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861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톨레도 : 엘 그레코

 

스페인 여행 전 마드리드 프라도미술관에 대한 기대가 컸다.

프라도 미술관에 대한 기대는 곧 디에고 벨라스케스에 대한 기대였다.

벨라스케스의 '궁중의 시녀들'을 직접 보고 나면

내가 제일 좋아하는 화가가 바뀔지도 모른다는 기대마저 있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엉뚱하게도 '엘 그레코'에 반했다.

엘 그레코는 매너리즘 화가로 분류된다.

매너리즘이란 말이 흔히 부정적인 의미로 통용되듯이

미술 사조로서의 매너리즘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견해가 강하다.

내가 보기에도 괜히 늘어진 인체 비례가 어색하고 어딘가 밋밋했다.

 

엘 그레코는 '그리스인'이라는 별명이다.

본명은 복잡하다. '도메니코스 테오토코풀로스'가 본명이다.

스페인 여행 중 이 본명을 외우려고 계속 되뇌였고,

여행에서 돌아온 후에도 한동안 외우고 있었는데,

지금 글을 쓰려고 떠올려보니 도저히 생각이 나지 않아서 참 허탈하다.

 

엘 그레코는 톨레도에 살면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톨레도 곳곳에 작품이 남아있는데 산토 토메 교회의 <오르가스 백작의 장례>가 가장 인기있는 작품이다.

<오르가스 백작의 장례>는 정말 대단한 작품이었다.

톨레도의 조그만 교회 한쪽 벽면을 차지한 그 작품은 세로 길이가 5m에 달하는 대작이다.

그 작품은 정말 있어야 할 곳에 있었다.

좁고 사람이 많아서 편하게 감상할 수는 없었지만

그곳이 톨레도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좁은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림은 공간을 차지하는 시각 예술이므로,

감상하는 입장에서는 그것이 어디에 걸려 있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엘 그레코는 세로가 길쭉한 캔버스를 선호했고, 얼굴도 몸도 길쭉하게 그리곤 했다.

치티아노를 좋아했던 엘 그레코는 티치아노처럼 강렬한 붉은색과 푸른색을 사용했다.

톨레도에서 본 엘 그레코의 작품은 모든 것이 너무나 잘 어우러져 있었다.

 

톨레도에는 좀더 머물렀어야 했다.

마침 도착한 날이 월요일이라 미술관 오픈 시간을 맞추지 못해

엘 그레코의 작품을 다 보지 못한 것이 가장 아쉽다.

톨레도를 둘러싼 강을 따라 한바퀴 돌아보지 못한 것도 아쉽다.

 

 


숙소에서 창밖으로 보이는 아침 풍경.

 


 


이런 창문은 이슬람 양식이다.

레콩키스타 당시 카톨릭 세력의 근거지였지만 이슬람 양식도 그대로 남아있다.

 


 


엘 그레코가 살던 집을 어렵게 찾아갔는데 문이 닫혀 있었다.

 


금 세공은 톨레도의 자랑거리이다.

 


 


 

 

카세라스

 

오후에 톨레도에서 나와 카세라스로 갔다.

카세라스는 스페인에서 가장 먼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곳 중 하나다.

그런데 정말이지 사람이 너무 없었다.

자연풍광을 보러 간 것도 아니고 마을에 간 것인데

관광객은 커녕 주민들도 지나다니지 않는 마을이었다.

한적한 것도 좋지만 너무 한적하니 조바심마저 들었다.

 

카세라스는 잠깐 보고 에보라로 향했다.

 


 


 


 


 

 

2008.12.31.

이정원

 

- 스페인 여행기 시리즈 -


스페인 열흘 다녀옵니다

[스페인] 0. 스페인 intro

[스페인] 1. 바르셀로나 : 가우디 - 사그라다 파밀리아

[스페인] 2. 바르셀로나 : 피카소미술관

[스페인] 3. 논리가 좋아 - 바르셀로나의 한 호텔방에서

[스페인] 4. 세고비아 : 로마 수도교

[스페인] 5. 세고비아 : 대성당, 거리축제

[스페인] 6. 세고비아 : 알카사르

[스페인] 7. 톨레도 : 대성당, 유로2008 결승
  • ?
    서윤경 2009.01.01 10:28
    조금전 끝난 EBS 세계테마기행 <스페인>편에서도 톨레도가 소개되었더랬습니다. 예전부터 검을 만드는 곳으로도 유명했다는...이유는 검도 검이지만 이정원 회원님의 금세공 사진처럼 장식이 더욱 유명해서라는군요. 마드리드를 끝으로 시리즈는 끝났지만 마음의 울림은 좀 오래갈듯 싶네요 느림의 미학을 알고 인생은 결국 즐기는 것이라는 스페인 사람들의 삶의 철학이 장수 국가를 만든 것 같더군요. 우연이지만 이번주는 온통 스페인 이야기로 한주를 보낸것 같습니다. 오랜전부터 책상 모퉁이에 읽다가 접어놓고 했던 오기사 책도 오늘 마침 끝냈고... 좋은 정보를 주시는 회원님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새해에도 가족모두 건강하시길..
  • ?
    김세영 2009.01.01 10:28
    간혹 목적한 여행지를 가다가 스쳐가며 머물던 주변 풍경에 빠져 정작 가려던 곳에 도착해서는 오히려 별 느낌이 없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밀레'를 만나러 갔다가 '코로'에게 빠졌던 적도 있었구요. 세상에는 곳곳에 혹은 순간 순간 예기치 못한 기쁨들이 숨겨져 있는 것 같아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04 [meiotic drive] t haplotype in Mus musculus (mouse) 변정구 2011.06.10 91600
4303 공지 스트로마톨라이트, 시아노박테리아 3 송윤호 2007.08.20 42469
4302 [네이버기사]단백질의 빌딩 블록, 아미노산 2 서지미 2009.07.20 31407
4301 공지 100booksclub 게시판이 오픈되었습니다. 관리자 2002.06.18 24448
4300 <과학뉴스> "우간다서 2천만년前 유인원 두개골 발견" 변정구 2011.08.03 21546
4299 공지 총.균.쇠. 와 루이스 토마스 박문호 2007.06.07 21061
4298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오파비니아 과학강연회 2/21(금)부터 매월 1회 1 고원용 2014.02.17 18928
4297 공지 박문호 박사님께서 말씀해주신 별보기 좋은 에어즈락 2 김주현 2007.06.14 18305
4296 공지 가입인사 드려요*^^* 3 김보현 2008.01.18 17040
4295 자연이란 무엇인가? 1 변정구 2011.05.24 10694
4294 공지 [오늘] 독서클럽 산행 실시 합니다.! 2 문경수 2007.08.19 10181
4293 [네이버기사]색의 근원은? 서지미 2009.08.21 10006
4292 공지 바둑 이야기 6 임성혁 2007.12.28 9810
4291 홍보 다중지성의 정원 2016년 2분학기가 4월 4일 개강합니다~! 김하은 2016.03.07 9087
4290 공지 100booksclub 2차 모임... 홍혜림 2002.06.25 8032
4289 ★제3회 백북스 뇌.인지과학 심포지엄 개최 안내 (3/5) 156 file 신양수 2011.02.23 8012
4288 공지 "8시 17분입니다" 22 이정원 2008.02.11 7970
4287 공지 100 books club 회원가입 현영석 2002.06.28 7741
4286 공지 개설 축하 및 2차 모임 안내 현영석 2002.06.22 7477
4285 공지 개설 축하 ~!!! 송윤호 2002.06.24 74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