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8.11.22 19:26

장회익 교수의 '온생명' 논란

조회 수 1543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회익교수는 수년째 '온생명'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과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당연한 이야기에 대해 제가 보기에는 불필요한 논란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http://well.hani.co.kr/board/view.html?board_id=jh_san&uid=253800

생명평화의 길을 묻다-장회익 교수 즉문즉설
김지하 시인의 비판은 부정적 쇼크 때문일 것
자기만 생각하는 인간, 온생명 죽이는 암세포




백북스와 함께 공부를 해온 회원들은 알 것입니다. 지구의 생명을 떠받치고 있는 것은 가장 단순한, 보이지 않는 원핵생물들입니다.
태양이 50억년 뒤에 적색거성으로 변해 지구를 삼키기 전에는 지구에 어떤 재앙이 닥친다고 해도 지구에서 생명이 모두 사라지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페름기의 대멸종에도 원핵생물들과 일부 다세포 생물들은 살아남아서 '곧' (지질학적 시간 단위로) 지구를
다시 생명의 모습으로 뒤덮었습니다. 인간의 어리석을 행동으로 에드워드 윌슨이 걱정하는 여섯번째 대멸종이 닥쳐서 인간을 포함한
여러 생물들이 사라진다고 해도 지구는 다시 다른 생명들로 뒤덮일 것입니다. 지구가 화성처럼 식더라도 땅 속 어딘가에 생명은 남아
있을 것입니다. (화성 탐사에서 발견하기를 기대하는 생명은 이런 모습입니다.) 생명은 지구의 모습도 영구적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이정원회원님이 인용해 놓은 기사를 보십시오.
http://100booksclub.com/100bc/?doc=bbs/gnuboard.php&bo_table=member_board&page=1&leftmenu=multiboard&wr_id=32649
돌.흙과 지구생명체 함께 진화했다



다른 생물이 만들어 낸 것을 사용하지 않고 살 수 있는 생명은 없습니다. 육식동물한테는 다른 동물이 필요하고 초식 동물은 식물이
필요하고 식물은 물과 햇빛 뿐만 아니라 미생물들이 만들어낸 질소 화합물들이 필요하고 버섯은 다른 생물의 죽은 몸이 필요합니다.
어느 '낱생명'도 고립되어 살 수 없기 때문에 생명을 '온생명' 전체 시스템의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는 말은 너무도
당연합니다. 



한 때 2000명에 불과했던 호모사피엔스가 이제 65억명까지 늘어나서 지구 상의 모든 생명에게 인간의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인간을 지구의 암세포에 비유하는 것은 타당합니다.

 

인간 개체지구

여러가지 체세포여러 생명 종
암세포인간개체
암세포의 폭발적인 증식과 암세포를 포함한 인간 개체의 죽음인간 개체의 폭발적인 증식과 여섯번째 대멸종


생명과 우주의 역사를 이해하게 된 최초의 생물종인 인간이 지질학적으로 눈깜박할 시간에 자신을 포함한 여러 생물 종을 파멸시키는 길로 가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그것을 피하기 위한 행동을 시작할 것입니다.

과학을 공부해야 합니다.

고원용

첨언 1: 장회익교수의 '온생명'은 주장이나 은유일 뿐 아직 과학은 아닙니다. 제임스 러브록의 '가이아'도 처음에는 주장일 뿐이었습니다. 그 후에 가이아 이론을 바탕으로 한 예측들이 제시되고 그것들이 증명됨에 따라 가이아도 과학의 범주에 속하게 되었습니다. '온생명'이 과학에 포함되려면 같은 길을 밟아야 합니다.

혁신적인 주장들은
처음에는 무시되고
그 뒤에는 반박되고
나중에는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을 주장했던 사람이 살아있는 동안 박수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을 보십시오.

첨언 2: '온생명'에 어긋나는 생명체가 발견되었습니다. 한가지 종으로만 이루어진 생태계가 최초로 발견되었습니다. 이 생명체라면 운석에 실려서 다른 행성에 가서 적당한 조건을 만나면 늘어날 수 있을 것입니다.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810130332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미생물 발견







지하 2800m의 물 속에서 빛과 산소 없이 독자생존하는 신종

  • ?
    장종훈 2008.11.22 19:26
    에고.. 열심히 써놓은 답글이 수정하다가 사라져버렸네요. 힘빠져라..
    쓰면서 생각을 정리할 수 있었던 것으로 위안을 삼으렵니다. ㅠㅠ
  • ?
    김영이 2008.11.22 19:26
    고원용 박사님@@ 이런 논쟁이 일어나고 있는지도 몰랐네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좀 더 공부를 해야 뭐라 말할 수 있을 것 같네요
  • ?
    임재용 2008.11.22 19:26
    온생명 개념에 대해서 장교수님 강의 들었을 때 참 신선했던 옛기억이...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24 [10/7 개강] 다중지성의 정원 2013년 4분학기 프로그램 안내! 김하은 2013.09.14 1431
3623 공지 [100퍼센트 인생경영]을 읽고.. 김요셉 2002.07.05 4152
3622 공지 [10월 16일] 서울백북스 간송미술관 번개 5 문경수 2008.10.16 1616
3621 공지 [10월 정기산행] 사진스케치 9 문경목 2007.10.11 2469
3620 [10월10일개강] 야성의 철학자 스피노자! <스피노자와 우리>(조현진) 다지원 2011.09.24 1626
3619 [10월4일개강] 랑시에르의 [역사의 이름들]!<랑시에르와 '주체화의 역사'>(안준범) 다지원 2011.09.24 1588
3618 [10월9일개강] 네그리/하트의 『제국』 읽기!(총괄강의 조정환) 다지원 2011.10.03 1655
3617 공지 [11.16.운영회의] 백북스. 도약을 위한 준비. 4 윤보미 2008.11.17 1690
3616 [11/13토] 여성학자 박혜란 ("믿는 만큼 자라는 아이들" 저자) 강연, 오후 2시 노은도서관 안설아 2010.11.12 2173
3615 [11/4목]박문호박사님초청 '뇌과학3강' 안내 우경아 2010.11.03 1768
3614 공지 [111회 독서토론] ‘나비와 전사’현장 스케치 14 박혜영 2007.02.15 2481
3613 공지 [117회 독서토론]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현장 스케치 4 박혜영 2007.05.15 2419
3612 공지 [118회 독서 토론]'말랑말랑한 힘 '스케치 현장 8 박혜영 2007.05.26 2437
3611 공지 [11월 정기산행] 사진스케치 13 문경목 2007.11.08 2413
3610 공지 [12.11] 독서토론회 공지<두바이 기적의 리더십> 1 이정원 2007.12.09 1661
3609 공지 [12.14] 뇌과학연구회 세미나 공지 이정원 2007.12.08 1219
3608 [12/15(일) 오후5시] 『위험한 언어』 출간을 계기로 본 에스페란토 운동의 전망 ― 자멘호프 탄생 154주년 기념 집담회에 초대합니다! 갈무리 2013.12.10 1325
3607 공지 [127회 독서토론회]' 세계 소설 문학의 흐름' 현장 스케치 4 박혜영 2007.10.13 2026
3606 공지 [129회 독서토론회]'열하광인' 현장 스케치 8 박혜영 2007.11.20 2058
3605 공지 [130회 독서토론회]'만들어진 신' 현장 스케치 4 박혜영 2007.12.03 18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216 Next
/ 216