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710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난 번 4월23일경에 감마선 폭발로 우주에서 가장 먼 천체가 관측되었다는 뉴스를 많은
분들이 접하셨을 것입니다. 이번에 발견된 것은 131억년전이니까, 빅뱅이후 겨우 6억년이후의 폭발현상이었습니다. 

감마선 폭발은 빅뱅이후 우주에서 가장 커다란 폭발 현상입니다. 초신성이나 신성의 폭발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큰 폭발이지요. 지상의 핵실험을 감시하기위한 군사위성에서 우연하게도 엉뚱하게 우주에서 신호가 잡힘으로해서 처음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현상에는 블랙홀과 강한 젯트현상이 관련되어 있다고 합니다만, 아직 확실한 기작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연구중에 있습니다.
여타 다른 정보에 대해서는 구글이나 검색엔진에서 "감마서 폭발"로 검색하시면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고, 영어로 된 설명으로는 위키피디아가
괜챦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Gamma_ray_burst.


감마선 폭발은 수초의 짧은 돌발적인
폭발현상입니다만, 그 주위의 물질들을 가열함으로써 잔광이 수일간 남게 됩니다. 처음 Swift위성등에서 감마선 폭발소식이 GCN
(Gamma-Ray Coordinate Network:http://gcn.gsfc.nasa.gov/gcn3_archive.html) 을 통해서
전 세계에 타진되면, 그 즉시 관측가능한 전 세계의 망원경들이 그 잔광을 지향하게 됩니다. 관측된 날짜를 기준으로 명칭을 붙이게 되는 데,
이번에는 4월23일날 터졌기 때문에 GRB090423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지요. 오늘도 감마선폭발이 있었습니다만, 빠르게 어두워져서 벌써
관측은 힘든 상황이군요. 수바루망원경에도 감마선폭발을 관측하기위한 팀이 꾸려져 있고, 저도 그 속에 속해서 주로 적외선관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GRB090423감마선폭발도 팀사이에서 보고되었습니다만, 가시광관측만이 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워낙 먼 천체이다보니
적색편이현상으로 인해서 1마이크론보다 긴 파장인 근적외선영역에서 밖에 관측되지 않았습니다 (천체가 가시광에서 검출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죠). 동일한
위치에서 가시광에서는 보이지 않고, 적외선에서만 보이는 것 자체가, 이 천체가 상당히 멀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마우나케아에서는
제미니가 유일하게 적외선 관측에 성공했습니다. 최종적인 적색편이량이 z=8.2로 확인되었고, 이것을 거리로 환산하면 약 131억광년이 됩니다.
국내뉴스에서는 ESO(유럽남반구천문대)와 영국BBC의 결과가 상상도와 함께 소개된 것으로 보입니다만, 제미니천문대의 웹페이지에도 조금 늦게
사진과 자료가 발표되었습니다.  첫머리에 있는 사진이 제미니천문대에서 발표된 GRB090423적외선 합성사진입니다. 두번째 도표는 제미니천문대에서 현재까지 관측된 감마선폭발 천체들을 적색편이순으로 정리한
그림입니다. 횡축이 적색편이(redshift)이고, 윗쪽횡축에는 적색편이량에 상응하는 우주의 나이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z=6.96의
가장 먼은하는 2006년 수바루망원경이 가지고 있던 기록입니다. 이전 가장 먼 감마선폭발천체로서는 GRB050904 (z=6.295:
128억광년거리)로 이것도 수바루가 가지고 있던 기록이었습니다. 이 기록들이 요번에 약 3년만에 깨진 것입니다. 아마도 더욱 더 먼 곳에서 일어나는 감마선폭발현상을 적외선으로 관측하기위한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시일이 지난 감이 있습니다만, 137억년 우주의 진화를 다루는 백북스에도 기록으로 있어 좋으리라
생각해서 올립니다.


참고:
제미니천문대 보도자료 http://www.gemini.edu/furthestgrb
감마선폭발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Gamma_ray_burst
GRB090423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GRB_090423


  • ?
    조태윤 2009.05.10 04:41
    멀리 하와이에서 소식을 자세하게 알려주시는 표박사님.
    저번에 스바루 방문에 참여는 못했지만,
    이렇게 백북스와 인연이 되신 박사님이 현장에서 직접 알려주는 것도
    이곳에서만 누리는 행복이군요...
    연구하시느라 힘드시겠지만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을정도니 참으로
    그 보람은 어떨런지...^^
  • ?
    윤보미 2009.05.10 04:41
    빅뱅 이후 6억년 +_+

    겉으로 보기에는 고요하게만 보이는 마우나케아 천문대에서
    어떤 일들이 이루어지고 있을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일들이 일어날지 궁금해지네요. ^-^
  • ?
    서지미 2009.05.10 04:41
    "살아있는 정보 감사합니다"

    빅뱅 이후 6억년 +_+...(2)
    왠~지 익숙한 131억년전 현상.
    Z값의 중요성도 새겨지네요.

    2005년9월04일 관측:수바로 천문대의 관측결과 Z=6.96에서
    2009년4월23일 관측:제미니 천문대가 이번에 관측했다는 Z=8.2
    이번 관측으로 3년만에 기록이 깨졌다는 이야기를 보면서
    현장에서 일어나는 우주현상을 백북스 홈피를 통해
    실감나게 접하게 되네요~~
  • ?
    전재영 2009.05.10 04:41
    아..이런 고급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 ?
    이정원 2009.05.10 04:41
    정말 대단한 일이다 싶습니다.
    하와이 수바루천문대와의 핫라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4 12월22일 : 180차 정기강연회/2009 송년회 13 임석희 2009.12.11 2710
» 가장 먼 우주천체 - 감마선 폭발 GRB090423 5 file 표태수 2009.05.10 2710
3842 공지 오프라인 미팅(6월24일) 강신철 2003.06.22 2707
3841 공지 2003 3월 책 그리고 모임안내 현영석 2003.02.03 2705
3840 6월 9일 신영복 교수님 강연 + 백북스 7주년 (두근! 열흘 남았습니다 ^-^) 7 윤보미 2009.05.31 2704
3839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에 대한 부탁 3 파라곤 2003.07.03 2704
3838 공지 시간은 우리를 기다려 주지 않는다. 윤석련 2003.02.08 2704
3837 공지 DTnews24 에 우리 모임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송윤호 2003.01.24 2704
3836 공지 좋은 글을 쓴다는 것 3 강신철 2003.05.26 2701
3835 우아한 송년회 4 현영석 2009.12.23 2700
3834 공지 [여행] 1. 팔레르모 : 시칠리아의 관문 3 이정원 2008.01.13 2699
3833 공지 나 자신에게 강제하기.. 황은하 2003.01.30 2696
3832 공지 비회원도 토론회에 참석해도되는지요? 3 관심많은 손님 2007.08.20 2695
3831 공지 책 추천 구용본 2003.01.27 2695
3830 공지 설날 인사 & 27일 모임 참석 당부의 글 ~~ *^^* 송윤호 2004.01.22 2693
3829 공지 '최고의 유산'상속받기 란 책에 대해서... 3 채종국 2003.05.26 2691
3828 박성일 원장님의 건물에 마련된- 백북스 사무실 (사진 추가) 10 윤보미 2009.07.15 2690
3827 공지 회원가입했습니다. 2 유미경 2003.04.23 2690
3826 공지 휴보 5 문경수 2007.12.11 2689
3825 공지 달리는 여성은 피부 미인 황희석 2003.07.06 26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