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먼 우주천체 - 감마선 폭발 GRB090423

by 표태수 posted May 10,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난 번 4월23일경에 감마선 폭발로 우주에서 가장 먼 천체가 관측되었다는 뉴스를 많은
분들이 접하셨을 것입니다. 이번에 발견된 것은 131억년전이니까, 빅뱅이후 겨우 6억년이후의 폭발현상이었습니다. 

감마선 폭발은 빅뱅이후 우주에서 가장 커다란 폭발 현상입니다. 초신성이나 신성의 폭발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큰 폭발이지요. 지상의 핵실험을 감시하기위한 군사위성에서 우연하게도 엉뚱하게 우주에서 신호가 잡힘으로해서 처음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현상에는 블랙홀과 강한 젯트현상이 관련되어 있다고 합니다만, 아직 확실한 기작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연구중에 있습니다.
여타 다른 정보에 대해서는 구글이나 검색엔진에서 "감마서 폭발"로 검색하시면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고, 영어로 된 설명으로는 위키피디아가
괜챦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Gamma_ray_burst.


감마선 폭발은 수초의 짧은 돌발적인
폭발현상입니다만, 그 주위의 물질들을 가열함으로써 잔광이 수일간 남게 됩니다. 처음 Swift위성등에서 감마선 폭발소식이 GCN
(Gamma-Ray Coordinate Network:http://gcn.gsfc.nasa.gov/gcn3_archive.html) 을 통해서
전 세계에 타진되면, 그 즉시 관측가능한 전 세계의 망원경들이 그 잔광을 지향하게 됩니다. 관측된 날짜를 기준으로 명칭을 붙이게 되는 데,
이번에는 4월23일날 터졌기 때문에 GRB090423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지요. 오늘도 감마선폭발이 있었습니다만, 빠르게 어두워져서 벌써
관측은 힘든 상황이군요. 수바루망원경에도 감마선폭발을 관측하기위한 팀이 꾸려져 있고, 저도 그 속에 속해서 주로 적외선관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GRB090423감마선폭발도 팀사이에서 보고되었습니다만, 가시광관측만이 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워낙 먼 천체이다보니
적색편이현상으로 인해서 1마이크론보다 긴 파장인 근적외선영역에서 밖에 관측되지 않았습니다 (천체가 가시광에서 검출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죠). 동일한
위치에서 가시광에서는 보이지 않고, 적외선에서만 보이는 것 자체가, 이 천체가 상당히 멀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마우나케아에서는
제미니가 유일하게 적외선 관측에 성공했습니다. 최종적인 적색편이량이 z=8.2로 확인되었고, 이것을 거리로 환산하면 약 131억광년이 됩니다.
국내뉴스에서는 ESO(유럽남반구천문대)와 영국BBC의 결과가 상상도와 함께 소개된 것으로 보입니다만, 제미니천문대의 웹페이지에도 조금 늦게
사진과 자료가 발표되었습니다.  첫머리에 있는 사진이 제미니천문대에서 발표된 GRB090423적외선 합성사진입니다. 두번째 도표는 제미니천문대에서 현재까지 관측된 감마선폭발 천체들을 적색편이순으로 정리한
그림입니다. 횡축이 적색편이(redshift)이고, 윗쪽횡축에는 적색편이량에 상응하는 우주의 나이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z=6.96의
가장 먼은하는 2006년 수바루망원경이 가지고 있던 기록입니다. 이전 가장 먼 감마선폭발천체로서는 GRB050904 (z=6.295:
128억광년거리)로 이것도 수바루가 가지고 있던 기록이었습니다. 이 기록들이 요번에 약 3년만에 깨진 것입니다. 아마도 더욱 더 먼 곳에서 일어나는 감마선폭발현상을 적외선으로 관측하기위한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시일이 지난 감이 있습니다만, 137억년 우주의 진화를 다루는 백북스에도 기록으로 있어 좋으리라
생각해서 올립니다.


참고:
제미니천문대 보도자료 http://www.gemini.edu/furthestgrb
감마선폭발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Gamma_ray_burst
GRB090423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GRB_09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