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126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틀 전 친구들과 저녁 식사 중 

친구가 묻습니다.

 

"어제 뭐했어?"

 

"저녁에 옆산 올라가서 별 봤어.

 진짜 신기한게, 그 전에는 별들이 하나하나 흩어져 보였는데

 책 읽고 보니까 정말 별자리가 보이더라.

 

 그리고 전에는 별 색깔이 다 같아보였어.

 그런데 책에서 오리온자리베텔기우스는 적색거성이라더니
 보니까 별이 정말 붉은 색인거 있지. "

 

친구에게서 들은 말은 ...

 "에이,  뻥!

  빨간 별이 어디있어?"

 

 저에게 '뻥치지 말라'고 하는 친구들.

 진짜 붉은 색이었는데... -.-

 

 밥을 먹고 나왔습니다. 해가 저물고 하늘은 깜깜했습니다.

 아싸.

 

 밤하늘을 올려다 보며 이야기했습니다.

 

 "저기~ 저기 별 나란히 세개 있잖아.  그건 오리온 자리의 허리띠야.

  그 위에 별 2개는  어깨, 아래로는 2개는 다리.

  저게 오리온자리야~

  왼쪽 어깨에 있는 별이 베텔기우스인데 무지 큰 붉은 색 별이야. "

 


(물론 실제로는 이것보단 희미하게 보이죠. 사진출처: 구글 검색 ^^; )

 

 "엇. 진짜.

  니가 붉다고 하니까 붉게 보이는거 같기도 하고.  +_+ "

 

 괜히 흐뭇.

-----------------------------------------------------------------------------

 

 저는 어릴 적부터 2008년까지

 밤하늘 별자리에 관심 없었습니다.

 흩어져 있는 점들에게서 어떻게 백조가 보이고, 사람이 보이고, 개가 보이나.

 다 이어보면 작대기인 걸.

 

 


 이제 밤하늘을 보면 제법 별자리가 보입니다.


 별자리를 보다보면 목이 아픕니다.


 그래도 재미있습니다.


 


 별들에게도 이름이 있었습니다. 


 베텔기우스, 리겔, 카펠라, 알데바란, 시리우스...





 별의 이름을 불러보면서


 항상 저렇게 머리 위에서 빛나고 있었는데


 28년간 참 무심했구나 싶었습니다.


 

 혹시 저처럼 밤하늘에 무심했던 분들이 있으시다면

 해 진 후 하늘을 한번 바라보세요.

 '오리온자리'는 정말 금방 찾으실 거예요.

 

 그리고 별 이름 몇 개만 더 아시면

 세상에서 제일 큰 다이아몬드도  챙기실 수 있지요.

 

 

겨울철의 '다이아몬드'

카펠라, 알데바란, 리겔, 시리우스, 프로키온, 폴룩스..

 


 

 

그럼...  

왜 목이 아프게 밤하늘을 봐야 하나.

왜 이 낯선 이름을 외워냐 하나.

 

그리고

왜 별을 본다고 마우케니아 천문대까지 갈까....

 

그거언~


앞으로 백북스에서 함께 이야기해 나가겠죠...? ^-^
  • ?
    서지미 2009.02.19 23:12
    뽐샘
    내 별명이 스펀지야.
    월요일마다 공부하고 있는 그룹의 리더
    이교수님께서 항상 그렇게 부르지.
    그 별명
    뽐샘에게 주고 싶어.
    "스.펀.지"
    이번에 하와이 가서
    보이는 만큼의 별나라를 모두 흡수해서
    평생 "빛"으로 빛나길 바래
    내일보자~~뽐.
  • ?
    윤현식 2009.02.19 23:12
    영화. Beautiful Mind 에 나온 장면 생각이 나네요.
    즐겁고 유익한 탐사여행 되시길요~
  • ?
    김향수 2009.02.19 23:12
    ㅎㅎㅎ, 독서의 즐거움을 공유하는 기쁨이 큽니다. 오리온자리, 적색별,육각형 친근한 느낍입니다. 잘 다녀오세요, 생생한 후기, 즐거운 후기 기다리겠습니다.
  • ?
    한정규 2009.02.19 23:12
    별이 보이는 곳에 사신다니 분명 장수하실거라 믿으며...

    다만 저 별 이름들이 수천년간 서양인들이 부른 이름이지요. 우리는 우리 일상 뿐만 아니라 저 우주도 뺏겨가고 있어요 ㅠ.ㅠ 우리 조상들이 붙이신 이름은 어떨까?
  • ?
    윤보미 2009.02.19 23:12
    우리조상들이 붙인 이름 하나 아는건, "좀생이"

    황소자리 옆에 있는 젊은 별들이 모인 성단인데, 서양에서 붙인 이름은 "플레이아데스",
    우리 조상들은 "좀생이" 이라고 불렀대요.
    좀이 갉아먹은 모양같아서. ^-^

    더 찾아보면 또 있겠죠?
  • ?
    이정원 2009.02.19 23:12
    보미샘 마음이 깨끗해서 별도 많이 보일거야.
    잘 다녀와. ^^
  • ?
    정성례 2009.02.19 23:12
    대학교때 써클이 천문 동아리라 별자리본다고 아예 학교옥상에 자리깔고 보던기억.
    별볼려면 드러누워 보는게 제일이죠.
  • ?
    이기두 2009.02.19 23:12
    오래전에 경남 창원에서 주먹보다 큰별이
    겨울 나무에 감처럼 달려 있던 것을 본 생각이 납니다.
    대나무을 후리면 한개쯤 부딪쳐서 투웅하고 울 릴 것 같았는데.
    하와이의 별은 얼마나 컸는지
    말씀해 주실 분.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44 공지 라오스와 베트남, 배낭여행을 떠나며.... 8 이명희 2008.02.27 1654
1543 공지 정전사고(홈페이지 서비스 중단) 강신철 2008.02.27 1187
1542 공지 독서모임 발표예정자(3월 11일, 5월) 3 박문호 2008.02.26 1126
1541 공지 오늘은 꼭 가렵니다... 1 박진훈 2008.02.26 1126
1540 공지 [NHK동영상]우주...(우주배경복사,초신성,세페이드, 등등) 1 임성혁 2008.02.26 1277
1539 공지 저 하늘의 별을 잡기 위해 4 이동선 2008.02.24 1391
1538 공지 [135회 독서토론회]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현장 스케치 2 문경목 2008.02.23 1417
1537 공지 [공지] 2.22 금 저녁 7시 뇌과학소모임 이정원 2008.02.22 1159
1536 공지 타인에게 말걸기 5 윤보미 2008.02.22 1506
1535 공지 100권독서클럽으로 오라 10 이정원 2008.02.22 2258
1534 공지 [퍼옴] 수유너머 천문학 수강생의 후기 - 별과 세상과 소통해 보기 4 문경수 2008.02.21 1562
1533 공지 이순신 어룩중에서.. 4 전재영 2008.02.20 1289
1532 공지 모험, 패기, 도전이 살아있습니까? 1 전재영 2008.02.20 1163
1531 공지 [동영상]양자물리학108분-->60분대 압축 3 임성혁 2008.02.20 1258
1530 공지 [자연과학예찬] 더 이상 무엇이 필요한가? 4 임성혁 2008.02.19 1239
1529 공지 우주, 그 물리학적 이해<수유+너머>현장스케치 5 박혜영 2008.02.18 1596
1528 공지 [대덕넷]글쓰기·토론 진행 '과학커뮤니케이션 겨울학교' 1 김주현 2008.02.18 1613
1527 공지 그림책에서 신선한 충격을 받는 선생님을 보고 5 이동선 2008.02.18 1226
1526 공지 참 재미난 박사님 강의 ^-^ 4 윤보미 2008.02.17 1356
1525 공지 [조선일보/오피니언] 이런 독서 수준으론 선진국 못된다 3 문경수 2008.02.16 13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