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960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소설, 만화, 판타지.

재미있습니다.

 

어떤 소설이나 만화는 작가가 방대한 양의 정보를 수집하고 심혈을 기울인

명작도 있습니다.

다 좋습니다.

 

그러나

상위 20개의 대학의 도서대출 순위에

해리포터가 없는 곳은 5곳,

철학 책이 있는 곳은 2곳.

이건 아닙니다.

 

자연과학 서적은

카운트 할 수조차 없군요. 

 

 

전교육부장관은  '한국 대학생의 슬픈 현실'이라고 하는데

10, 20 년 후면 그 대학생들이 한국을 이끌어나가는 중심축이 되겠죠.

 

슬픈 한국. 상상하고 싶지 않습니다.

 

백북스에서 이야기하는 [균형독서].

그 필요성과 절실함을 느낍니다.

 



  • ?
    한정규 2009.02.14 19:47
    이대 도서 대출 순위에서 해커스 리스닝이 가장 인상적이네요.

    그런데 한가지 딴지를 걸자면 학교 도서관 대출 순위가 대학생들의 책 읽기를 대표하는 것이라는 전제가 있어야 슬픈 현실을 인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 학교의 현실은, 특히 고전과 같은 경우는 그 책의 수가 서너 권에 불과하며 만약 수업에 쓰인다면 소위 지정도서로 지정되어 단 하루에 몇시간만 읽을 수 있게 되어있죠. 즉, 두고두고 읽고 볼 여건이 아니라는 겁니다. 내용이 많고 시간을 들여서 읽어야 할 책들이 제한된 대출 기간과 여타 시험을 위한 시간 투자 때문에 자동적으로 읽히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니 자연스레 술술 읽히고 재미있는 소설이 상위에 순위로 매겨지는 건 당연지사라는 겁니다. 또 자연과학독서의 경우 주로 자연,공학계열 학생들은 문제 풀고 대개 4차까지 있는 시험을 대비하느라 볼 확률이 떨어지고 인문,사회 계열 학생들은 대개 흥미를 가지는 분야가 아니죠.(물론 관심 많은 분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우리 학교의 문화라는 것이 고전과 자연과학독서를 수동적인 권장은 하지만(필독도서 200선~;무지 어려운 책들로만 되어 있습니다) 시스템적으로 능동적인 권장은 되지 않는 것이라 위와 같은 통계가 잡힌 것은 아닐까요. 아마 외국대학생들도 별로 고전 읽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을 겁니다. (주변에 외국대학 나온 친구들 말에 의하면) 다만 읽도록 시키니까 읽을 거라 생각은 합니다만... 맨날 외국하고 비교를 해서
  • ?
    임성혁 2009.02.14 19:47
    보미 선생님 너무 슬퍼 마세요. 자연과학서 철학서등은 사서 보관하며 보고 가벼운 만화나 환타지소설류는 대여해서 보는건 아닐까하고 생각해봅니다.
  • ?
    장종훈 2009.02.14 19:47
    http://cliomedia.egloos.com/2236092
    관련된 포스팅입니다. :)
  • ?
    한정규 2009.02.14 19:47
    장종훈님의 낚시같은;; 읽을 수록 질질 끌려갈 수밖에 없는;; 포스팅을 보다가 영감을 받기도 하고 재미도 느꼈습니다. 감사^^ 그러면서 한가지 생각드는 게 독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났어요. 지금 우리가 문제 삼는 대출 건수의 이상함;; 도서관의 운용이 하드웨어라면 우리가 독서를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우리의 관심과 뇌 뿐만 아니라 읽을 수 있는 장과 바로 백북스같은 소프트웨어요 ㅎㅎ 앞으로 좀 깊이 생각을 해봐야겠어요 ㅎㅎ
  • ?
    장종훈 2009.02.14 19:47
    기우에서 말씀드립니다만.. 저 글은 제 포스팅이 아니구요. ^^ 같은 기사를 읽고 쓰신 글이지만 다른 시각에서 보고 있기에 소개해드린 것입니다.
  • ?
    procom 2009.02.14 19:47
    역시 저는 눈이 안 좋은가 봅니다. 위 글에서 일본소설은 찾아볼 수조차 없네요.
  • ?
    procom 2009.02.14 19:47
    아, 방금 하나 발견했습니다. 제목에 있군요.
  • ?
    procom 2009.02.14 19:47
    대중소설은 시작할 때 반짝했다 갈 수록 시들어지는 특성이 있는 것 같고,
    명작은 시작은 보잘것없어도 끝으로 갈 수록 창대해지는 특성이 있는 것 같네요.

    안 그런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84 공지 한국최초우주인 이소연씨 100권독서클럽 뒤풀이 참여 사진 4 문경목 2008.04.11 1508
2583 공지 박목월---나무--- 3 박문호 2008.04.13 1616
2582 공지 "봄이 왔어요"- 상 춘 곡 (嘗 春 曲) 1 전재영 2008.04.13 2452
2581 공지 위대한 역사의 감흥에 빠져보시지요(아테네에서 100북스까지) 2 전재영 2008.04.13 1417
2580 공지 백북스 회원님들의 글을 보다가 문득 떠오른 시. 5 이해선 2008.04.14 1297
2579 공지 박목월-'영원永遠' 탐구의 시학(1)-그는 누구인가? 4 전재영 2008.04.14 1509
2578 공지 하이쿠> 마츠오 바쇼 의 '나라로 가는 길에서' 를 읽고 3 송근호 2008.04.14 1563
2577 공지 귀환 [歸還] 12 정영옥 2008.04.14 1429
2576 공지 [4/17]대전시향콘서트(백건우 협연) 가시는 분들 보세요~ 22 임석희 2008.04.15 1557
2575 공지 [프로젝트 써] 4/15 : 프로젝트 써 4차 모임 공지 5 file 이정원 2008.04.15 1319
2574 공지 4/19 온지당 문화행사 - 이화에 월백하고! 4 임석희 2008.04.15 1501
2573 공지 [음악] 중요한 서른여덟개의 피아노협주곡 1 이정원 2008.04.15 1414
2572 공지 과꽃-김영태, 벽제-이성복 3 박문호 2008.04.15 1842
2571 공지 [대덕넷]영어 통역 단기 아르바이트 하실 분 찾습니다. 3 박혜진 2008.04.17 1436
2570 공지 [글연습1] 글쓰기, 그리고 부딪히기 11 문경목 2008.04.17 1652
2569 공지 신기한 경험 6 전재영 2008.04.17 1301
2568 공지 몇 대 몇! 2 윤성중 2008.04.17 1651
2567 공지 [글연습2] 평등과 차별 6 문경목 2008.04.17 1504
2566 공지 영화로 보는 뇌 이야기 2 박영진 2008.04.18 1390
2565 공지 이종상미술관 건립추진 5만 서명완료 기념행사 현장스케치 10 문경목 2008.04.18 22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