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960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소설, 만화, 판타지.

재미있습니다.

 

어떤 소설이나 만화는 작가가 방대한 양의 정보를 수집하고 심혈을 기울인

명작도 있습니다.

다 좋습니다.

 

그러나

상위 20개의 대학의 도서대출 순위에

해리포터가 없는 곳은 5곳,

철학 책이 있는 곳은 2곳.

이건 아닙니다.

 

자연과학 서적은

카운트 할 수조차 없군요. 

 

 

전교육부장관은  '한국 대학생의 슬픈 현실'이라고 하는데

10, 20 년 후면 그 대학생들이 한국을 이끌어나가는 중심축이 되겠죠.

 

슬픈 한국. 상상하고 싶지 않습니다.

 

백북스에서 이야기하는 [균형독서].

그 필요성과 절실함을 느낍니다.

 



  • ?
    한정규 2009.02.14 19:47
    이대 도서 대출 순위에서 해커스 리스닝이 가장 인상적이네요.

    그런데 한가지 딴지를 걸자면 학교 도서관 대출 순위가 대학생들의 책 읽기를 대표하는 것이라는 전제가 있어야 슬픈 현실을 인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 학교의 현실은, 특히 고전과 같은 경우는 그 책의 수가 서너 권에 불과하며 만약 수업에 쓰인다면 소위 지정도서로 지정되어 단 하루에 몇시간만 읽을 수 있게 되어있죠. 즉, 두고두고 읽고 볼 여건이 아니라는 겁니다. 내용이 많고 시간을 들여서 읽어야 할 책들이 제한된 대출 기간과 여타 시험을 위한 시간 투자 때문에 자동적으로 읽히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니 자연스레 술술 읽히고 재미있는 소설이 상위에 순위로 매겨지는 건 당연지사라는 겁니다. 또 자연과학독서의 경우 주로 자연,공학계열 학생들은 문제 풀고 대개 4차까지 있는 시험을 대비하느라 볼 확률이 떨어지고 인문,사회 계열 학생들은 대개 흥미를 가지는 분야가 아니죠.(물론 관심 많은 분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우리 학교의 문화라는 것이 고전과 자연과학독서를 수동적인 권장은 하지만(필독도서 200선~;무지 어려운 책들로만 되어 있습니다) 시스템적으로 능동적인 권장은 되지 않는 것이라 위와 같은 통계가 잡힌 것은 아닐까요. 아마 외국대학생들도 별로 고전 읽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을 겁니다. (주변에 외국대학 나온 친구들 말에 의하면) 다만 읽도록 시키니까 읽을 거라 생각은 합니다만... 맨날 외국하고 비교를 해서
  • ?
    임성혁 2009.02.14 19:47
    보미 선생님 너무 슬퍼 마세요. 자연과학서 철학서등은 사서 보관하며 보고 가벼운 만화나 환타지소설류는 대여해서 보는건 아닐까하고 생각해봅니다.
  • ?
    장종훈 2009.02.14 19:47
    http://cliomedia.egloos.com/2236092
    관련된 포스팅입니다. :)
  • ?
    한정규 2009.02.14 19:47
    장종훈님의 낚시같은;; 읽을 수록 질질 끌려갈 수밖에 없는;; 포스팅을 보다가 영감을 받기도 하고 재미도 느꼈습니다. 감사^^ 그러면서 한가지 생각드는 게 독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났어요. 지금 우리가 문제 삼는 대출 건수의 이상함;; 도서관의 운용이 하드웨어라면 우리가 독서를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우리의 관심과 뇌 뿐만 아니라 읽을 수 있는 장과 바로 백북스같은 소프트웨어요 ㅎㅎ 앞으로 좀 깊이 생각을 해봐야겠어요 ㅎㅎ
  • ?
    장종훈 2009.02.14 19:47
    기우에서 말씀드립니다만.. 저 글은 제 포스팅이 아니구요. ^^ 같은 기사를 읽고 쓰신 글이지만 다른 시각에서 보고 있기에 소개해드린 것입니다.
  • ?
    procom 2009.02.14 19:47
    역시 저는 눈이 안 좋은가 봅니다. 위 글에서 일본소설은 찾아볼 수조차 없네요.
  • ?
    procom 2009.02.14 19:47
    아, 방금 하나 발견했습니다. 제목에 있군요.
  • ?
    procom 2009.02.14 19:47
    대중소설은 시작할 때 반짝했다 갈 수록 시들어지는 특성이 있는 것 같고,
    명작은 시작은 보잘것없어도 끝으로 갈 수록 창대해지는 특성이 있는 것 같네요.

    안 그런가요?

  1. [글연습1] 글쓰기, 그리고 부딪히기

  2. [글연습13] 시는 늘 곁에 있었다

  3. [글연습12] 창의성의 바탕이 되는 것

  4. [글연습11] 지식, 누구에게나 공짜입니다

  5. [글연습10] 소 잃기전에 외양간 고치자

  6. No Image 30Sep
    by 손경덕
    2009/09/30 by 손경덕
    Views 1931 

    [과학강좌] 과학과 사회의 인터페이스

  7. No Image 16May
    by 변정구
    2011/05/16 by 변정구
    Views 1985 

    [과학 뉴스] 스티븐 호킹 "천국은 동화 속 이야기"

  8. [공지내림] 3월 27일 114회 토론회 (저자초청)

  9. [공지내림] 2009년 백북스 독서여행 취소 & 송년회 안내

  10. [공지]확대 운영회의(8월12일)

  11. [공지]한 눈에 보는 2월 백북스 모임

  12. [공지]한 눈에 보는 11월 백북스 모임

  13. No Image 26Mar
    by 홍경화
    2010/03/26 by 홍경화
    Views 1853 

    [공지]제2회 백북스 뇌인지과학 심포지움 안내사항

  14. [공지]제163회 독서토론회 - 소설과 상상력

  15. No Image 12Sep
    by 강혜정
    2009/09/12 by 강혜정
    Views 1818 

    [공지]제 3회 조중걸 교수의 철학과 예술사 강의(20090915)

  16. No Image 09Sep
    by 강혜정
    2009/09/09 by 강혜정
    Views 1748 

    [공지]제 2회 조중걸 교수의 철학과 예술사 강의(20090910)

  17. No Image 05Sep
    by 강혜정
    2009/09/05 by 강혜정
    Views 2080 

    [공지]제 1회 조중걸교수의 철학과 예술사 강의(20090908)

  18. [공지]익명글을 삭제합니다.

  19. [공지]유성사랑 책읽기 릴레이

  20. [공지]운영회의록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