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960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소설, 만화, 판타지.

재미있습니다.

 

어떤 소설이나 만화는 작가가 방대한 양의 정보를 수집하고 심혈을 기울인

명작도 있습니다.

다 좋습니다.

 

그러나

상위 20개의 대학의 도서대출 순위에

해리포터가 없는 곳은 5곳,

철학 책이 있는 곳은 2곳.

이건 아닙니다.

 

자연과학 서적은

카운트 할 수조차 없군요. 

 

 

전교육부장관은  '한국 대학생의 슬픈 현실'이라고 하는데

10, 20 년 후면 그 대학생들이 한국을 이끌어나가는 중심축이 되겠죠.

 

슬픈 한국. 상상하고 싶지 않습니다.

 

백북스에서 이야기하는 [균형독서].

그 필요성과 절실함을 느낍니다.

 



  • ?
    한정규 2009.02.14 19:47
    이대 도서 대출 순위에서 해커스 리스닝이 가장 인상적이네요.

    그런데 한가지 딴지를 걸자면 학교 도서관 대출 순위가 대학생들의 책 읽기를 대표하는 것이라는 전제가 있어야 슬픈 현실을 인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 학교의 현실은, 특히 고전과 같은 경우는 그 책의 수가 서너 권에 불과하며 만약 수업에 쓰인다면 소위 지정도서로 지정되어 단 하루에 몇시간만 읽을 수 있게 되어있죠. 즉, 두고두고 읽고 볼 여건이 아니라는 겁니다. 내용이 많고 시간을 들여서 읽어야 할 책들이 제한된 대출 기간과 여타 시험을 위한 시간 투자 때문에 자동적으로 읽히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니 자연스레 술술 읽히고 재미있는 소설이 상위에 순위로 매겨지는 건 당연지사라는 겁니다. 또 자연과학독서의 경우 주로 자연,공학계열 학생들은 문제 풀고 대개 4차까지 있는 시험을 대비하느라 볼 확률이 떨어지고 인문,사회 계열 학생들은 대개 흥미를 가지는 분야가 아니죠.(물론 관심 많은 분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우리 학교의 문화라는 것이 고전과 자연과학독서를 수동적인 권장은 하지만(필독도서 200선~;무지 어려운 책들로만 되어 있습니다) 시스템적으로 능동적인 권장은 되지 않는 것이라 위와 같은 통계가 잡힌 것은 아닐까요. 아마 외국대학생들도 별로 고전 읽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을 겁니다. (주변에 외국대학 나온 친구들 말에 의하면) 다만 읽도록 시키니까 읽을 거라 생각은 합니다만... 맨날 외국하고 비교를 해서
  • ?
    임성혁 2009.02.14 19:47
    보미 선생님 너무 슬퍼 마세요. 자연과학서 철학서등은 사서 보관하며 보고 가벼운 만화나 환타지소설류는 대여해서 보는건 아닐까하고 생각해봅니다.
  • ?
    장종훈 2009.02.14 19:47
    http://cliomedia.egloos.com/2236092
    관련된 포스팅입니다. :)
  • ?
    한정규 2009.02.14 19:47
    장종훈님의 낚시같은;; 읽을 수록 질질 끌려갈 수밖에 없는;; 포스팅을 보다가 영감을 받기도 하고 재미도 느꼈습니다. 감사^^ 그러면서 한가지 생각드는 게 독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났어요. 지금 우리가 문제 삼는 대출 건수의 이상함;; 도서관의 운용이 하드웨어라면 우리가 독서를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우리의 관심과 뇌 뿐만 아니라 읽을 수 있는 장과 바로 백북스같은 소프트웨어요 ㅎㅎ 앞으로 좀 깊이 생각을 해봐야겠어요 ㅎㅎ
  • ?
    장종훈 2009.02.14 19:47
    기우에서 말씀드립니다만.. 저 글은 제 포스팅이 아니구요. ^^ 같은 기사를 읽고 쓰신 글이지만 다른 시각에서 보고 있기에 소개해드린 것입니다.
  • ?
    procom 2009.02.14 19:47
    역시 저는 눈이 안 좋은가 봅니다. 위 글에서 일본소설은 찾아볼 수조차 없네요.
  • ?
    procom 2009.02.14 19:47
    아, 방금 하나 발견했습니다. 제목에 있군요.
  • ?
    procom 2009.02.14 19:47
    대중소설은 시작할 때 반짝했다 갈 수록 시들어지는 특성이 있는 것 같고,
    명작은 시작은 보잘것없어도 끝으로 갈 수록 창대해지는 특성이 있는 것 같네요.

    안 그런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64 공지 새해인사! 9 강신철 2009.01.02 1663
2763 공지 새해인사 현영석 2002.12.30 2516
2762 공지 새해에는 책 백권에 도전 할랍니다. 2 송근호 2004.01.01 2036
2761 공지 새해를 맞이하며 3 이선영 2004.01.02 2081
2760 새해 첫날 '지상 최대의 쇼'에 닥친 재앙 5 이정원 2010.01.03 2969
2759 공지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윤석련 2003.01.04 2547
2758 공지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유수연 2003.01.01 2510
2757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4 박순필 2010.01.01 2168
2756 공지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이윤소 2003.02.01 2512
2755 공지 새해 福 많이 받으세요~ 송윤호 2003.01.06 2510
2754 공지 새해 福 많이 받으세요~ 김미영 2003.01.06 2681
2753 홍보 새책! 『대테러전쟁 주식회사』(솔로몬 휴즈 지음, 김정연·이도훈 옮김) ― 공포정치를 통한 기업의 돈벌이 갈무리 2016.04.21 1833
2752 공지 새집을 단장하셨네요. 주윤성 2003.07.03 2245
2751 공지 새집 마련. =) 구용본 2003.07.03 2467
2750 새삼스레 왜 다시 신인가? 2 박용태 2011.02.14 1668
2749 공지 새봄의 시작과 함께 글쓰기가 더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봅니다. 3 강신철 2009.03.24 1747
2748 공지 새봄 그리고 신제품개발 1 현영석 2007.04.07 1749
2747 새벽을 마주하며... 8 홍종연 2010.05.28 1828
2746 공지 새배 복 많이 받으세요~ 8 file 임석희 2008.02.07 1231
2745 공지 새로운 홈피~~ㅊㅋㅊㅋ^^ 홍혜림 2003.07.04 24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