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607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치면 고칠수록 좋다

 

 




헤밍웨이는 '노인과 바다'를 쓸 때 무려 200번이나 고치고 다듬고 다시쓰기를 반복했다고 한다. 그는 완벽한 작품을 쓰고 싶었으리라. 완벽한 글이란 한 글자라도 바꾸면 완성도가 떨어지는 상태에 이른 글이다. 작가라면 누구나 완벽한 작품을 쓰고 싶겠지만 그들도 결국은 투자시간과 완성도 사이에서 타협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타협점을 어디까지 가지고 가느냐 하는 점이 관건이다. 글쓰기에 소질있는 사람은 말할 것도 없고 글쓰기에 소질없는 사람이라도 고치고 또 고치면 좋은 글을 쓸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인터넷 게시판에서 만나는 네티즌의 글은 말을 내뱉듯이 작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 글을 만나면 기분이 개운하지 않다. 신변잡기야 그렇다 치더라도 문제는 토론방에서도 그런 글을 많이 보게 된다는 점이다. 즉흥적으로 쓴 글은 구조, 용어, 논리에서 문제를 드러낸다. 잘못된 구조는 이해를 어렵게 만들고, 애매한 용어는 오해를 낳고, 서툰 논리는 반박 논리를 부른다. 토론글은 문학 작품과는 다른 구조을 가져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문학에서 사용하는 기승전결이나 서론- 본론- 결론 구조를 의사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글에 적용하는 오류를 범하곤 한다. 토론글이라면 결론을 먼저 얘기하고 근거를 내세워 반박논리에 대응하는 구조를 취해야 할 것이다. 또 문학적인 비유나 애매한 표현은 쉽고 명확한 용어로 바꿔 써서 오해를 없애야 한다. 민감한 문제를 다룬 글이라면 상대방의 기분을 거슬리게 할 만한 부분은 없는지 독자 입장이 되어 두 번 세 번 읽어봐야 한다. 그런데도 네티즌들은 토론방에서조차도 글을 즉흥적으로 써 버리곤 한다.

 


나는 글을 즉흥적으로 올리지 않는다. 어떤 주제로 글을 쓰고 싶은 생각이 들면 우선 며칠을 생각하며 묵힌다. 며칠을 묵힌 생각도 글로 옮겨보면 어색한 부분이 많이 눈에 띈다. 고치고 또 고치면서 초고를 작성한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 어색한 부분을 자연스럽게 하려면 글의 일부를 과감히 버리기도 해야 한다. 이 글의 서두에서도 서양미술 최고의 작품이라 손꼽히곤 하는 벨라스케스의 '라스 메니나스'에 관한 일화를 여러 번 고쳐 써 보다가 결국 들어내고 말았다. 어색한 연결을 만드는 부분은 고쳐 쓰기보다는 아예 들어냈을 때 의외로 쉽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다. 좋은 글을 쓰려면 고치고 또 고치는 작업을 생략하면 안 된다. 애정을 담은 글이라면 초고 분량의 오분의 일은 들어낼 각오를 해야 하고, 열 번은 다시 읽어야 하고, 세 번 이상 다시 고쳐 써야 한다.

 


2008. 7. 18.
이정원
  • ?
    전재영 2008.07.30 23:47
    글쓰는 재미도 제법 솔솔 하지요..오랜만에 이정원님의 글을 보니 반갑네요
    저 역시 내용에 공감합니다~
  • ?
    임성혁 2008.07.30 23:47
    잔가지를 잘라 버린 글은 표가 납니다.
    절제하여 올린 글은 느낌이 다릅니다.
    그런 글들은 여운을 남기고 마음에 담게 합니다.
  • ?
    김영이 2008.07.30 23:47
    이정원회원님께서 이글을 쓰시면서 또 얼마나 고치고 고치셨을까요? 좋은글 공감하며 담아갑니다.
  • ?
    서지미 2008.07.30 23:47
    "절대 공감"
  • ?
    이병록 2008.07.30 23:47
    직장에 계신분들, 보고서도 고칠수록 좋아지죠?. 그러나 모양이 아니고 내용으로 승부해야 하는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04 공지 [글연습9] 모나리자의 미소 비밀을 밝히다 2 문경목 2008.04.25 1610
1303 공지 요즘엔 3 양경화 2007.04.25 1610
1302 안녕하세요..^^ 1 우주인의책 2011.08.02 1609
1301 공지 [독서산행] 7월 5일 13시 "수통골" (온지당 앞에서 출발) 3 송나리 2008.07.04 1609
1300 공지 [여행] 9. 나폴리 : 고고학박물관 2 이정원 2008.01.24 1608
1299 공지 [기사]힉스입자...이종필박사 서지미 2009.03.06 1608
1298 공지 가입 인사 6 김장현 2008.12.29 1608
1297 공지 [사진] <뇌, 생각의 출현> 서울 출판기념회 (10/31) 4 이정원 2008.11.03 1608
1296 백북스 회원 공연 안내 <평산의 음악여행> 강신철 2011.05.27 1607
1295 책 (가장 뛰어난 중년의 뇌) 신청하신 회원들께 알려드립니다. 9 임다정 2011.03.18 1607
» 공지 [에세이] 고치면 고칠수록 좋다 5 이정원 2008.07.30 1607
1293 공지 저..가입한 지 얼마 안되었는데 질문이 있는데요^^; 3 박정화 2009.01.17 1607
1292 공지 또 봄인가 2 박문호 2007.04.13 1607
1291 [인문학강좌] 우리는 이미지로부터 무엇을 원하는가 백다현 2011.01.31 1606
1290 공지 우리 대전 같은 책 읽기 선정도서 4 강신철 2008.11.14 1606
1289 <우주> "우주는 '끈'에서 시작됐다" file 변정구 2011.06.01 1605
1288 공지 [13:30] 월드 사이언스 포럼 현장 8 문경수 2008.04.29 1605
1287 공지 9월 산행 알림 송나리 2007.08.24 1605
1286 공지 시 Apple 2 박성일 2007.05.25 1605
1285 공지 [알림] 5월 22일 118회 토론회 (저자 초청) 2 송윤호 2007.05.21 16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