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574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누가 저에게 과학이 뭐냐고 물으면 사실로부터 법칙과 원리를 찾아내는 학문이라고 대답합니다. 그 대답에는 가치나 주관을 다루지 않는다는 것을 포함하는데, 그렇기때문에 인문학이 나머지 절반을 채우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 글에서는 인문학과 과학의 사람들이 머리를 맞대고 어떤 일을 하는지에 대해서 쓴 책들이 몇 권 있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시대정신이라고 하던가요. 시간이 흐르면서 축적된 지식을 통해 발현되는 동시대인들이 공유할 수 있는 가치관과 정신. 요즘은 그것이 과학과 지식을 기반으로 한다는 느낌이 듭니다. 예전 글들을 보면 드나드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기도 한데, 존 브록만이라는 양반이 운영하는 Edge재단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과학, 문화, 예술 전반에 걸쳐 여러 전문가들을 모아놓고 토론을 벌이는 곳입니다. 분야를 뛰어넘는 통합으로 새로운 문화를 제창하는 동넵니다. (거창하지만 그만한 실력이 있는, 말그대로 선구자들frontier의 모임이기도 합니다) 가장 최근에 나온 책은 전에 잠시 소개했던 『위험한 생각들 : What is your dangerous ideas?』입니다만, edge재단에서 나온 책들 중 몇 권이 더 번역되어 있습니다.


 

 2002년에 새로운 트렌드와 미래 전망을 주제로 한 『앞으로 50년』이나 재작년즘에 나왔던 『과학의 최전선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책을 보시면 인문학과 과학의 관계나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떠올랐던 질문들의 실마리를 얻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전문가들이 보는 아이디어나 질문들은 제 높이에선 잘 안보이던 새로운 것들이 많아서 언제나 놀랍기만 합니다. ^^
  • ?
    윤성중 2008.11.25 02:14
    백북스에 오면 제가 모르는 것이 정말 많다는 걸 깨닫게 해주셔서....ㅠㅠ
    책 읽어 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
    김원기 2008.11.25 02:14
    추가 설명입니다. www.edge.org에 가시면 지금까지의 자료들을 모두 웹상에서 읽으실 수 있고, subscription 신청을 하시면 웹진을 메일로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첫번째 글모음집이 밀레니엄 특집이었던 "2000년간의 가장 위대한 발명"이었고, 가장 두꺼운 책이 된 "New Humanists"가 두번째 특집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 "뉴 휴머니스트"는 "두 문화"라는 찰스 스노우 경의 오래된 분류를 거부하고 자연과학자, 그리고 그들과의 밀접한 협력 속에서 일하는 인문학자들이 새로운 휴머니스트라고 주장하는 도전적인, 그리고 도발적인 존 브록만의 글에서 시작된 책입니다.
  • ?
    임석희 2008.11.25 02:14
    과학과 예술이 비슷하다는 것이 느껴졌던 순간부터 이 모든 것들(학문분야)이 모두 같은 통속이라는 느낌이 한순간도 떠난 적이 없습니다.
    장종훈님, 김원기님,좋은 책들을 추천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한동안 방황했는데, 점차 길이 보일 것 같네요. ^^*

  1. 가입인사드려요^^

    Date2009.01.05 Category공지 By한동민 Views1575
    Read More
  2. 가입했습니다.

    Date2009.01.04 Category공지 By김준열 Views1575
    Read More
  3. [기사]'철학과 과학은 동반 관계다' 장회익 서울대교수

    Date2008.12.10 Category공지 By서지미 Views1575
    Read More
  4. 가입인사 ^^

    Date2008.05.16 Category공지 By이혜정 Views1575
    Read More
  5. 100Books 발표 예정자

    Date2008.04.29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1575
    Read More
  6. 참가신청합니다. 늦었나요?

    Date2011.03.02 By정우석 Views1574
    Read More
  7. Obamerica의 도전과 시련

    Date2008.12.03 Category공지 By고완히 Views1574
    Read More
  8. 과학과 새로운 인문학의 최전선에서 벌어지는 토론들

    Date2008.11.25 Category공지 By장종훈 Views1574
    Read More
  9. 신체가 정신에 미치는 역할, <베르그송 사상에서 신체와 기억>

    Date2010.12.14 By다지원 Views1573
    Read More
  10. [축하]온라인회원수 5000명 돌파!

    Date2008.11.27 Category공지 By강신철 Views1573
    Read More
  11. 다음 주 독서모임 내용 관련

    Date2007.04.08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1573
    Read More
  12. 가입인사 올립니다~

    Date2011.08.17 By이희심 Views1572
    Read More
  13. 페이스북에 백북스 그룹 만들었습니다.

    Date2011.04.24 By김기욱 Views1572
    Read More
  14. [공지] 4/22 (화) 독서토론회 <뷰티풀마인드>

    Date2008.04.21 Category공지 By이정원 Views1572
    Read More
  15. 25일날 그냥 가면 되나요?

    Date2008.11.23 Category공지 By김학성 Views1572
    Read More
  16. 가입인사-감사의 글

    Date2008.11.05 Category공지 By최선희 Views1572
    Read More
  17. 책한권 소개 드립니다. ^^

    Date2008.08.17 Category공지 By김영이 Views1572
    Read More
  18. [기사] 당신이 잠든 사이, 뇌는 창의성 발전소

    Date2008.11.27 Category공지 By서지미 Views1571
    Read More
  19. 경주 여행의 하이라이트-박영호 선생

    Date2008.05.01 Category공지 By이석봉 Views1571
    Read More
  20. The NewYork Review of Books에 소개된 라마찬드란의 신간

    Date2011.03.19 By남인호 Views157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