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9.02.12 19:02

'별밤365' 독후감

조회 수 1821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별밤 365


 


처음엔 마치 학술서적처럼 차분했다. 별 이야기인데도 흥분하지 않았다. 이렇게 가라앉은 방식으로 전개하면 독자가 다 떨어져 나가리라. 나야 며칠뒤에 별보러 하와이에 갈 몸이라 어쩔 수 없이 읽는다만 어린 청소년들이 꾹 참고 읽어낼 수 있을까 하는 쓸데없는 걱정까지 했다. 너나 잘 보면 되지 뭘~


 


그러나 핵심은 콘텐츠(내용)이었다. 박문호선생님이 말씀하신 우주 ‘앙꼬’가 여기 다 나오는게 아닌가. 그것도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한 분량을 조금씩 조금씩 입에 떠넣어주었다. 저자는 천문학자 이전에 훌륭한 교육자(피교육자를 배려하는)였다. 물론 다른 별자리 서적을 잘 모르니 비교우위를 얘기할 순 없다.


 


박선생님께서 이 책이 남반구의 별자리를 언급하고 있고 별자리그림에 꼭 황도를 집어넣고 있어 이해에 좋다고 하신기억이 난다. 아직 3월 별자리를 읽는 중이라 뒷부분을 언급할 수 없어 아쉽기는 하다.

 

*** 달과 행성들이 하늘에 나타나는 위치 ...... 1/20에 보면 “이들은 지구궤도(황도면)와 거의 같은 평면 위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우리는 항상 황도 근처의 하늘에서 이들을 발견할 수 있다.”고 써 있다. 박선생님이 강의에서 황도와 궤도가 크게 다른(예를들어 세로방향으로 도는) 행성들은 어떻게 없어졌는지 말씀하신 것 같은데 기억이 가물가물...

 

*** 별의 종말 ...... 1/28에 보면 “에너지가 고갈되어 함몰하는 별이 태양보다 몇배 이상 무거운 질량을 가졌다면 전자들 사이의 반발력은 중력의 쇄도에 저항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하지 못하다.” 한마디로 전자들이 양성자 속으로 구겨넣어져서 중성자가 된단다. 으아... 중성자별... 펄서...

 

*** 별의 색깔 ...... 2/20에 보면서 “별하면 빛... 스펙트럼...을 생각하라”는 박선생님의 말씀이 생각났다. “별의 색깔을 결정하는 것은 가시광선 부분에서 최고 강도를 가진 파장”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래프에서 오리온 자리 리겔은 자외선부분이 가시광선부분보다 강하게 나오는데 자외선 잡는 망원경사진을 봐야겠다.

 

*** 여섯 개의 별이 공통의 중력중심을 돌다니 ...... 2/23을 보면 ‘6중별계’가 나온다. 쌍둥이 자리 카스토르가 실은 6개의 별이라니... 저자왈 “태양처럼 외로운 별의 행성에 살고 있다는 것이 얼마나 단조로운 일인가!” 나는 단조로운 게 더 좋다. 목숨에 대한 애착...

 

*** 하지점의 이동 ...... 3/7을 보면 “지금부터 2000년전에는 태양이 하늘을 따라 여행하는 과정에서 가장 북쪽에 도달하는 지점이 ‘게자리’였다”고 한다. 지금은 쌍둥이 자리의 경계선을 지나 황소자리의 영역으로 들어갔댄다. 이게 지구의 세차운동 때문이라나. 지구가 팽이처럼 비틀비틀...

 

혹시 이글을 청소년이 읽는다면 ‘별이름자리를 암기하고 밝기거리도 마저 암기하라’고 권한다. 물론 중요한 별만. 이건 내말이 아니라 박선생님 말씀이다.

 

나도 이제 밤하늘을 보러 자주 나가야겠다. 친구들의 이름을 많이 외웠으니까. 뗑큐

Who's 윤석규

?
sukkyda7
  • ?
    김영이 2009.02.12 19:02
    어제 윤석규 회원님께서 별밤 365를 5권이나 더 주문하셨죠. 너무 재밌다고 하시면서~
    그래서 독후감을 써서 귀한책을 많이 알려달라고 했더니 바로 써주셨네요~ ^^
    제가 하와이 가면 많은 별을 볼수있게 해드릴께요 ㅋㅋ ~ 정리해주신 내용 덕분에
    저도 미처 몰랐던 부분을 다시 알게 되네요 ㅋㅋ 이상하게 읽었는데도 왜 난 모를까요 ㅋㅋ 고맙습니다. ^^
  • ?
    모현혜 2009.02.12 19:02
    빠르시네요~분발해야겠네요~! 전 아직 시간이 안되서 별밤365책책꽃이에 고스란히~다음주중에 벼락치기로 해야겠어요~!
  • ?
    윤석규 2009.02.12 19:02
    박선생님께 혼날라. 빨리 고치세. 감마선이나 X선을 관측하는 망원경은 있다고 들은 것 같은데 자외선관측망원경도 있나요? 있더라도 하나하나의 별 사진은 큰 차이가 없을 것 같네요. 은하나 성운 정도 되면 가시광선 찍은 것과 X선을 찍은 것이 서로 달랐던 게 기억납니다.
  • ?
    김미경 2009.02.12 19:02
    같은 책을 읽고 다른 분의 생각을 들으니 새롭네요...

    책을 읽으면서
    우주를 상상해 보려했는데...
    너무나 작은 제 상상력으로는
    그렇게 거대한 우주를.. 상상조차 할 수가 없더라구요....
    많이 아쉽답니다...

    그러한 우주속에서.....한 인간의 존재란....
  • ?
    박승현 2009.02.12 19:02
    밤하늘 친구들의 이름을 모두 부를 수 있도록 더욱 노력을 해야 되겠어요~
    어렵게 친구를 만나러 갔는데 이름을 잘못 부르거나 얼굴을 모르면 큰일이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24 공지 이강영 교수님 <불멸의 원자> 강연 안내 1 박용태 2016.08.18 268
4223 홍보 <현대과학으로 풀어본 금강경> 강좌 수강생 모집 신윤상 2016.08.13 353
4222 홍보 [8/1 개강] 글을 쓰고 싶다면! - 보기와 읽기 그리고 쓰기 엑스플렉스 2016.07.21 167
4221 공지 7월 22일 김상욱 교수의 과학 공부 강연 안내 박용태 2016.07.21 259
4220 홍보 <자연의 발명> 다윈에게 어깨를 내준 훔볼트의 전기 file 스트라이더 2016.07.21 317
4219 홍보 ★[8/3 개강] 크리에이티브 리딩 -미국/영국/러시아/한국 문학읽기 엑스플렉스 2016.07.13 248
4218 현장스케치 [빅히스토리 프로젝트 대전] 5교시 현장스케치 & 6교시 공지 file 박순필 2016.07.11 443
4217 현장스케치 [빅히스토리 프로젝트 대전] 4교시 현장스케치 file 박순필 2016.07.11 368
4216 현장스케치 [빅히스토리 프로젝트 대전] 3교시 현장스케치 file 박순필 2016.07.11 380
4215 공지 한국정신과학학회 7월 월례회 꿈꾸는다이아 2016.07.09 532
4214 홍보 『퇴마록』 이우혁 작가의 '글에 생명부여하기' 특강 소식 (6/25) file 엑스플렉스 2016.06.23 987
4213 공지 박제윤 교수님의 <플라톤의 카메라> 강연 안내 박용태 2016.06.23 1235
4212 현장스케치 [빅히스토리 프로젝트 대전]2교시 현장스케치와 3교시 안내 file 박순필 2016.06.22 1175
4211 홍보 [2016부자과학캠프] - 요리, 조리 아빠와 함께하는 1박 2일 캠프! file 멍수멍수 2016.06.17 1205
4210 공지 [빅히스토리 프로젝트 대전] 6월 모임 공지 입니다. file 박순필 2016.06.17 1321
4209 현장스케치 [빅히스토리 프로젝트 대전 ] 첫 모임 현장스케치 file 박순필 2016.06.13 1645
4208 공지 [ 빅 히스토리 프로젝트 - 대전] 상세 일정 안내 file 박순필 2016.06.08 1528
4207 홍보 다중지성의 정원 2016년 3분학기가 7월 1일 개강합니다~! 갈무리 2016.06.08 6696
4206 공지 한국정신과학학회 6월 월례회 꿈꾸는다이아 2016.06.04 1403
4205 공지 [빅히스토리 프로젝트] 프로그램 및 참여방법 안내. file 박순필 2016.06.02 18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