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8.11.22 19:26

장회익 교수의 '온생명' 논란

조회 수 1543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회익교수는 수년째 '온생명'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과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당연한 이야기에 대해 제가 보기에는 불필요한 논란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http://well.hani.co.kr/board/view.html?board_id=jh_san&uid=253800

생명평화의 길을 묻다-장회익 교수 즉문즉설
김지하 시인의 비판은 부정적 쇼크 때문일 것
자기만 생각하는 인간, 온생명 죽이는 암세포




백북스와 함께 공부를 해온 회원들은 알 것입니다. 지구의 생명을 떠받치고 있는 것은 가장 단순한, 보이지 않는 원핵생물들입니다.
태양이 50억년 뒤에 적색거성으로 변해 지구를 삼키기 전에는 지구에 어떤 재앙이 닥친다고 해도 지구에서 생명이 모두 사라지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페름기의 대멸종에도 원핵생물들과 일부 다세포 생물들은 살아남아서 '곧' (지질학적 시간 단위로) 지구를
다시 생명의 모습으로 뒤덮었습니다. 인간의 어리석을 행동으로 에드워드 윌슨이 걱정하는 여섯번째 대멸종이 닥쳐서 인간을 포함한
여러 생물들이 사라진다고 해도 지구는 다시 다른 생명들로 뒤덮일 것입니다. 지구가 화성처럼 식더라도 땅 속 어딘가에 생명은 남아
있을 것입니다. (화성 탐사에서 발견하기를 기대하는 생명은 이런 모습입니다.) 생명은 지구의 모습도 영구적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이정원회원님이 인용해 놓은 기사를 보십시오.
http://100booksclub.com/100bc/?doc=bbs/gnuboard.php&bo_table=member_board&page=1&leftmenu=multiboard&wr_id=32649
돌.흙과 지구생명체 함께 진화했다



다른 생물이 만들어 낸 것을 사용하지 않고 살 수 있는 생명은 없습니다. 육식동물한테는 다른 동물이 필요하고 초식 동물은 식물이
필요하고 식물은 물과 햇빛 뿐만 아니라 미생물들이 만들어낸 질소 화합물들이 필요하고 버섯은 다른 생물의 죽은 몸이 필요합니다.
어느 '낱생명'도 고립되어 살 수 없기 때문에 생명을 '온생명' 전체 시스템의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는 말은 너무도
당연합니다. 



한 때 2000명에 불과했던 호모사피엔스가 이제 65억명까지 늘어나서 지구 상의 모든 생명에게 인간의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인간을 지구의 암세포에 비유하는 것은 타당합니다.

 

인간 개체지구

여러가지 체세포여러 생명 종
암세포인간개체
암세포의 폭발적인 증식과 암세포를 포함한 인간 개체의 죽음인간 개체의 폭발적인 증식과 여섯번째 대멸종


생명과 우주의 역사를 이해하게 된 최초의 생물종인 인간이 지질학적으로 눈깜박할 시간에 자신을 포함한 여러 생물 종을 파멸시키는 길로 가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그것을 피하기 위한 행동을 시작할 것입니다.

과학을 공부해야 합니다.

고원용

첨언 1: 장회익교수의 '온생명'은 주장이나 은유일 뿐 아직 과학은 아닙니다. 제임스 러브록의 '가이아'도 처음에는 주장일 뿐이었습니다. 그 후에 가이아 이론을 바탕으로 한 예측들이 제시되고 그것들이 증명됨에 따라 가이아도 과학의 범주에 속하게 되었습니다. '온생명'이 과학에 포함되려면 같은 길을 밟아야 합니다.

혁신적인 주장들은
처음에는 무시되고
그 뒤에는 반박되고
나중에는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을 주장했던 사람이 살아있는 동안 박수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을 보십시오.

첨언 2: '온생명'에 어긋나는 생명체가 발견되었습니다. 한가지 종으로만 이루어진 생태계가 최초로 발견되었습니다. 이 생명체라면 운석에 실려서 다른 행성에 가서 적당한 조건을 만나면 늘어날 수 있을 것입니다.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810130332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미생물 발견







지하 2800m의 물 속에서 빛과 산소 없이 독자생존하는 신종

  • ?
    장종훈 2008.11.22 19:26
    에고.. 열심히 써놓은 답글이 수정하다가 사라져버렸네요. 힘빠져라..
    쓰면서 생각을 정리할 수 있었던 것으로 위안을 삼으렵니다. ㅠㅠ
  • ?
    김영이 2008.11.22 19:26
    고원용 박사님@@ 이런 논쟁이 일어나고 있는지도 몰랐네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좀 더 공부를 해야 뭐라 말할 수 있을 것 같네요
  • ?
    임재용 2008.11.22 19:26
    온생명 개념에 대해서 장교수님 강의 들었을 때 참 신선했던 옛기억이...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4 '사진과 인문학' 2월 모임 후기 및 3월 모임 안내 3 임민수 2012.02.26 1546
1083 참가신청_수고가 많으시네요 박상업 2011.03.04 1546
1082 공지 나는 꿈꾼다4 ---유식물론 이기두 2008.10.11 1546
1081 추천을 받습니다 강신철 2011.02.15 1545
1080 공지 지난주 금요일 강연을 다녀와서 5 이영도 2008.11.18 1545
1079 공지 안정 그리고 도약 7 이재우 2007.04.13 1545
1078 둘째 은찬이 돌^^ 7 이정원 2011.02.28 1544
1077 올해 제 6호 태풍 `망온` 발생 변정구 2011.07.13 1543
1076 반갑습니다. 3 박현우 2009.08.29 1543
» 공지 장회익 교수의 '온생명' 논란 3 고원용 2008.11.22 1543
1074 독후감을.... 쓸까요...? ^^ 1 임석희 2014.08.04 1542
1073 공지 백북스 새내기입니다.^^ 3 이인화 2009.02.10 1542
1072 공지 차원용 소장님의 논평 3 박문호 2008.08.04 1542
1071 공지 처음이에요.. 5 손아영 2008.05.28 1542
1070 2월11일(금요일)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 강연회 안내 박용태 2011.02.11 1541
1069 공지 철학에 관심 있는 분들께 1 file 이정해 2008.12.25 1541
1068 공지 검사분들도 공부 열심히 하시네요.^^ 문경수 2008.07.10 1541
1067 공지 [6월 산행공지] 6월 3일 일요일 오후 2시 3 송나리 2007.05.31 1541
1066 안녕하세요 ^^ 1 이신영 2009.11.05 1540
1065 공지 뇌 생각의 출현을..... 4 안수영 2008.11.29 15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