일 2007.11.01 2078
2902 공지 시민지식네트워크를 위한 독서프로젝트에~ 4 김연숙 2007.10.09 2078
2901 공지 의식혁명에 대해서 문경수 2004.11.28 2078
2900 안녕하세요^^ 저도 가입인사드립니다. 3 김대중 2009.12.31 2077
2899 공지 123회 토론회 관련 대덕넷(hellodd.com) 기사 입니다. 송윤호 2007.08.09 2076
2898 공지 가을하늘을 보고 마음의 여유를 느끼세여.!~~~ 송근호 2004.10.10 2076
2897 유성도서관 북콘서트 안내(12.23.금) 최정윤 2011.12.14 2075
2896 "무엇이 내 가슴을 뛰게 하는가" 매일 점검하라/한비야 3 이동선 2009.07.29 2075
2895 공지 [132회 독서토론회] '이보디보' 현장 스케치 3 박혜영 2008.01.10 2075
2894 공지 여자들이 정말로 원하는것은 무엇인가? 이선영 2003.07.11 2074
2893 '산소' 강의 들으러 가려는데... 6 노복미 2010.06.22 2073
2892 발표 예정자 박문호 2009.11.13 2073
2891 공지 [산행]8월 산행 & 정영옥회원 환송회 알림 5 이진석 2007.07.23 2072
2890 서호주 여행 화이팅 !! 4 현영석 2009.08.12 2071
2889 가입인사 가입 인사 드립니다. 4 손민영 2009.04.22 2071
2888 공지 [스페인] 2. 바르셀로나 : 피카소미술관 6 이정원 2008.10.04 2071
2887 공지 안녕하세요.. 1 김주희 2005.02.02 2071
2886 행동유전학과 쌍둥이학의 대가들이 강연 하네요.. 5 장진부 2010.05.26 2070
2885 공지 이런 책이 왜 절판되었을까요. 6 박문호 2008.01.25 20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